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400593
한자 崔有海
영어공식명칭 Choe Yuhae
이칭/별칭 대용(大容),묵수당(黙守堂)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충청남도 당진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남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88년연표보기 - 최유해 출생
활동 시기/일시 1613년 - 최유해 증광 문과 병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624년 - 최유해 안변 부사 역임
활동 시기/일시 1641년 - 최유해 우부승지 역임
몰년 시기/일시 1641년연표보기 - 최유해 사망
사당|배향지 묵수 영당(黙守影堂) - 충청남도 당진시 신평면 고역길 28-28[부수리 산69]지도보기
성격 문신
성별
본관 해주(海州)
대표 관직 우부승지(右副承旨)

[정의]

충청남도 당진시에 사당이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최유해(崔有海)[1588~1641]는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광해군 때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이 승정원 부승지까지 올랐다. 충청남도 당진시 신평면에 거주하는 후손들이의 최유해의 영정을 봉안한 묵수 영당(黙守影堂)을 세워 공덕을 기리고 있다.

[가계]

최유해의 본관은 해주(海州)이며, 자는 대용(大容), 호는 묵수당(黙守堂)이다. 할아버지는 위원 군수(渭原郡守)를 지낸 최여우(崔汝雨), 아버지는 최전(崔澱), 어머니는 신홍점(申鴻漸)의 딸 고령 신씨(高靈申氏)이다.

[활동 사항]

최유해는 어려서부터 김현성(金玄成)·조수륜(趙守倫)·최립(崔岦)·정구(鄭逑)의 문하에서 학문을 익혔다. 1613년(광해군 5)에 생원이 되었으며, 증광 문과(增廣文科)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홍문관 응교를 거쳐 1617년 평안도 평사(平安道評事)가 되었으나 폐모론(廢母論)을 주장하는 대북파에 의해 벼슬에서 삭직되었다.

최유해는 1623년 인조반정으로 재등용되었으며, 순변사(巡邊使)가 되어 이괄의 난으로 혼란에 빠진 민심을 수습하였다. 이듬해 안변 부사(安邊府使)가 되어 함경도 관향사(咸鏡道管餉使)를 겸하였다. 이때 철산군 백량면(柏梁面)의 가도(椵島)에 주둔하고 있던 모문룡(毛文龍) 휘하의 명나라 군대에게 군량을 공급하였다. 그 뒤 군부시 정(軍簿寺正)·양주 목사(楊州牧使)를 지냈고, 1629년 부수찬(副修撰)이 되었다. 이어서 홍문관 교리를 거쳐 정주 목사(定州牧使)·길주 목사(吉州牧使)를 역임하고 1641년(인조 19)에 우부승지(右副承旨)가 되었다.

최유해는 의약과 복서(卜筮)·천문에도 밝았으며, 여러 곳의 지방관으로 재직 중 선정을 베풀어서 곳곳에 송덕비가 세워졌다.

[학문과 저술]

최유해는 1636년 해주 최씨 족보를 처음으로 간행하였다. 저서로는 『묵수당집(默守堂文集)』, 『서명천견록(西銘淺見錄)』, 『길주 사적기(吉州史蹟記)』가 남아 있다.

[묘소]

최유해의 묘소는 경기도 양주시에 있다.

[상훈과 추모]

최유해의 영정(影幀)을 봉안하고 제향하는 사당인 묵수 영당이 충청남도 당진시 신평면 고역길 28-28[부수리 산69]에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