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400523
한자 小蘭芝島義兵
영어공식명칭 Sonanjido Justice Army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충청남도 당진시 석문면 난지도리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김남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생|시작 시기/일시 1906년연표보기 - 소난지도 의병 발생
종결 시기/일시 1908년연표보기 - 소난지도 의병 해산
발생|시작 장소 소난지도 - 충청남도 당진시 석문면 난지도리 지도보기
종결 장소 소난지도 - 충청남도 당진시 석문면 난지도리
성격 항일 운동

[정의]

충청남도 당진시 석문면 난지도리를 근거지로 1906년에서 1908년 사이에 활동한 항일 의병.

[개설]

의병 항쟁은 1895년 명성 황후 시해 사건과 단발령의 공포로 시작되었고, 1905년 을사늑약이 강제 체결되면서 다시 재연되었다. 그리고 1907년 광무 황제의 강제 퇴위와 대한 제국의 군대가 해산되면서 의병 전쟁으로 격화되었다. 당진시 석문면에 있는 소난지도는 당진 지역 의병들의 거점이었다. 이들은 면천읍성을 위주로 곳곳에서 항전한 이후, 소난지도에 피신하여 재기를 도모하였다. 일본 경찰은 당진 지역 의병을 억압할 목적으로 1908년 3월 15일 소난지도를 급습하였다. 의병들은 일본 경찰에 맞서 치열한 전투를 벌였지만, 대부분 무참하게 전사하고 말았다. 그 후 주민들은 의병의 시신을 수습하여 의병총을 만들었고, 현재 순국한 의병을 추모하는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역사적 배경]

당진시 석문면 난지도리에 있는 소난지도는 조선 시대 해운을 이용한 조세 운송의 길목에 해당되었다. 또한 거센 파도와 해풍을 피할 수 있었던 자연 지형으로 인하여 전라도 지역에서 올라오던 조운선의 중간 기착지(寄着地)로 활용되었다. 한말 의병들은 소난지도를 점령함으로서 은신은 물론 식량 확보에 유리한 근거지를 확보할 수 있었다. 그리고 소난지도는 지리적으로 경기도와 인접하여 수시로 이동이 가능하였고 정보 수집에 용이하였으며 때에 따라서는 경기도 의병과 연합 작전을 전개할 수 있었다. 의병들은 소난지도를 은신처로 활용했고 장기 주둔을 통해 재기의 터전으로 삼았다.

[경과]

한말 의병이 소난지도에 웅거하면서 본격적인 항쟁을 전개한 것은 1906년경이었다. 이때 활약한 대표적인 의병장은 최구현이었다. 최구현(崔九鉉)[1866~1906]은 무과에 급제한 후, 군부 참서관직에 있다가 1904년 한일 의정서가 체결되는 것을 보고 관직을 사직하고 고향인 송산면 매곡리로 낙향하였다. 최구현은 1905년 11월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1906년 4월 송악읍 기지시리에 병오 창의도소를 설치하고 의병 항쟁을 시작하였다. 그리고 5월 10일 면천성을 공격하여 다음날 새벽까지 일제의 경찰대와 공방전을 전개했으나 화력의 열세로 결국 퇴각했다. 최구현은 의병 36명을 인솔하여 소난지도로 들어갔다. 그런데 소난지도에는 이미 화성창의소 홍일초가 이끄는 의병 부대가 주둔하고 있었다. 6월 7일에는 홍주성 전투에서 패배한 홍주 의병 차상길이 15명을 인솔하여 합류했다. 소난지도는 의병들에게 피신과 은둔처로 익히 알려져 있던 곳이었다.

재기를 도모하던 최구현은 1906년 6월 18일 면천성을 다시 공격했다. 이때는 소난지도에 있던 홍일초 부대와 합세했다. 그 결과 최구현은 면천성에서 치열한 항전을 전개하여 한때 군수 이교영(李喬永)을 포박하고 이속(吏屬)을 난타하면서 결전 350냥과 양총 5정, 탄환 85발, 환도 2정을 탈취했다. 거듭되는 최구현 의병의 공격으로 궁지에 몰린 일본 경찰대는 1906년 8월 24일 의병의 본거지인 소난지도를 급습하였고 최구현은 이때 생포되었다. 결국 최구현 의병장은 면천에 끌려와 모진 고문을 받고 풀려났지만 1906년 12월 사망하고 말았다.

1907년 대한 제국의 군대가 해산되면서 당진 지역 의병도 더욱 격렬하게 전개되었다. 이 시기의 대표적인 의병장은 당진시 고대면 출신의 정주원(鄭周源)을 비롯하여 면천 출신의 도중삼(都仲三)·박계문(朴桂文)·김성백(金成伯), 당진 외맹면 출신의 정선경(鄭善京)·하군배(河君輩), 남면 출신의 심주현(沈周鉉), 하대면의 손응현(孫應鉉), 그리고 최종성(崔鍾成)·최동식(崔東植)·신경춘(申景春) 등이 있다. 이들은 당진의 연해안을 따라 의병 작전을 전개하였으며 경기도 의병과 연합 작전을 수행하였다. 이때도 소난지도는 의병들의 거점지로 활용되었다.

1908년에 이르러 일본 경찰은 소난지도를 다시 급습하기로 계획을 세웠다. 1908년 3월 15일이다. 일본 경찰대는 홍성을 출발하여 당진군 고산면 해창[현 고대면 당진포리 해창]에 이르러 주민의 배 1척을 빼앗았다. 그리고 15일 아침 6시경 소난지도로 진입했다. 이들은 소난지도 포구에 정박해 있는 의병 측의 배 2척을 확인하고 사복을 입은 순사로 하여금 정찰을 시켰다. 의병 측에서 이를 미리 탐지하고 섬의 민가에 숨어서 배를 향해 발포해 한인 순사 나춘삼에게 중상을 입혔다.

경찰대는 7시경 소난지도 상륙을 시작해 마을 뒤편에 있는 산을 점령했다. 그리고 마을을 향해 총격을 가했다. 의병은 마을을 버리고 후퇴하여 서쪽에 있는 산을 근거로 항쟁하게 되었다. 이에 경찰은 두 편으로 나누어 총격을 가했고, 11시경 의병은 절벽 아래로 피신했다. 이후 의병은 경찰과의 접전을 계속하면서 소난지도 동남쪽 돌각(突角) 지점으로 이동했고 결국 22명이 전사하고 말았다. 일본 경찰은 이후 의병의 잔여 세력을 없애기 위해 섬 전역을 다시 수색했고, 북쪽의 바위 동굴에 숨어 있던 의병들과 접전을 벌이게 되었다. 전투는 오후 3시경 종료되었다.

[결과]

소난지도 의병은 일본 경찰에 맞서 치열한 항쟁을 벌였다. 하지만 일본 경찰의 우세한 화력을 극복할 수 없었다. 소난지도 해안을 따라 전투를 벌이던 의병들은 소난지도 동쪽 끝에 있는 돌각 지점까지 밀리다가 모두 전사하였다. 이때 선봉장 박원석(朴元石)을 비롯해 총 41명이 전사하고 9명이 부상을 입고 체포되면서 의병은 궤멸하고 말았다. 기타 의병 50명 내외가 바다에 투신하여 행방불명되었던 것이다. 결국 전사자와 행방불명자를 합산하면 소난지도에는 약 100명에 달하는 의병이 주둔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홍원식(洪元植)[홍일초] 대장은 소난지도 절벽에서 바다에 투신하였으나 절벽의 소나무에 걸렸고, 전투가 종료된 후에 변장하고 섬을 벗어났다는 증언이 있다.

그 후 일본 경찰대는 소난지도에서 체포한 의병과 의병들이 모은 식량, 노획물을 배에 싣고 출발 장소였던 고대면 당진포리로 다시 나왔다. 그리고 해창 마을 마당에 쌀을 풀어놓고 소각했으며, 배를 안내했던 선원들도 모두 살해하고 말았다. 고대면 당진포리에 거주한 강진선(姜鎭鮮)의 증언에 의하면 징발당한 배의 소유주는 강구월금이었으며, 당진포리로 다시 나온 뒤에 일본 경찰들은 선원들을 돛대에 묶어 놓고 모두 총살했다고 하며, 타다 남은 쌀도 불 냄새가 나서 먹을 수가 없었다고 전해진다고 한다.

[의의와 평가]

소난지도 의병은 한말 당진 지역 의병의 핵심적인 거점지였다. 이들은 소난지도가 조선 시대 조세 운송의 중간 정박지라는 점을 이용하였다. 이들은 식량을 확보함으로써 재기를 도모할 수 있었다. 또한 해안선을 따라 신속한 의병 작전을 전개하였고, 경기도 연해안에 접근하여 경기도 의병과 연합 작전을 수행하였다. 소난지도 의병 항쟁은 당진 지역 의병이 전술적으로 한 차원 진전되었음을 알려 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