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1937년 대구 도시계획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8171
한자 1937年 大邱 都市計劃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일수

[정의]

조선총독부 고시에 따라 1937년 5월 1일부터 시행된 대구 도시계획.

[개설]

대구부는 1933년 7월부터 행정구역 조사에 착수한 이래 1937년 3월 「조선총독부 고시 제186호」에 따라 1937년 5월 1일부터 도시계획이 추진되었다. 대구부는 대구 시가지 계획구역·가로망·토지 구획정리 지구 결정을 발표하였다.

[내용]

대구부가 행정구역 확장을 추진하게 된 주요 배경은 대구의 팽창이었다. 1919년 기준으로 15년 동안 상업 거래액은 2배 이상, 공장 수는 2배, 공업 생산은 3배 이상, 인구는 2.5배 이상 증가하여 도시화가 크게 진전되었다. 더욱이 대구부의 거주 가능 면적은 870만 3000㎡로 1934년 인구비와 비교하면 1인당 100㎡를 이미 초과하여 과밀현상이 나타나 주거, 일자리, 교육 등의 사회문제가 일어났다. 대구에 유입된 인구는 다시 대구부 인근 달성군 성북면, 달서면, 수성면 17개 동에 몰렸는데, 1934년 말 이 지역의 인구가 4만 4118명에 이르렀다.

대구 시가지 계획구역은 달성군 성북면 4개동, 달서면 10개동, 수성면 전체 14개를 편입하여 기존 행정구역의 2배로 넓어졌다. 확장된 대구 시가지 구역에 따르면 인구는 1936년 기준으로 10만 8000여 명에서 16만 8000여 명으로 50% 이상 늘어나게 되었다. 대구 시가지 계획의 기본구상은 1910년대 일본인 중심의 식민도시로 개편된 이후 1930년대까지 안동가도, 청도가도 등의 교통로를 따라 뚜렷하게 발달하는 것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하는 것이 핵심이었다.

대구부의 토지구획정리사업은 1939년 3월부터 일본인들의 정주 공간인 동인동, 칠성동, 삼덕동, 대봉동을 대상으로 ‘대구부 제1토지구획정리지’로 책정하여 사업비 30만 7000원을 들여 1939년도부터 3개년 계속사업으로 시행할 계획이었다.

대구부는 공업용지, 주택지구 조성 및 구획정리 계획사업을 추진할 계획이었다. 공사비 340만 원으로 70만 8000평[약 234만 498㎡]의 토지를 매수하고 구획정리를 하여 저가로 공장부지와 주택지를 공급한다는 계획으로 1939년도부터 4년간의 계속사업으로 추진될 예정이었다.

대구부금호강을 개수할 계획이었다. ‘금호강 개수 사업’은 금호강 상류부와 하류부에 대한 수해대책 공사로서, 신천 합류 지점에서 하류 2.7㎞까지 30만 원의 예산으로 제방을 축조하고, 팔달교 상류 미완성 부분을 20만 원의 예산으로 공사할 계획이었다.

1937년 대구의 도시계획은 일제 초기 시구 정리 사업에 이어 본격적으로 추진된 대구의 도시계획으로[대대구의 건설]을 전망하며 추진된 것이었다. 하지만 도시계획의 시행으로 혜택을 받은 것은 일본인 구역이었다. 또 1930년대 도시계획에 따라 대구의 도시화는 진전되었으나 지배 당국의 통치질서가 관철되는 식민도시의 성격이 더욱 강해져 갔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