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두견주에 서린 천년 효심 - 고려 개국공신 복지겸에 얽힌 이야기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401433
한자 杜鵑酒-千年孝心-高麗開國功臣卜智謙-
영어공식명칭 Thousand Years Filial Love with Dugyeonju-Story of Bokjjigyeom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기획)
지역 충청남도 당진시
시대 고려/고려 전기
집필자 윤성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63년 - 두견주 생산 중단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86년 - 면천 두견주 무형문화재 제86-2호로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1년 - 복지겸 허묘 성분(成墳) 및 묘역 정비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1년 - 두견주 기능 보유자 사망으로 생산 중단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6년 - 두견주 생산 재개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8년 - 복지겸 사당 무공사 준공

[정의]

충청남도 당진의 복지겸과 면천, 그리고 두견주에 얽힌 이야기.

[개설]

복지겸(卜智謙)과 면천(沔川)과의 관계, 그리고 두견주(杜鵑酒)의 변천 과정, 복지겸의 묘소가 충청남도 당진시 순성면(順城面) 양유리(陽柳里)에 조성되는 사연 등을 조명한다.

[해양 혈통]

당진에서 복지겸(卜智謙)을 모르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복지겸을 잘 안다고 할 수 있는가? 안다면 얼마나 알고 있는가? 잘 아는 것 같은데 막상 따져보면,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이 많지 않다. 우선, 출생만 하더라도 언제, 어디서, 누구에게 태어났는지, 기록을 아무리 뒤져봐도 찾을 수가 없다. 또 어디서 무엇을 하다가, 어떻게 죽었는지, 면천(沔川) 복씨(卜氏)의 족보를 보아도 알 수 없다.

복지겸의 윗대에 대해서도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의 인물 조에 딱 네 줄 나와 있는 게 전부다. 짧은 글 줄이지만 붙잡고 더듬어 보기로 하자.

“신라 말 복학사라는 자가 당나라로부터와 여기에 살았는데, 능히 해적을 무찌르고 유민들을 모아 보호하였다. 지겸은 그 후손이다. 처음 이름은 사괴(砂瑰)배현경과 더불어 태조를 추대하여 개국공신이 되었다. 본주 밭 삼백 경을 하사받아 자손에게 식읍(食邑)으로 하게 하였다. 시호는 무공이고, 후에 태사에 증직되었다[卜智謙新羅末有稱卜學士者自唐來居于此能勦殺海賊保聚遺民智謙其後也初名砂瑰與裵玄慶推戴太祖爲開國功臣賜本州田三百頃子孫世食之諡武恭贈太師(복지겸신라말유칭복학사자자당래거우차능초살해적보취유민지겸기후야초명사괴여배현경추대태조위개국공신사본주전삼백경자손세식지시무공증태사)].”

이 기록에서 우리가 미루어 알 수 있는 것은 복지겸의 선계(先系)는 당나라에서 왔다는 것, 해적을 물리칠 수 있을 만큼 큰 세력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과 그 세력은 바다를 배경으로 한다는 점이다.

그 당시 해적은 국가에서도 골칫거리였던 집단이었는데, 이를 물리칠 수 있는 세력을 가지고 있었다면, 상당히 강력한 세력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신라 말의 해양 세력이라 하면, 우리에게 쉽게 떠오르는 것이 장보고(張保皐)의 청해진(淸海鎭)이다. 그러나 장보고는 강력한 해상 세력이었지만, 846년에 암살당한다. 그 대신 영산강(榮山江) 하구(河口)를 중심으로 최씨(崔氏), 오씨(吳氏)가 활동하고 있는 해양 세력이 있었고, 복학사 집안의 해양 세력 집단은 혜성군(槥城郡)을 중심으로 하는 서해 중부를 무대로 활동하고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북쪽으로는 예성강(禮成江)을 중심으로 하는 또 하나의 해양 세력, 왕씨(王氏)들이 있었다. 이들 세 집단은 경쟁 관계이면서, 한편으로는 협력 관계이기도 하였을 것이다.

후일 복지겸배현경(裵玄慶) 등과 왕건(王建)을 추대하는 것은, 물론 그 시대 상황에 따른 것이겠지만, 밑바탕에는 이런 인연도 일정 부분 작용한 것은 아니었을까.

[당과의 교통 중심지 혜성]

복학사가 당나라에서 건너오게 된 배경에는, 당나라의 오계의 난(五季之亂)이 있었다고 한다. 신라 말 당나라도 나라가 조용하지 않았으니, 여러 내란이 있었다고 한다.

복학사는 이런 난세(亂世)를 피하기 위하여 말하자면 망명을 하게 된 것인데, 그러면 그들이 정착한 곳이 왜 혜성(槥城)이었을까?

먼저 중국 땅에서 가장 쉽게 올 수 있는 바다길이라는 점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산둥반도(山東半島)가 원산인 모감주나무가 태안(泰安)과 당진(唐津) 해변에 자생한다. 이것은 모감주 열매가 물길을 따라 황해에 들게 되면, 해류에 의해서 떠밀려와 정착되는 곳이 태안 해변과 당진 해변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위와 같은 자연 조건 외에, 남북국 시대에 면천(沔川)은 혜성군(槥城郡)이라 하여 꽤 너른 땅을 관할하고 있었다. 본군(本郡) 말고도 당진현(唐津縣), 여읍현(餘邑縣), 신평현(新平縣)을 영현(領縣)으로 거느리고 있었다.

혜성군은 신라 시기에 대당 교통과 해상 무역의 중심지로 번창한 곳이어서, 신라의 수군청(水軍廳), 곡창(穀倉) 등이 설치되어 있었고, 당의 사신과 상인들의 숙소가 있었다. 또한 신라의 공물을 실어 나르는 대진(大津)이라는 큰 항구가 있었다.

당나라와 교통이 빈번했고, 가장 편한 바닷길, 그곳이 ‘혜성군(槥城郡)’이었던 것이다.

또 한 가지 신라 말, 남쪽에는 영산강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해상 세력이 있었고, 북쪽에는 예성강을 중심으로 하는 왕씨의 해상 세력이 자리 잡고 있었다.

해상에서 독자 세력을 구축할 마땅한 땅은 서해 중부에 위치한 곳이 마땅하지 않았을까. 그렇다면 대진항(大津港)을 중심으로 하는 혜성이 눈에 들어올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복지겸에 대한 의문]

복지겸을 따라가다 보면 또 하나 특이한 점이 있다.

첫째, 『고려사』 등의 사서에서 복지겸홍유(洪儒), 배현경(裵玄慶), 신숭겸(申崇謙) 등과 마찬가지로, 마군(馬軍) 장군(將軍)이라고 했는데, 군사를 이끌고 전쟁을 수행한 기록이 보이지 않는다. 복지겸의 공적을 보면 환선길(桓宣吉), 임춘길(林春吉) 등의 모반 사건을 사전에 탐지하여 태조에게 고함으로써, 이를 예방하는 등의 활동이 눈에 크게 띄는 대목이고, 전쟁에 나가서 공을 세웠다는 기록을 찾을 수 없다. 다시 말하면 전투에 나가 공을 세우는 무장으로서의 공적보다는, 태조를 최측근에서 보좌하는 책사가 아니었을까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말하자면 최측근 참모 역할을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최측근에 두는 사람이라면 가장 믿을 만한 사람이어야 할 수밖에 없지 않은가. 그런 측면에서 생각해도 앞에서 잠깐 언급한대로 같은 해상 세력으로서 유대감 같은 게 작용하지는 않았을까?

둘째, 복지겸의 죽음에 대한 언급을 사서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다. 그뿐만 아니라 고려 초 이후의 행적이 추적되지 않는다. 다만 늘그막에 병이 깊었을 때의 면천(沔川) 생활이, 전설로만 남아 있을 뿐이다.

[효심이 빚은 술 두견주]

면천면 동문 1길 3[성상리 772-1]에는 천연기념물 제551호로 지정된 두 그루의 은행나무가 우람하게 서 있다. 두견주와 함께 복지겸과 관련된 전설 속의 나무다. 복지겸이 늙어서 병이 깊어 무슨 약을 써도 효험이 없을 때 딸이 백일기도 끝에, 비몽사몽간에 뜰에 두 그루 은행나무를 심고, 아미산(蛾眉山)에 핀 진달래를 따다가 안샘물로 술을 빚어, 백일 후에 드리라는 신령의 계시를 받고 그대로 해서 병을 고쳤다는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은행나무와 함께 안샘도 남아 있다. 안샘은 옷샘, 내정(內井), 화정(花井)으로도 불렸다. 조선 시대에 나온 『면천읍지』에 보면 면천읍성 안의 마을을 화정리(花井里)라 했는데, 화정리는 이 샘 이름에서 유래한 것이다. 물이 차고 좋은 샘을 ‘옷샘’이라 한다. 그 연유는 옻나무의 독이 맹독이어서 옻나무를 접촉하면 피부에 심한 염증이 생기는데, 이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아주 차갑고 좋은 샘물로 목욕을 했어야 했기에 물이 좋고 찬 샘을 ‘옷샘’이라 했던 것이다. 옷샘으로 불리는 것을 한자로 음사(音寫)하는 과정에서, 더 좋은 글자를 쓰기 위하여 옷샘 대신, 꽃샘이란 뜻의 ‘화정’으로 표기한 것이다.

[두견주의 두 갈래]

두견주의 전설을 앞에서 소개했거니와 지금 면천에는 두 갈래로 내려오는 두견주가 있다. 그 하나가 지금 시판되고 있는 상업용 두견주이다.

시판용 두견주는 박성흠(朴性欽)이 처음 양조하여 시판하던 것을, 아들 박찬성(朴燦成)이 이어받아 경영했었는데, 1960년대에 정부에서 쌀로 술을 빚는 것을 금하게 되어 중단되었다. 1986년에 무형문화재 제86-2호로 지장되어 다시 시판을 하게 되었었다. 그렇게 15년 정도 운영하다가, 기능 보유자 박승규(朴昇逵)가 2001년 8월 19일 사망하여, 기능 보유자를 승계할 사람이 없어, 기능보유자 해지와 동시에 면천 두견주의 맥이 다시 끊기게 되었다.

이렇게 해서 천년 전설이 서린 면천 두견주의 생산이 중단되기에 이르렀다. 이렇게 되자, 당진군에서 두견주의 맥을 이어 나가고자 2003년 3월 두견주 재생산에 대한 학술 용역과, 면천 두견주의 영구 보존을 위한 단체 지정을 문화재청에 건의하였다. 이 건의가 받아들여져서, 2003년 12월 면천 두견주의 표준화 용역) 및 제조의 과학화에 관한 학술 용역을 발주했으며, 2004년 8월 면천면 지역 주민 중에서 우수 가정 8가구 16인을 추천받아 면천 두견주 표준화 방안을 마련하고, 2004년 10월 면천 두견주 보존회가 구성되었다. 이어 2006년 11월 3일에 문화재청에서 면천 두견주의 제조 및 생산에 관한 단체 구성을 결정했다. 이런 과정을 거쳐 현재 면천 두견주 보존회에서 생산과 판매를 하게 되었다.

또 다른 하나는 가정에서 전통 방식에 따라 재래식으로 빚는 두견주가 있다. 이 방법으로 생산 하는 술은 생산량이 극히 소량이고, 또한 이를 빚을 수 있는 기능을 가진 노인들이 하나둘 타계함에 따라 맛보기 어렵게 되었지만, 이 두견주는 시판되는 두견주와는 차원이 다른 것이다. 누가 필자에게 그 술을 마셔 본 소감을 말해 달라고 한다면, “만약 신선이 있어 술을 마신다면 이런 술을 마시지 않을까 생각된다.”라고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허구와 진실 사이]

면천면에서 1991년에 펴낸 『유서(遺緖) 깊은 면천(沔川)』이라는 책에 보면 "면천읍성(沔川邑城)을 고려 충렬왕(忠烈王) 16년(1290)에 복규(卜奎)가 축성(築城)했다."라는 기록이 나온다. 그런데, 면천과 관련된 복규의 기사를 따라가 보면 이렇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건치연혁(建置沿革)에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본래 백제의 혜군(槥郡)인데, 신라 경덕왕(景德王)이 혜성군(槥城郡)으로 고쳤다. 고려 현종(顯宗) 때 운주(運州)에 속했고, 뒤에 감무(監務)를 두었다. 충렬왕 16년에 고을 출신 복규가 합단(合丹)병을 막은 공이 있어 면주(沔州)로 승격시켰다. 본조 태종(太宗) 십삼 년에 지금의 이름으로 고쳐 군으로 하였다[본 백제 혜군 신라 경덕왕 개혜성군 고려 현종 속운주 후치감무 충렬왕 십육년 이현인 복규 어합단병 유공 승지면주사 본조 태종 십삼년 개금명위군(本百濟槥郡新羅景德王改槥城郡高麗顯宗屬運州後置監務忠烈王十六年以縣人卜奎禦合丹兵有功陞知沔州事本朝太宗十三年改今名爲郡)].

또 같은 책의 인물 조에는 “복규지겸(智謙)의 후손이다. 충렬왕 때 합단병을 막은 공이 있어, 본현이 주가 되었다[복규 지겸예손 충렬왕 시어합단병 유공 승본현위주(卜奎 智謙裔孫忠烈王時禦合丹兵有功陞本縣爲州)]”라고 기록되어 있다.

여기서 우리가 유의해야 할 부분이 있으니, 자칫 위의 글만 보면 1290년(충렬왕 16)에 면주(沔州)가 된 것으로 해석할 소지가 있는데, 사실은 그렇지 않다. 1290년은 합단병이 난을 일으킨 해이고, 강원도에 침입한 것은 1291년(충렬왕 17)이다. 이때 적병들의 기세가 대단하여 저들이 들어온다는 소문만 듣고도 다른 고을의 장군들은 산성을 지키지 않고 달아났다고 하는데, 오직 복규만 원주산성(原州山城)을 굳게 지켜 합단병을 물리쳤다고 한다. 그 공으로 복규는 1292년(충렬왕 18) 지서경 유수(知西京留守)가 되었고, 그 다음해에는 그의 본관인 면천이 감무(監務)를 배치했던 것에서 현령(縣令)을 배치하게 되었고, 뒤이어 면주(沔州)로 승격되는데, 이때 지주사(知州事)를 배치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각종 지리지(地理誌)에도 위와 같은 내용이 기록되어 있지만, 복규면천읍성(沔川邑城)을 쌓았다는 기록은 이들 문헌뿐만 아니라, 사서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고, 위의 내용 말고는 복규와 면천이 관련된 기록은 찾을 수 없다.

복규가 합단병을 방어한 것은 원주 방호별감(防護別監)으로 있을 당시, 원주에서의 행적으로, 면천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그리고 고려 시대에 이 고을의 치소는, 조선 시대 읍성(邑城) 자리가 아니고, 몽산성(蒙山城)임을 여러 지리지가 밝히고 있으며, 면천읍성은 1439년(세종 21)에 쌓았음이 『조선왕조실록』에 명확하게 기록되어 있다.

복규면천읍성을 쌓았다는 것은, 전혀 근거가 없는 허무맹랑한 낭설(浪說)에 불과하다.

다만, 감무를 배치하고, ‘해종(海宗)’이라 불리던 것이, 복규의 공으로 면주(沔州)가 되었고, 이 지명은 1413년(태종 13) 면천군(沔川郡)으로 바뀔 때까지 사용되었다.

위에 나오는 감무를 두었을 때의 지명이 『고려사지리지(高麗史地理誌)』,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해종(海宗)’이라고 되어 있고,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면천읍지(沔川邑誌)』, 『면천현 읍지(沔川縣邑誌)』, 『면양읍지(沔陽邑誌)』 등에는 ‘종해(宗海)’라고 되어 있다.

[먼 길 돌아 고향에 눕다]

복지겸의 말년 행적은 찾을 길이 없고, 그 죽음 또한 안개 속이다. 그런데, 1988년 당진 문화원에서 펴낸 『당(唐)나루의 맥락』(인물 편)에 복지겸의 묘소가 순성면(順城面) 양유리(楊柳里)에 있다면서, 사진까지 실려 있다. 현지 조사를 통해 복지겸의 묘소라고 소개한 사진은, 복지겸의 후손 복수지(卜守之)의 묘소임이 밝혀졌다. 그 남쪽으로 조금 올라간 위치에 단(壇)을 설치하고 ‘고려 개국공신 대장군 태사/무공공 혜성 부원군 신위(高麗開國功臣大將軍太師/武恭公槥城府院君 神位)’라 새긴 비석이 서 있는데, 묘는 광주(廣州) 직동(直洞)에 있었는데 실전되었다고 새겨져 있으며, 세운 연대는 단기(檀紀) 4280년 5월이다. 서기로 환산하면 1947년이 된다. 면천 복씨(沔川卜氏) 대종회(大宗會)에서 발간한 『면천 복씨 천백 년사』에 보아도, 왜 묘소가 광주에 있게 되었는지는 문중에서도 모르고 있다.

결국 제단(祭壇)을 설치했던 곳에 1991년 11월, 비록 허묘(虛墓)이기는 하지만, 묘를 훌륭하게 정비하고, 석물(石物)도 세워서 번듯한 묘역(墓域)이 조성되었다. 묘역 아래에는 2008년에 사당인 무공사(武恭祀)까지 세워서, 왕릉 못지않은 위용을 갖추었다. 고려 개국공신 무공(武恭) 복지겸은 천여 년의 방황을 끝내고 고향땅에 편안히 잠들게 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