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400463
한자 唐津影浪寺大雄殿
영어공식명칭 Dangjin Younglangsa Daewungjeon|Dangjin Younglang Temple Dharma Hall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건물
지역 충청남도 당진시 고대면 진관로 142-52[진관리 529]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한창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678년 - 영랑사 중건
개축|증축 시기/일시 1824년 - 영랑사 중수[1824]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02년 - 영랑사 칠성 탱화 봉안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19년 - 영랑사 후불 탱화 봉안
개축|증축 시기/일시 1924년 - 영랑사 중수[1924]
문화재 지정 일시 1973년 12월 26일연표보기 - 당진 영랑사 대웅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5호로 지정
개축|증축 시기/일시 1982년 - 영랑사 중수[1982]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8년 - 영랑사 후불·칠성·신중 탱화 봉안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9년 - 영랑사 관세음보살 탱화 봉안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당진 영랑사 대웅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
현 소재지 영랑사 - 충청남도 당진시 고대면 진관로 142-52[진관리 529]지도보기
원소재지 영랑사 - 충청남도 당진시 고대면 진관로 142-52[진관리 529]
성격 불전|전각|목조 건축|사찰 건축
양식 주심포 다포 혼용|맞배지붕
정면 칸수 3간
측면 칸수 3간
소유자 대한 불교 조계종 영랑사
관리자 대한 불교 조계종 영랑사
문화재 지정 번호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정의]

충청남도 당진시 고대면 진관리 영랑사에 있는 조선 후기 불전.

[개설]

영랑사 대웅전(影浪寺大雄殿)충청남도 당진시 고대면 진관리에 있는 영랑사(影浪寺)의 중심이 되는 건물로, 석가모니불을 모시는 전각이다. 1973년 12월 26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5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위치]

영랑사 대웅전이 있는 영랑사는 충청남도 당진시 고대면 진관로 142-52[진관리 529]에 있다. 당진시 고대면의 채운 들판을 따라 오다 고대 미곡 처리장이 있는 한적한 마을의 논길로 들어서면 끝자락에 보이는 야트막한 영파산에 자리 잡고 있다.

[변천]

영랑사 대웅전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거치면서 소실되었거나 파손되었던 기존 대웅전을 조선 후기인 1678년에 호암 국사가 중건하였다. 다포를 혼용한 주심포 맞배지붕인 점으로 보아 고려 후기나 조선 초기에 건립된 기존 건물 양식인 주심포를 계승하고 조선의 다포 양식을 가미한 혼용 목조 건물로 지어졌다. 1824년(순조 24) 성봉 선사, 1982년 관공 스님의 중수가 있었다. 현재의 요사채 건물은 '영랑사'라는 현판이 걸려 있는 건물을 제외하면 대부분 근래에 건립된 것이다.

[형태]

1973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5호로 지정된 영랑사 대웅전은 주심포식과 다포식이 혼용된 맞배지붕 목조 방식이다. 정면 3칸, 측면 3칸의 구조로 전면과 배면은 주심포에 다포를 혼용한 공포를 사용했고, 측면은 포를 배제한 고주 방식에 풍판을 대어 전형적인 주심포식을 채용했으며 파련대공에는 'ㅅ' 자형 솟을대공이 가미되어 있다. 천정은 연등 천정이고 지붕 전면은 겹처마로, 배면은 홑처마로 되어 있다. 내부에는 아미타불 수인을 한 부처님이 모셔져 있는데 수미단은 단순하나 닫집은 겹처마 다포 방식으로 화려하게 설치했다.

[현황]

대웅전 안에는 목조 석가모니불과 동자 불상, 후불 탱화 등이 봉안되어 있으며 1759년(영조 35)에 제작된 범종이 있다. 겉모습은 단순하면서도 중후한 느낌을 준다. 1902년에 조성된 후불 탱화 및 1919년에 조성된 칠성 탱화는 수덕사 박물관에 이전 전시 중이며, 현재는 1998년 조성된 후불·칠성·신중 탱화가 봉안되어 있다. 2009년에 관세음보살 탱화가 봉안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