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401200
영어공식명칭 Byeotgaritde Turtle-game
이칭/별칭 가학리 볏가릿대 거북놀이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놀이/놀이
지역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가학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성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재현 시기/일시 2003년 10월연표보기 - 볏가릿대 거북놀이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면 가학리 이안의 고증에 의해 재현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3년 10월 - 볏가릿대 거북놀이 제44회 한국 민속 예술 축제 동상 수상
놀이 장소 볏가릿대 거북놀이 - 충청남도 당지군 송악면 가학리 지도보기
주관 단체 가학리 볏가릿대 거북놀이 추진 위원회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면 송악로 195-3[가학리 315-1]지도보기
성격 민속놀이
노는 시기 정월 대보름[볏가릿대 거북놀이]|음력 정월 초, 칠월 칠석, 음력 팔월 십오일 등 큰 명절[거북놀이]

[정의]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가학리에서 정월 대보름날 볏가릿대 세우기와 거북놀이를 함께 하는 민속놀이.

[개설]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면 가학리의 볏가리대 세우기는 정월 대보름날 마을 우물가에 볏가릿대를 세우고 다음 달 초하룻날 눕혀서 매달아 놓았던 오곡이 붙어 있으면 풍년이 든다고 믿었는데 한 해의 풍흉을 점치고 기원하는 놀이이다. 거북놀이는 마을 청년들이 거북이 형상을 만들어 그 속에 들어가 집집마다 다니면서 액운을 없애고 가정의 평안을 빌어 주는 놀이이다. 거북놀이는 신라 문무왕 때 마을 공동체가 놀이를 통해 풍년을 바라고 가정의 평안을 기원하면서 시작했다고 하지만 정확한 기원을 찾기는 어렵다.

[연원]

볏가릿대 세우기는 농업을 중요하게 여겼던 고대의 제천 의식의 성격을 띤 풍년 놀이라고 할 수 있다. 조선 시대 학자 홍석모가 정리한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의 정월 산원 조와 유득공이 기록한 『경도잡지(京都雜志)』의 성원 조에 잘 나와 있다. 또 『세종실록(世宗實錄)』에는 오래전부터 정월 대보름을 앞두고 새해 풍작을 기원하며 볏가릿대 세우기 놀이를 하였다고 나오는데 이를 '보름 볏가리'라 불렀다고 한다. 거북놀이는 십장생 중 하나인 거북을 우리 조상이 매우 영적인 존재로 여겨, 거북을 통해 수확의 감사와 풍년을 기원하고, 집안의 평안을 기원한 데서 유래를 찾을 수 있다.

[놀이 도구 및 장소]

볏가릿대를 만들기 위해서는 벼, 기장, 피, 조, 옥수수대, 수숫대, 꽃송이, 밤송이 등을 준비한다. 이러한 곡식을 볏짚단에 싸서 장대에 매달아 세운다. 송악면 가학리에는 마을 우물가에 500년 된 모과나무가 있는데, 지리적으로 마을의 중심이고 오래된 수목이 마을을 수호해 준다는 의미를 담고 있어 그곳에 볏가릿대를 세웠다.

[놀이 방법]

볏가릿대 세우기는 음력 정월 대보름날 마을 사람들이 모여 볏가릿대를 만드는 것으로 시작한다. 볏가릿대를 세우러 가는 도중에 풍물패가 농악을 연주하면 마을 사람들이 따라와 마을 우물가에 볏가릿대를 세우고 마을 입구의 장승에게 제를 올린다. 음력 2월 초하루에는 볏가릿대를 눕혀 오곡의 상태를 살펴보고 풍물에 맞춰 춤을 춘다. 그리고 마을 집집마다 방문하여 문굿, 우물굿, 토주굿, 조왕신굿, 마당굿을 하는데 거북놀이는 마당굿을 할 때 행해진다. 마당을 다 돌고 집주인이 제를 올리면 꽹과리를 치는 상쇠는 꽃반 덕담을 올린다. 이 덕담이 끝나면 다른 집으로 이동한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볏가릿대 거북놀이는 농업을 중시하던 사회에서 마을의 공동체 의식과 풍년을 기원하는 간절한 마음을 엿볼 수 있는 민속놀이이다. 볏가릿대 세우기와 거북놀이가 함께 행해지는 것은 송악면 가학리만의 독특한 풍습이다. 다른 지역에서는 거북놀이가 음력 8월 15일에 주로 행해지지만 당진시에서는 큰 명절이 있을 경우 거북놀이를 자주 행하였다. 송악면 가학리의 이안의 증언에 의하면 당진시의 경우 정월 대보름 볏가릿대를 세울 때와 음력 정월 초, 칠월 칠석 등 큰 명절에도 거북놀이를 했다고 한다.

[현황]

가학리 볏가릿대 거북놀이 추진 위원회의 노력으로 각종 축제와 대회를 참가하며 그 명맥을 이어 가고 있다. 볏가릿대 거북놀이송악면 가학리 이안의 고증에 의해 재현되어, 2003년 10월 제44회 한국 민속 예술 축제에 충청남도 대표로 참가하여 동상을 수상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