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남도 당진시 송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당진시 송산면 가곡리(佳谷里)는 1980년 가곡 1리와 가곡 2리로 행정리가 나누어졌다. 가곡 1리는 동쪽으로 동곡리, 북쪽으로 가곡 2리, 남쪽으로 서정리와 인접한 마을이다. 가곡 2리는 동쪽으로 동곡리, 남쪽으로 가곡1리, 북쪽으로 아산만을 끼고 경기도 평택시와 인접한 마을이다. 현대 제철 산업 단지 건설로 마을 전...
-
충청남도 당진시 송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당진시 송산면 가곡리(佳谷里)는 1980년 가곡 1리와 가곡 2리로 행정리가 나누어졌다. 가곡 1리는 동쪽으로 동곡리, 북쪽으로 가곡 2리, 남쪽으로 서정리와 인접한 마을이다. 가곡 2리는 동쪽으로 동곡리, 남쪽으로 가곡1리, 북쪽으로 아산만을 끼고 경기도 평택시와 인접한 마을이다. 현대 제철 산업 단지 건설로 마을 전...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에 속한 법정리. 가교리(佳橋里)는 기지시리의 남쪽에 있는 전형적인 농촌 마을이다. 마을 중앙에는 1958년에 준공한 송악 저수지[가교 저수지]가 있다. 유명한 신암산에 구예의 무덤과 보물 제987호인 신암사 금동 여래 좌상이 있다. 이 밖에 구서와 구예의 신도비가 있다. 현재는 가교 2리를 중심으로 중소 공장들이 입지하고 있다. 1914...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에 속한 법정리. 가교리(佳橋里)는 기지시리의 남쪽에 있는 전형적인 농촌 마을이다. 마을 중앙에는 1958년에 준공한 송악 저수지[가교 저수지]가 있다. 유명한 신암산에 구예의 무덤과 보물 제987호인 신암사 금동 여래 좌상이 있다. 이 밖에 구서와 구예의 신도비가 있다. 현재는 가교 2리를 중심으로 중소 공장들이 입지하고 있다. 1914...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가교리에 있는 능성구씨의 세거지. 능성(綾城) 구씨(具氏)는 고려 구존유(具存裕)를 시조로 하는 성씨다. 구존유는 고려 시대 벽상삼한삼중대광검교상장군(壁上三韓三重大匡檢校上將軍)을 지냈다. 고려 충숙왕[1313~1330] 대에 능성구씨 4세조인 중대광판전의시사(重大匡判典儀侍事) 구예(具藝)가 입향조이다. 구예가 죽자 그의 산소를 가교리 신...
-
충청남도 당진 지역에서 음력 8월 15일에 지내는 명절. 한가위는 8월 한가운데 있는 큰 날이라는 뜻이다. 가배일, 중추절, 중추가절, 추석이라고도 한다. 한 해 동안 지은 햇곡식과 햇과일로 정성껏 차례를 지내고, 햅쌀로 송편을 빚고, 강강술래, 가마싸움, 소먹이놀이 등 여러 가지 놀이를 즐겼다. 당진에서는 한가위에 '거북놀이'라 하여 멧방석을 등허리에 뒤집어...
-
충청남도 당진시 석문면 난지도리에 소속된 연륙도. 원래 당진시의 최북단 석문면 난지도리에 소속된 유인도였으나 1984년에 완성된 대호 방조제에 의하여 연륙되어 국도 38호선이 관통하고 있다. 현재 농어촌 공사의 휴양 단지가 개설되어 있고, 도비도항에서 난지도행 배가 운행되고 있다. 도비도(搗飛島)의 섬 모양이 새처럼 생겨서 언젠가는 '날아갈 섬'이란 데서 명칭...
-
충청남도 당진시 송산면 당산 2리 당산 저수지와 충청남도 당진시 석문면 대난지도리 용못에서 자라는 수련과 한해살이 수초. 충청남도 당진시의 가시연꽃은 수련과에 속한 한해살이풀로 몸 전체에 가시가 있고 잎자루가 길다. 잎의 윗면은 주름이 있고 광택이 나며 뒷면은 자줏빛이다. 긴 꽃대에서 자줏빛의 잎꽃이 4개 핀다. 뿌리줄기는 식용되며 씨는 약용된다....
-
충청남도 당진시 송산면 당산 2리 당산 저수지와 충청남도 당진시 석문면 대난지도리 용못에서 자라는 수련과 한해살이 수초. 충청남도 당진시의 가시연꽃은 수련과에 속한 한해살이풀로 몸 전체에 가시가 있고 잎자루가 길다. 잎의 윗면은 주름이 있고 광택이 나며 뒷면은 자줏빛이다. 긴 꽃대에서 자줏빛의 잎꽃이 4개 핀다. 뿌리줄기는 식용되며 씨는 약용된다....
-
충청남도 당진시 송산면 당산 2리 당산 저수지와 충청남도 당진시 석문면 대난지도리 용못에서 자라는 수련과 한해살이 수초. 충청남도 당진시의 가시연꽃은 수련과에 속한 한해살이풀로 몸 전체에 가시가 있고 잎자루가 길다. 잎의 윗면은 주름이 있고 광택이 나며 뒷면은 자줏빛이다. 긴 꽃대에서 자줏빛의 잎꽃이 4개 핀다. 뿌리줄기는 식용되며 씨는 약용된다....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에 속하는 법정리. 가학리는 송악읍 소재지에서 북동쪽 한진 방향으로 1㎞ 지점에 있는 전형적인 농촌 마을이다. 대부분이 완만한 구릉성 지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마을 남쪽에는 오룡산이 있으며, 기지시리에서 발원한 가학천이 동북으로 흘러 마을 한가운데를 지나 서원천에 유입한다. 지방도 619호선이 기지시에서 한진 방향으로 마을을 통과하여 지나...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가학리에서 정월 대보름날 볏가릿대 세우기와 거북놀이를 함께 하는 민속놀이.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면 가학리의 볏가리대 세우기는 정월 대보름날 마을 우물가에 볏가릿대를 세우고 다음 달 초하룻날 눕혀서 매달아 놓았던 오곡이 붙어 있으면 풍년이 든다고 믿었는데 한 해의 풍흉을 점치고 기원하는 놀이이다. 거북놀이는 마을 청년들이 거북이 형상을 만...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가학리에서 정월 대보름날 볏가릿대 세우기와 거북놀이를 함께 하는 민속놀이.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면 가학리의 볏가리대 세우기는 정월 대보름날 마을 우물가에 볏가릿대를 세우고 다음 달 초하룻날 눕혀서 매달아 놓았던 오곡이 붙어 있으면 풍년이 든다고 믿었는데 한 해의 풍흉을 점치고 기원하는 놀이이다. 거북놀이는 마을 청년들이 거북이 형상을 만...
-
충청남도 당진시 정미면 덕삼리와 충청남도 서산시 음암면 도당리, 탑곡리, 문양리 경계에 있는 산. 간대산에 대한 명칭 유래는 전해지는 것이 없다. 다만 『1872년 지방 지도』를 보면 "산줄기가 동쪽의 가야산에서 북쪽으로 올라갔다가 방향을 틀어 서쪽의 성왕산과 서산읍치의 주산으로 이어지는 중간에 간대산(干大山)"이라고 표기되어 있다. 『서산군지』(1926)에는...
-
충청남도 당진시 정미면 덕삼리와 충청남도 서산시 음암면 도당리, 탑곡리, 문양리 경계에 있는 산. 간대산에 대한 명칭 유래는 전해지는 것이 없다. 다만 『1872년 지방 지도』를 보면 "산줄기가 동쪽의 가야산에서 북쪽으로 올라갔다가 방향을 틀어 서쪽의 성왕산과 서산읍치의 주산으로 이어지는 중간에 간대산(干大山)"이라고 표기되어 있다. 『서산군지』(1926)에는...
-
충청남도 당진시 정미면 덕삼리와 충청남도 서산시 음암면 도당리, 탑곡리, 문양리 경계에 있는 산. 간대산에 대한 명칭 유래는 전해지는 것이 없다. 다만 『1872년 지방 지도』를 보면 "산줄기가 동쪽의 가야산에서 북쪽으로 올라갔다가 방향을 틀어 서쪽의 성왕산과 서산읍치의 주산으로 이어지는 중간에 간대산(干大山)"이라고 표기되어 있다. 『서산군지』(1926)에는...
-
충청남도 당진시에 조경수로 흔하게 심는 부처꽃과 낙엽 작은 키 나무. 배롱나무는 조경수로 흔하게 심는 나무로 충청남도 당진시에서도 사당, 사찰, 공원, 민가, 도로변 등에 심어져 한여름 풍경의 장관을 이룬다. 배롱나무의 나무껍질은 얇게 벗겨지며 오래되면 불규칙하게 조각으로 떨어진다. 잎은 2장씩 어긋나기로 달리는 것이 배롱나무의 특징이다. 엽질은 다...
-
충청남도 당진시 순성면에 속하는 법정리. 갈산리(葛山里)는 순성면의 북서쪽 끝에 있는 마을이다. 구릉성 지대에 위치한 전형적인 농촌 마을이다. 당진 시내와 합덕 간을 연결하는 지방도 615호선이 마을을 지나가며, 유명한 시인 윤곤강의 묘소가 있다. 갈산리는 산이 갈모처럼 생겼으므로 갈뫼, 갈미 또는 갈산(葛山)이라 하였다. 갈산리는 본래...
-
충청남도 당진시 대호지면 마중리와 정미면 산성리 경계에 있는 산. 자모산(字母山)은 성산성, 성산, 산성, 감투봉, 재미산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리며, 당진시의 서쪽 대호지면 마중리와 정미면 산성리 경계에 있는 해발 256m의 산이다. 『조선 지형도』 당진 편에는 당진읍치 남서쪽에 자모산이 나타나 있다. 자모산은 "크고 작은 봉우리 둘이 나란히 있어서...
-
충청남도 당진에서 만 60세 되는 해의 생일을 축하하는 의례. 환갑례는 충청남도 당진에서 만 60세 되는 해의 생일을 맞이하여 가족과 친지, 지인들이 축하하는 의례이다. 환갑을 맞아 자손들이 연회를 베풀어 축하하는데, 천간(天干)과 지지(地支)를 합쳐서 60갑자가 되는 날, 즉 '태어나서 다시 태어날 때의 간지를 맞는 해'의 뜻을 기리는 것이다. 이날을 화갑(...
-
충청남도 당진시의 지표면에 떨어진 비·눈 등이 모여 산지와 평야를 흘러 바다나 호수로 들어가는 냇물 또는 강. 우리나라는 지질 시대에 격심한 지각 운동이 별로 없고 조륙 운동이 서서히 행해졌기 떄문에 하천의 곡저가 낮고 경사가 느리며 평행 상태에 도달한 하천이 많다. 또 우리나라의 강우 상태가 하계 집중형이므로 하천 유출량이 동계에는 적어서 연중 불규칙성을 나타내고 있다...
-
김주원이 시조이고 김득인이 입향조인 충청남도 당진 지역의 세거 성씨. 강릉김씨(江陵金氏)는 김알지(金閼智)의 후손이며, 김춘추(金春秋)에서 나뉜 무열계 진골의 직계이다. 신라의 중대에서 하대로 넘어가는 과도기에 김주원(金周元)이 강릉으로 퇴거하여 관향으로 삼으면서 강릉김씨가 되었고, 경주 김씨 중에서 맨 처음 분파된 가문이다. 충청남도 당진시 원당동과 시곡동에...
-
충청남도 당진시 우강면에 속하는 법정리. 강문리는 삽교천 서쪽변의 소들강문 평야 지대에 위치한 전형적인 벼농사 중심의 농촌 마을이다. 낮고 평평한 평야에 기반식 경지 정리가 잘된 마을로 가옥은 높고 마른 땅에 들어서 있다. 1970년대까지 인천으로 증기선이 다니던 부리포 포구가 있다. 강문리는 조선 시대 아산만의 최대 해상 활동의 근거지인 범근내(泛...
-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당진 출신의 사회 운동가. 강선필(姜善弼)[1898~1976]은 1919년 3·1 독립 만세 운동에 참여했다가 옥고를 치렀다. 1920년대 당진의 청년 운동과 신간회 당진 지회 운동을 전개하였다. 강선필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다. 한국 전쟁 때 당진군 인민 위원장을 지낸 강선국(姜善國)이 동생이다. 강선필은 충청남도 당진시 순성...
-
당진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그리스도교의 한 분파로서의 개신교. 기독교(基督敎)[개신교]는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과 교훈을 중심으로 하는 종교로서, 천지만물을 창조한 유일신을 섬기고, 그 독생자 예수 그리스도를 구세주로 믿는다. 당진 지역에는 1895년 면천 감리교회 창립과 1905년 삼화 감리교회 창립을 시작으로 지역 내에 기독교 대한 감리회 교단 소속 교회...
-
충청남도 당진시 송산면 당산 2리 당산 저수지와 충청남도 당진시 석문면 대난지도리 용못에서 자라는 수련과 한해살이 수초. 충청남도 당진시의 가시연꽃은 수련과에 속한 한해살이풀로 몸 전체에 가시가 있고 잎자루가 길다. 잎의 윗면은 주름이 있고 광택이 나며 뒷면은 자줏빛이다. 긴 꽃대에서 자줏빛의 잎꽃이 4개 핀다. 뿌리줄기는 식용되며 씨는 약용된다....
-
개항기 충청남도 당진 지역의 역사. 조선은 1876년 일본과 조·일 수호 조규[강화도 조약]를 체결하고 문호를 개방하였다. 당시 조선의 최대 과제는 지배층의 강력한 개혁과 피지배층인 농민층의 안전을 도모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지배층의 개혁은 성리학을 앞세운 전통적 양반층과의 갈등을 통합하지 못하였고, 청과 일본의 침략적 간섭을 배제하지 못하였다. 지배층의 혼돈이 가중되는...
-
충청남도 당진시 신평면 금천리, 한정리, 도성리, 신흥리, 남산리에 걸쳐 있는 산. 당진시의 동쪽 신평면 금천리, 한정리, 도성리, 신흥리, 남산리에 걸쳐 있는 신평면의 진산이다. 조선 선조 때 천인(賤人) 김복선(金福善)이 이 산에 숨어 사는데, 세상 사람들이 모두 업신여기나 오직 율곡 이이와 토정 이지함이 그 높은 학식과 숨은 재주가 있는 것을...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석문면, 신평면의 바닷가 일대 소금기가 많은 땅에서 자라는 식물. 충청남도 당진 지역의 염생 식물(鹽生植物)은 1979년에 완공된 삽교호 방조제를 시작으로 대호지 방조제, 석문 방조제가 잇따라 축조되면서 분포지가 상당 부분 없어졌다. 염생 식물은 바닷가에서 자라므로 이름 앞에 바다를 의미하는 '갯'자가 붙는 경우가 많다. 염...
-
충청남도 당진에서 게를 손질하여 겉절이 김치와 함께 끓여 내는 향토 음식. 충청남도 당진은 바다에 인접해 있어서 해산물이 많이 나는데, 그중에서도 갯가에서 나는 것을 이용한 음식 문화가 발달하였다. 게국지는 게장을 먹고 난 게장 국물에 시래기 등을 넣고 발효시켜서 우거지처럼 만든 것을 찌개처럼 끓여 먹는 향토 음식이다. 충청도 해안가의 짭짭하면서도 구수한 입맛...
-
충청남도 당진에서 게를 손질하여 겉절이 김치와 함께 끓여 내는 향토 음식. 충청남도 당진은 바다에 인접해 있어서 해산물이 많이 나는데, 그중에서도 갯가에서 나는 것을 이용한 음식 문화가 발달하였다. 게국지는 게장을 먹고 난 게장 국물에 시래기 등을 넣고 발효시켜서 우거지처럼 만든 것을 찌개처럼 끓여 먹는 향토 음식이다. 충청도 해안가의 짭짭하면서도 구수한 입맛...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기지시리에서 매년 9월에서 11월 사이에 열리는 미술 축제. 2013년 제1회를 시작으로 해마다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의 송악읍 청년 연합회가 마을 주민 남녀노소 누구나 편하게 미술 작품을 길에서 손쉽게 접하고 감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개최하고 있다. 실사 출력한 작품을 도로 주변에 게시하여 마을 이미지를 개선하고 문화 예술이 있는 마을로...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기지시리에서 매년 9월에서 11월 사이에 열리는 미술 축제. 2013년 제1회를 시작으로 해마다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의 송악읍 청년 연합회가 마을 주민 남녀노소 누구나 편하게 미술 작품을 길에서 손쉽게 접하고 감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개최하고 있다. 실사 출력한 작품을 도로 주변에 게시하여 마을 이미지를 개선하고 문화 예술이 있는 마을로...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기지시리에서 매년 9월에서 11월 사이에 열리는 미술 축제. 2013년 제1회를 시작으로 해마다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의 송악읍 청년 연합회가 마을 주민 남녀노소 누구나 편하게 미술 작품을 길에서 손쉽게 접하고 감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개최하고 있다. 실사 출력한 작품을 도로 주변에 게시하여 마을 이미지를 개선하고 문화 예술이 있는 마을로...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기지시리에서 매년 9월에서 11월 사이에 열리는 미술 축제. 2013년 제1회를 시작으로 해마다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의 송악읍 청년 연합회가 마을 주민 남녀노소 누구나 편하게 미술 작품을 길에서 손쉽게 접하고 감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개최하고 있다. 실사 출력한 작품을 도로 주변에 게시하여 마을 이미지를 개선하고 문화 예술이 있는 마을로...
-
충청남도 당진시 합덕읍 점원리에서 매년 정초에 마을의 안녕과 화평을 기원하며 지내는 동제. 상궁원 노신제는 충청남도 당진시 합덕읍 점원리 상궁원(上宮院)에서 매년 음력 정월 첫 묘일(卯日)에 행하는 마을 제의이다. 전형적인 축액초복을 위한 동제(洞祭)이다. 마을로 들고 나는 동서남북의 길을 통해 외부에서 들어오는 액(厄)을 막고, 멀리 있는 복(...
-
충청남도 당진시 송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오산', 즉 게 모양의 산이 있어 게뫼[윗게뫼, 아랫게뫼]라 하여 상오산(上鰲山)이라 하다가 상거리(上巨里)로 바뀌었다. 예전엔 거북 마을이라고 불렀으나 면소재지가 되어 상거래를 하면서 마을 이름이 바뀌었다. 즉, 상행위가 되는 곳이라는 뜻으로 붙여진 마을 이름이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송산면 선평리와 하거리,...
-
충청남도 당진시 신평면 거산리에 있는 기독교 대한 감리회 소속 교회. 거산감리교회는 당진시 신평면 지역에 그리스도의 사랑과 복음을 전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10년에 이신애 성도가 서울에서 낙향하여 자신의 집에서 기도회를 시작한 것에서 태동하였다. 1933년에 신평면 거산리 산39번지 토지를 불하받아 초가 6칸 규모의 첫 예배당을 지었다. 1936년부터 교...
-
충청남도 당진시 신평면에 속하는 법정리. 거산리(巨山里)는 신평면 최대의 인구 밀집 지역으로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면소재지에서 떨어져 있음에도 상업 지역이 형성되어 있다. 국도 32호선, 34호선이 마을을 관통하고 있어 교통이 편리하다. 평지가 대부분의 지역을 차지하고 있는 전형적인 농촌 마을이지만 현재는 공장과 아파트가 속속 들어서고 있다. 마을 북쪽에는...
-
충청남도 당진시 대덕동에 있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산하 당진 지사.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국민 보건과 사회 보장 증진으로 국민의 삶을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건강 보험과 노인 장기 요양 보험을 관리 운영하고 4대 사회 보험 징수 업무를 수행하는 공공 기관이다. 국민 건강 보험법 제1조에 의거하여 국민의 질병과 부상에 대한 예방과 진단, 치료, 재활과 출산 및 사망,...
-
충청남도 당진시 구룡동에 있는 산. 칼바위산은 당진시 구룡동 성당 초등학교 건너편에 위치한 해발 115.4m의 산이다. 칼처럼 급한 절벽을 이룬 산이기에 ‘칼바위산’이라고 불린다. 당진시 면천면 사기소리 앞을 흘러서 구룡동을 지나 역천에 유입되는 하천이 칼바위산 앞을 흐르기에 칼바위천[劒岩川]이라 부른다. 당진시 구룡동에서 면천쪽으로 지방도를 타고...
-
충청남도 당진시 면천면 송학리 아미산에서 발원하여 당진시 면천면 사기소리를 가로질러 흐르는 하천. 당진시 면천면 송학리 아미산(峨嵋山)[350.9m]에서 발원하여 남서로 흐르는 하천으로, 삼웅리의 일산봉과 웅산에서 발원하여 흐르는 세천들을 합한 후 유로 방향을 틀어 북서류하여 흐른다. 그 다음 당진시 구룡동의 검암산(劍岩山)[칼바위산]을 에워서 사기소리의 경계...
-
충청남도 당진에서 게를 손질하여 겉절이 김치와 함께 끓여 내는 향토 음식. 충청남도 당진은 바다에 인접해 있어서 해산물이 많이 나는데, 그중에서도 갯가에서 나는 것을 이용한 음식 문화가 발달하였다. 게국지는 게장을 먹고 난 게장 국물에 시래기 등을 넣고 발효시켜서 우거지처럼 만든 것을 찌개처럼 끓여 먹는 향토 음식이다. 충청도 해안가의 짭짭하면서도 구수한 입맛...
-
충청남도 당진에서 게를 손질하여 겉절이 김치와 함께 끓여 내는 향토 음식. 충청남도 당진은 바다에 인접해 있어서 해산물이 많이 나는데, 그중에서도 갯가에서 나는 것을 이용한 음식 문화가 발달하였다. 게국지는 게장을 먹고 난 게장 국물에 시래기 등을 넣고 발효시켜서 우거지처럼 만든 것을 찌개처럼 끓여 먹는 향토 음식이다. 충청도 해안가의 짭짭하면서도 구수한 입맛...
-
충청남도 당진에서 게를 손질하여 겉절이 김치와 함께 끓여 내는 향토 음식. 충청남도 당진은 바다에 인접해 있어서 해산물이 많이 나는데, 그중에서도 갯가에서 나는 것을 이용한 음식 문화가 발달하였다. 게국지는 게장을 먹고 난 게장 국물에 시래기 등을 넣고 발효시켜서 우거지처럼 만든 것을 찌개처럼 끓여 먹는 향토 음식이다. 충청도 해안가의 짭짭하면서도 구수한 입맛...
-
충청남도 당진에서 게를 손질하여 겉절이 김치와 함께 끓여 내는 향토 음식. 충청남도 당진은 바다에 인접해 있어서 해산물이 많이 나는데, 그중에서도 갯가에서 나는 것을 이용한 음식 문화가 발달하였다. 게국지는 게장을 먹고 난 게장 국물에 시래기 등을 넣고 발효시켜서 우거지처럼 만든 것을 찌개처럼 끓여 먹는 향토 음식이다. 충청도 해안가의 짭짭하면서도 구수한 입맛...
-
충청남도 당진에서 게를 손질하여 겉절이 김치와 함께 끓여 내는 향토 음식. 충청남도 당진은 바다에 인접해 있어서 해산물이 많이 나는데, 그중에서도 갯가에서 나는 것을 이용한 음식 문화가 발달하였다. 게국지는 게장을 먹고 난 게장 국물에 시래기 등을 넣고 발효시켜서 우거지처럼 만든 것을 찌개처럼 끓여 먹는 향토 음식이다. 충청도 해안가의 짭짭하면서도 구수한 입맛...
-
충청남도 당진에서 게를 손질하여 겉절이 김치와 함께 끓여 내는 향토 음식. 충청남도 당진은 바다에 인접해 있어서 해산물이 많이 나는데, 그중에서도 갯가에서 나는 것을 이용한 음식 문화가 발달하였다. 게국지는 게장을 먹고 난 게장 국물에 시래기 등을 넣고 발효시켜서 우거지처럼 만든 것을 찌개처럼 끓여 먹는 향토 음식이다. 충청도 해안가의 짭짭하면서도 구수한 입맛...
-
충청남도 당진 지역에서 혼인과 관련되어 행하는 의례. 혼례는 인륜지대사로서 한 남자와 한 여자가 반려자가 되어 한평생을 같이 살기 위하여 의례를 지내는 것이다. 『삼국유사(三國遺事)』에 보면 환웅이 웅녀와 혼인을 하여 한겨레의 나라를 열었다고 한다. 이것으로 보아 삼국 이전의 시기부터 혼례는 이루어졌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고, 평생 의례로서 우리의...
-
충청남도 당진 지역에서 혼인과 관련되어 행하는 의례. 혼례는 인륜지대사로서 한 남자와 한 여자가 반려자가 되어 한평생을 같이 살기 위하여 의례를 지내는 것이다. 『삼국유사(三國遺事)』에 보면 환웅이 웅녀와 혼인을 하여 한겨레의 나라를 열었다고 한다. 이것으로 보아 삼국 이전의 시기부터 혼례는 이루어졌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고, 평생 의례로서 우리의...
-
충청남도 당진 출신의 조선 후기 효자. 김기연(金耆淵)[1827~1882]은 어려서부터 부모님에 대한 효성이 지극하였고, 학문이 깊었으나 부모님을 모시기 위해 과거에 응시하지 못해 우송 처사(又松處士)라 불렸다. 김기연의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경년(景年), 호는 우송(又松)이다. 김기연은 충청남도 당진시 송산면 금암리에서 출생하였다....
-
충청남도 당진시 내에서 재화, 용역 또는 서비스의 생산, 분배, 소비 등을 하는 일련의 활동 과정. 당진시는 1990년대까지만 해도 충청남도에서 최고의 오지에 해당되는 전통적인 농어촌 마을이었다. 그러나 2000년 이후 서해 대교, 서해안 고속 도로 등의 개통으로 수도권과 1시간대 생활권으로 편입된 이후 경제가 급성장하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2009년 5월 당...
-
김알지가 시조이고 김부광이 입향조인 충청남도 당진 지역의 세거 성씨. 경주김씨(慶州 金氏)의 기원은 김알지(金閼智)이고, 당진시 송악읍 복운리에 입향한 인물은 김부광(金孚光)[1589~1638]이다. 김부광은 17세기 초기 인물로 이곳에 400년 넘게 집성촌을 형성하며 거주하고 있다. 현재 이들은 많이 거주하지는 않지만, 한때 20여 호가 거주할 정도로 많이...
-
충청남도 당진시 순성면 갈산리에 있는 윤병표의 아내 경주김씨의 열행비. 경주김씨(慶州金氏)[1880~1907]는 칠원 윤씨(漆原尹氏)[경상남도 함안군 칠원읍] 윤병표(尹炳杓)[1879~1907]의 아내다. 남편이 1907년 2월 29일, 28세의 젊은 나이에 질병으로 사망하자 예법에 따라 장례를 치렀다. 경주김씨는 남편이 사망한 지 불과 13일 만인 3월 13...
-
대호지면 적서리에 있는 차숙보의 며느리 경주김씨의 효열비. 경주김씨(慶州金氏)는 대호지면 적서리의 부호였던 차숙보(車淑輔)[1859~1945]의 며느리였다. 경주김씨는 남편이 사망한 뒤에도 시부모를 극진히 모셨고, 집안일은 물론 남편을 대신하여 인천을 자주 왕래하였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해난 사고로 사망하였다. 이에 주민들이 효열비를 세웠다. 경주...
-
알평이 시조이고 이협이 입향조인 충청남도 당진 지역의 세거 성씨. 경주이씨(慶州李氏)의 시조는 신라 6촌의 알평(謁平)이고, 중시조는 이거명(李居明)이다.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복운리에 세거지를 형성한 경주이씨는 석탄공파(石灘公派)이며, 입향조는 이협(李浹)이다. 입향 시기는 대략 17세기 중엽인 1650년대로 추정된다. 시조는 초기 신라의 6촌중 알천양산촌...
-
충청남도 당진시 대호지면 출포리에 있는 경주이씨의 효부문. 경주이씨는 당진시 대호지면 출포리에 살던 김국진의 아내로 시부모를 봉양하고 남편을 잘 섬겨 벼슬길에 내보냈고, 가산을 크게 일으켰다. 하지만 남편은 소실을 얻어 가산을 탕진하였고, 병든 시부모는 끊임없이 경주이씨를 괴롭혔다. 그래도 경주이씨는 지극정성으로 시부모를 모셨고, 효부문을 받게 되었다....
-
최치원이 시조이고 최기선이 입향조인 충청남도 당진 지역의 세거 성씨. 경주최씨(慶州崔씨)는 충청남도 당진시 송산면 매곡리 탄우 마을에 세거지를 이루고 있다. 당진 입향조는 최치원의 24세손 최기선(崔己宣)[?~?]이다. 최기선은 18세기 초에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에 거주하다가 당진시 송산면 무수리에 입향하였다. 그 후 25세손 최차봉(崔次奉)이 송산면 매곡리에...
-
충청남도 당진시 정미면에 속하는 법정리. 대조리에 한새울이란 자연 마을이 있는데 이곳의 지형이 풍수지리학적으로 금닭이 알을 품은 명당인 금계 포란형(金鷄抱卵形)이다. 성주 이씨인 진잠 현감 이필범의 묘가 있는데 이 묘의 주위 마을을 한새울이라 하였다. 한새울에서 한→크다[大], 새→조로 바뀌어 ‘대조(大鳥)’라 부르기 시작하였다. 또는 대야동의 '대' 자와 한...
-
충청남도 당진에서 성년이 된 사람들에게 행하던 관혼상제 중 첫 번째 관례 의식. 고대의 관례와 계례를 현대에는 성년례라고 한다. 성년례는 법률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성년이 되어 권리와 의무가 부과되므로 일정한 의식을 통해 어른으로서의 책무를 일깨우려는 것이다. 전통 성년례는 성인으로서의 긍지와 자부심을 심어 주고 사회적 책무를 일깨워 주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 절차...
-
충청남도 당진에서 성년이 된 사람들에게 행하던 관혼상제 중 첫 번째 관례 의식. 고대의 관례와 계례를 현대에는 성년례라고 한다. 성년례는 법률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성년이 되어 권리와 의무가 부과되므로 일정한 의식을 통해 어른으로서의 책무를 일깨우려는 것이다. 전통 성년례는 성인으로서의 긍지와 자부심을 심어 주고 사회적 책무를 일깨워 주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 절차...
-
충청남도 당진시 읍내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기본이 바르게 된 사람을 교훈으로 하는 계성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큰 꿈을 품고 감성과 끼를 키우는 [天], 스스로 다지고 함께 배우며 생각과 실력을 키우는 [智],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仁]을 기르는 것이다. 1956년 2월 20일에 충청남도 당진군 당진읍 읍내리 14의 4번지에 교지를 구입하여 1...
-
충청남도 당진시 읍내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기본이 바르게 된 사람을 교훈으로 하는 계성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큰 꿈을 품고 감성과 끼를 키우는 [天], 스스로 다지고 함께 배우며 생각과 실력을 키우는 [智],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仁]을 기르는 것이다. 1956년 2월 20일에 충청남도 당진군 당진읍 읍내리 14의 4번지에 교지를 구입하여 1...
-
충청남도 당진시 읍내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기본이 바르게 된 사람을 교훈으로 하는 계성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큰 꿈을 품고 감성과 끼를 키우는 [天], 스스로 다지고 함께 배우며 생각과 실력을 키우는 [智],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仁]을 기르는 것이다. 1956년 2월 20일에 충청남도 당진군 당진읍 읍내리 14의 4번지에 교지를 구입하여 1...
-
충청남도 당진시에 있는 산지 양쪽 지역을 연결하는 교통로로 이용되는 산능성의 안부 지역. 고개란 산능성의 안부(鞍部) 지역으로서 산능선이나 산맥에 의해서 고립된 양쪽 지역을 연결하는 통로 구실을 하여, 옛날부터 교통이나 군사상으로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영어로는 패스(pass)라고 하는데, 그 어원은 패서블(passable), 즉 통과할 수 있다는 데서 비롯되었다....
-
충청남도 당진시에 있는 산지 양쪽 지역을 연결하는 교통로로 이용되는 산능성의 안부 지역. 고개란 산능성의 안부(鞍部) 지역으로서 산능선이나 산맥에 의해서 고립된 양쪽 지역을 연결하는 통로 구실을 하여, 옛날부터 교통이나 군사상으로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영어로는 패스(pass)라고 하는데, 그 어원은 패서블(passable), 즉 통과할 수 있다는 데서 비롯되었다....
-
충청남도 당진시에 묘소와 신도비가 있는 조선 전기의 무신. 김교(金嶠)[1428~1480]는 조선 초기 여진 정벌에 큰 공을 세웠고, 이시애의 난을 진압한 무신이며 어린 성종을 왕으로 옹립한 공신이다. 평양 감사로 재직 중 사망하였다. 김교의 본관은 선산(善山)이며, 자는 고경(高卿), 시호는 양양(良襄)이다. 아버지는 일선 부원군(一善府院君) 김시...
-
충청남도 당진시에 묘소와 신도비가 있는 조선 전기의 무신. 김교(金嶠)[1428~1480]는 조선 초기 여진 정벌에 큰 공을 세웠고, 이시애의 난을 진압한 무신이며 어린 성종을 왕으로 옹립한 공신이다. 평양 감사로 재직 중 사망하였다. 김교의 본관은 선산(善山)이며, 자는 고경(高卿), 시호는 양양(良襄)이다. 아버지는 일선 부원군(一善府院君) 김시...
-
충청남도 당진 출신의 사업가이면서 호서 중·고등학교 설립자. 이명휘(李明徽)[1929~1983]는 휘문 출판사를 설립해 양서를 공급하였고, 교육의 불모지였던 당진 읍내에 호서 중·고등학교를 설립한 육영 사업가이다. 이명휘의 본관은 전주(全州). 호는 고남(古南)이다. 아버지는 이보용(李輔龍), 어머니는 해주 최씨(海州崔氏) 최병(崔炳)이다....
-
충청남도 당진시 고대면 진관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고대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첫째는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행복한 삶을 개척한다', 둘째는 '공감과 소통으로 배려와 나눔을 실천한다', 셋째는 '기초·기본 학습 능력을 길러 창의력을 발휘한다', 넷째는 '다양한 체험을 통해 문화적 소양을 기른다'이다. 고대초등학교는 1910년 충청남도 당진군 고대면...
-
충청남도 당진시 고대면 용두리에 있는 감리교회. 고대제일감리교회는 1960년 2월 5일에 슬항 감리교회에서 용두리 고대 지교회로 분할하여 설립하였다. 고대제일감리교회는 고대면 소재지를 중심으로 주민의 영혼을 구원하기 위하여 설립하였다. 고대제일감리교회는 1960년 2월 5일에 슬항 감리교회에서 용두리 고대 지교회로 분할하여 설립하였다. 당...
-
충청남도 당진시 고대면 대촌리에 있는 기독교 대한 감리회 교단 소속 개신교회. 고대 중앙 감리 교회는 당진시 고대면 지역에 그리스도의 사랑과 복음을 전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고대중앙감리교회는 1957년 1월 27일 슬항 감리교회 대촌 기도처로 창립하였다. 대촌 기도처의 명칭은 처음 설립된 당진군 고대면 대촌리의 지명을 따라 지었다. 첫 성전은 19...
-
충청남도 당진시 고대면 대촌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자아를 존중하고 남을 배려하는 마음을 바탕으로 현재에 행복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교육 공동체이다. 이는 현재를 행복하게 살아가면서 미래를 준비하는 학생, 교직에 자부심을 갖고 수업 혁신으로 인재를 키우는 교사, 자녀의 끼와 꿈을 가꿔주며 일상으로 자녀와 소통하는 부모, 정서가 교감하는 교육 환경을 교육 공동체...
-
충청남도 당진시 고대면 진관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고대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첫째는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행복한 삶을 개척한다', 둘째는 '공감과 소통으로 배려와 나눔을 실천한다', 셋째는 '기초·기본 학습 능력을 길러 창의력을 발휘한다', 넷째는 '다양한 체험을 통해 문화적 소양을 기른다'이다. 고대초등학교는 1910년 충청남도 당진군 고대면...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에 속하는 법정리 고대리(古垈里)는 당진시 송악읍 소재지에서 북쪽으로 12.5㎞ 지점에 있다. 평지가 대부분의 지역을 이루고 있는 전형적인 농촌 마을이다. 아산만과 접하고 있는 북쪽에는 안섬 포구가 있다. 고대리의 안섬 포구는 일제 강점기에 경기도 화성시 우정읍 석천리 남포 나루를 통해 한양으로 가는 지름길이었다. 서쪽에는 송산 방조제에...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에 속하는 법정리 고대리(古垈里)는 당진시 송악읍 소재지에서 북쪽으로 12.5㎞ 지점에 있다. 평지가 대부분의 지역을 이루고 있는 전형적인 농촌 마을이다. 아산만과 접하고 있는 북쪽에는 안섬 포구가 있다. 고대리의 안섬 포구는 일제 강점기에 경기도 화성시 우정읍 석천리 남포 나루를 통해 한양으로 가는 지름길이었다. 서쪽에는 송산 방조제에...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고대리 안섬 포구의 방파제에 있는 등대. 고대리항 방파제 등대는 대금 형상을 한 8m 높이의 원형 콘크리트 구조로 되어 있는 빨간 원통형 등대이다. 2006년 10월 말에 준공한 고대리항 방파제 등대는 내부에 은은한 음향 시스템을 설치해 고대리항을 찾는 관광객들에게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고대리항 방파제 등대는 관광객들에게 새빨간 대금...
-
충청남도 당진시 서쪽에 있는 법정면. 고대면(高大面)은 서쪽의 고산봉(高山峰)을 중심으로 대부분 완만한 구릉으로 이어지는 서고 동저의 지형을 이루고 있다. 동부의 저지에는 논과 밭이 발달되어 있으며, 북부의 당진시 석문면과 인접한 지역에도 간척에 의해 조성된 염전이 많이 있었으나 지금은 모두 개답되어 농경지로 변했다. 한때 당진포를 비롯하여 삼포 등 많은 포구...
-
충청남도 당진시 고대면 대촌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자아를 존중하고 남을 배려하는 마음을 바탕으로 현재에 행복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교육 공동체이다. 이는 현재를 행복하게 살아가면서 미래를 준비하는 학생, 교직에 자부심을 갖고 수업 혁신으로 인재를 키우는 교사, 자녀의 끼와 꿈을 가꿔주며 일상으로 자녀와 소통하는 부모, 정서가 교감하는 교육 환경을 교육 공동체...
-
충청남도 당진시 고대면 진관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고대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첫째는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행복한 삶을 개척한다', 둘째는 '공감과 소통으로 배려와 나눔을 실천한다', 셋째는 '기초·기본 학습 능력을 길러 창의력을 발휘한다', 넷째는 '다양한 체험을 통해 문화적 소양을 기른다'이다. 고대초등학교는 1910년 충청남도 당진군 고대면...
-
충남 당진시 고대면 진관리에 있는 대한 불교 조계종 수덕사의 말사. 충청남도 당진시 고대면 진관리에 있는 성당사는 별칭으로 고두절이라고도 불린다. 절의 규모는 작지만 배산임수의 자연 경관이 아름답고 주위 공간이 넓고 조용하여 많은 불제자들이 찾아오는 곳이다. 대한 불교 조계종 제7교구 수덕사(修德寺)의 말사(末寺)이다. 창건 연대는 정확하지 않지만, 고려 때인...
-
충청남도 당진시에 있는 고등 수준보통 교육과 실업 교육을 실시하는 학교로 수업 연한은 3년이다. 충청남도 당진시에 있는 고등 보통 교육 기관으로 2016년도 현재 4개의 공립 고등학교와 4개의 사립 고등학교가 있다. 공립 고등학교로는 당진 정보 고등학교, 당진 고등학교, 합덕 제철 고등학교, 합덕 여자 고등학교가 있다. 사립 고등학교로는 호서 고등학교, 신평...
-
충청남도 당진시 석문면 통정리, 삼봉리, 교로리, 초락리, 소난지도에 자생하는 상록성 양치식물. 충청남도 당진시 석문면 통정 2리, 삼봉 3리, 교로 2리, 초락 1리, 소난지도 등에서 자생하는 고란초는 고목이나 바위에 붙어 자라는 상록성 양치식물로 백제 의자왕과 고란사에 얽힌 전설이 있다. 고란초의 뿌리는 갈색으로 불규칙한 톱니 모양으로 생겼으며...
-
충청남도 당진시 우강면 내경리의 고래탑에서 시행되는 마을 제의. 고래탑은 충청남도 당진시 우강면 내경리(內鯨里)의 마을 이름과 연관되는 조형물이다. 내경리의 '내경'은 한자로 안 내(內) 자에 고래 경(鯨) 자를 쓴다. 그래서 내경리에서는 마을 이름과 관련하여 고래에 관한 전설도 만들어져 전해 온다. 고래가 마을을 상징하는 동물이라 하여 1993년에 돌로 고래탑을 세웠고...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한진리에 있는 제조업체. 고려기초소재(주)는 슬래그 미분말을 제조하여 판매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고려기초소재는 2007년 10월에 썬메트리얼로 설립되었다. 2009년 5월에 고로슬래그 미분말 공장 준공 및 출하 개시를 하였으며, 그해 10월 KS 한국 산업 규격 표시 인증을 획득하였다. 12월에 이천 기초 소재 주식 회사로...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한진리에 있는 제조업체. 고려기초소재(주)는 슬래그 미분말을 제조하여 판매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고려기초소재는 2007년 10월에 썬메트리얼로 설립되었다. 2009년 5월에 고로슬래그 미분말 공장 준공 및 출하 개시를 하였으며, 그해 10월 KS 한국 산업 규격 표시 인증을 획득하였다. 12월에 이천 기초 소재 주식 회사로...
-
고려시대 충청남도 당진 지역 역사와 문화. 고려시대 성종은 전국을 12목으로 나누어 관리하였는데, 이 때 당진 지역은 홍주목 관할이었다. 통일신라 때부터 사용했던 혜성군[현 면천면]과 당진현, 신평현의 명칭은 그대로 유지되었다. 고려는 1018년(현종 9)에 행정 구역을 5도 양계로 개편했고, 당진 지역은 양광도(楊廣道)에 소속되었다. 고려 시대에는 정세의 변동과 인물의 등장에 따...
-
충청남도 당진시 송산면 당산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성실을 교훈으로 하는 당산 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네 가지로 다음과 같다. 첫째, 스스로 공부하며 창의력을 발휘하는 학생을 기른다. 둘째, 바르게 생각하며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의지가 강한 학생을 기른다. 셋째, 다양한 체험으로 꿈과 소질을 키우며 새롭게 표현하는 학생을 기른다. 넷째, 나눔과 배려를 실천하고 더불어...
-
충청남도 당진시 송산면 당산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성실을 교훈으로 하는 당산 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네 가지로 다음과 같다. 첫째, 스스로 공부하며 창의력을 발휘하는 학생을 기른다. 둘째, 바르게 생각하며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의지가 강한 학생을 기른다. 셋째, 다양한 체험으로 꿈과 소질을 키우며 새롭게 표현하는 학생을 기른다. 넷째, 나눔과 배려를 실천하고 더불어...
-
충청남도 당진시 고대면 장항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바른 마음·바른 행동을 교훈으로 하는 고산초등학교의 교육 목표 첫째는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바른 인성을 기른다. 둘째는 다양한 체험 활동으로 꿈과 끼를 키운다. 셋째는 기초 기본 능력을 바탕으로 창의적인 학습 태도를 기른다. 넷째는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문화와 예술을 즐길 줄 아는 감성을 기르는 것이다....
-
충청남도 당진시 고대면 장항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바른 마음·바른 행동을 교훈으로 하는 고산초등학교의 교육 목표 첫째는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바른 인성을 기른다. 둘째는 다양한 체험 활동으로 꿈과 끼를 키운다. 셋째는 기초 기본 능력을 바탕으로 창의적인 학습 태도를 기른다. 넷째는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문화와 예술을 즐길 줄 아는 감성을 기르는 것이다....
-
충청남도 당진시 고대면 고산리에 있던 조선 시대 봉수. 충청남도 당진시 고대면 서부와 대호지면 사이의 경계를 이루는 곳에 있는 고산[164m]은 해발 고도는 높지 않지만 인근 산천을 경계하기 좋은 위치에 있는 산이다. 고산의 정상에는 봉수 터가 있는데 크기가 23×21m 정도이다. 이 봉수 터가 바로 조선 시대 국가의 통신 수단으로 사용되었던 고산 봉수(高山烽...
-
충청남도 당진시 고대면 장항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바른 마음·바른 행동을 교훈으로 하는 고산초등학교의 교육 목표 첫째는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바른 인성을 기른다. 둘째는 다양한 체험 활동으로 꿈과 끼를 키운다. 셋째는 기초 기본 능력을 바탕으로 창의적인 학습 태도를 기른다. 넷째는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문화와 예술을 즐길 줄 아는 감성을 기르는 것이다....
-
충청남도 당진시 고대면 장항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바른 마음·바른 행동을 교훈으로 하는 고산초등학교의 교육 목표 첫째는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바른 인성을 기른다. 둘째는 다양한 체험 활동으로 꿈과 끼를 키운다. 셋째는 기초 기본 능력을 바탕으로 창의적인 학습 태도를 기른다. 넷째는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문화와 예술을 즐길 줄 아는 감성을 기르는 것이다....
-
충청남도 당진시 고대면 장항리에 있는 기독교 침례교회 소속 교회. 고산침례교회는 1963년 10월 3일에 성두현 전도사가 충청남도 당진시 고대면 장항리 임야 137-7번지의 산기슭에 천막을 치고 예배를 보면서 교회를 개척하였다. 고산침례교회는 충청남도 당진시 고대면 장항리 지역에 그리스도의 사랑과 복음을 전하기 위하여 설립하였다. 고산침례...
-
충청남도 당진시 고대면 장항리에 있는 기독교 침례교회 소속 교회. 고산침례교회는 1963년 10월 3일에 성두현 전도사가 충청남도 당진시 고대면 장항리 임야 137-7번지의 산기슭에 천막을 치고 예배를 보면서 교회를 개척하였다. 고산침례교회는 충청남도 당진시 고대면 장항리 지역에 그리스도의 사랑과 복음을 전하기 위하여 설립하였다. 고산침례...
-
충청남도 당진시 송산면 도문리, 창택리, 삼월리에 걸쳐 있는 산. 창택산은 옛 면천군 감천면 현재의 송산면 도문리, 창택리, 삼월리에 걸쳐있는 높이 104m의 산이다. 창택산은 현재 봉화산(烽火山), 창덕산, 창택산(倉澤山), 명해산(明海山), 고산으로도 불린다. 조선 시대에 산정상에 봉수가 있어서 서쪽으로는 당진현의 고산 봉수[고대면 고산봉]와 북쪽으로는 경...
-
충청남도 당진시 고대면 장항리에 있는 산. 고산봉(高山峰)은 당진시의 서북부 고대면 장항리에 있는 해발 149.7m 산봉우리로 고산(高山), 봉화산(峯火山)이라고 부른다.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당진 편에는 “봉화 하나가 현의 북쪽 고산(高山)에 있는데, 동쪽으로는 면천 창택산 봉수와 남쪽으로는 해미 안국산 봉수와 응한다.”라고 적혀 있다...
-
충청남도 당진시 고대면 장항리에 있는 산. 고산봉(高山峰)은 당진시의 서북부 고대면 장항리에 있는 해발 149.7m 산봉우리로 고산(高山), 봉화산(峯火山)이라고 부른다.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당진 편에는 “봉화 하나가 현의 북쪽 고산(高山)에 있는데, 동쪽으로는 면천 창택산 봉수와 남쪽으로는 해미 안국산 봉수와 응한다.”라고 적혀 있다...
-
충청남도 당진시 고대면 장항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바른 마음·바른 행동을 교훈으로 하는 고산초등학교의 교육 목표 첫째는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바른 인성을 기른다. 둘째는 다양한 체험 활동으로 꿈과 끼를 키운다. 셋째는 기초 기본 능력을 바탕으로 창의적인 학습 태도를 기른다. 넷째는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문화와 예술을 즐길 줄 아는 감성을 기르는 것이다....
-
충청남도 당진시 고대면 장항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바른 마음·바른 행동을 교훈으로 하는 고산초등학교의 교육 목표 첫째는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바른 인성을 기른다. 둘째는 다양한 체험 활동으로 꿈과 끼를 키운다. 셋째는 기초 기본 능력을 바탕으로 창의적인 학습 태도를 기른다. 넷째는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문화와 예술을 즐길 줄 아는 감성을 기르는 것이다....
-
충청남도 당진시 사기소동에서 신평면 매산리 구간을 경유하여 전라남도 무안군과 서울특별시 금천구를 연결하는 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는 1990년 12월 27일 착공하여 2001년 12월 21일 완공하였다. 서해안고속도로는 전라남도 무안군부터 서울특별시 금천구까지 총연장 340.8㎞이며, 우리 나라에서 세 번째로 긴 고속도로이다. 충청남도 당진시는 사기소동에서 신...
-
충청남도 당진시 사기소동에서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을 연결하는 고속 도로. 당진 영덕 고속 도로는 충청남도 당진시 사기소동에서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을 연결하는 고속 도로이다. 1996년 7월 1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신성동에서 충청남도 당진군 당진읍 구간을 '고속 국도 제22호선 대전~당진 고속 도로[대전~당진선]'으로, 충청북도 청원군 남이면~경상북도 상주시...
-
충청남도 당진 출신의 기업가. 이종근(李鍾根)[1919~1993]은 종근당 제약을 창업하여 국내 대표적 의약 기업으로 성장시켰다. 한국 제약업계 최초의 미국 FDA 공인 획득, 동양 최대의 발효 공장 건설 등 제약 산업 발전에 일생을 바쳤다. 또한 고촌 장학회와 학교 법인 고촌 학원을 설립하여 인재 양성에 많은 노력을 기울인 육영 사업가였다. 이종근...
-
충청남도 당진시 면천면 성상리에 있는 저수지. 골정제(骨井堤)의 조성 시기는 알 수 없지만 저수지 안의 섬에 있는 정자인 건곤 일초정(乾坤一草亭)은 1800년(정조 24)에 당시의 면천 군수이던 박지원(朴趾源)이 건립하였다. 조성 시기는 알 수 없고 옛 지리지에 골정제에 대한 기록이 있는데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동국 여지지(東國輿地志)』에는...
-
충청남도 당진시 면천면 성상리에 있는 저수지. 골정제(骨井堤)의 조성 시기는 알 수 없지만 저수지 안의 섬에 있는 정자인 건곤 일초정(乾坤一草亭)은 1800년(정조 24)에 당시의 면천 군수이던 박지원(朴趾源)이 건립하였다. 조성 시기는 알 수 없고 옛 지리지에 골정제에 대한 기록이 있는데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동국 여지지(東國輿地志)』에는...
-
충청남도 당진시 면천면 성상리에 있는 저수지. 골정제(骨井堤)의 조성 시기는 알 수 없지만 저수지 안의 섬에 있는 정자인 건곤 일초정(乾坤一草亭)은 1800년(정조 24)에 당시의 면천 군수이던 박지원(朴趾源)이 건립하였다. 조성 시기는 알 수 없고 옛 지리지에 골정제에 대한 기록이 있는데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동국 여지지(東國輿地志)』에는...
-
충청남도 당진시 해안가 산지에서 자라는 늘 푸른 큰키나무. 곰솔의 겨울눈은 회백색으로 소나무의 겨울눈 색깔인 붉은색과 쉽게 구분할 수 있다. 곰솔은 잎이 소나무(赤松) 잎보다 억세다고 해서 ‘곰솔’이라 불린다. 바닷가에서 자라는 까닭으로 해송(海松)이라 불리기도 한다. 줄기 껍질 색깔 또한 소나무보다 검어서 흑송(黑松)이란 별칭도 있다. 과실은 둥근 원뿔형 방...
-
충청남도 당진시 우강면 강문리에서 발원하여 남원천에 유입되는 하천. 당진시 우강면 강문리에서 발원하여 우강면 공포리(孔浦里)를 거쳐 남원천에 유입되는 하천이기에 ‘공포천’이라 부른다. 공포천의 이칭은 공개천이다. 간척지 내의 답작 지대(畓作地帶)를 개설하면서 수로로 낸 하천이며, 주변은 간석지를 개답하여 만든 평야 지대이다. 공포천은 유로 연장 2....
-
충청남도 당진시에 묘소가 있는 조선 전기의 무신. 남유(南瑜)[1552~1598]는 이순신(李舜臣)을 도와 왜군과 싸우다 노량 해전(露梁海戰)에서 전사한 무인이다. 남유의 본관은 의령(宜寧)이며, 자는 공근(公瑾)이다. 할아버지는 공조 참판을 지낸 남세건(南世建)이며, 아버지는 퇴계 이황과 함께 호당에서 왕세자를 교육한 남응룡(南應龍), 어머니는 연...
-
충청남도 당진시에 묘소가 있는 조선 전기의 무신. 남유(南瑜)[1552~1598]는 이순신(李舜臣)을 도와 왜군과 싸우다 노량 해전(露梁海戰)에서 전사한 무인이다. 남유의 본관은 의령(宜寧)이며, 자는 공근(公瑾)이다. 할아버지는 공조 참판을 지낸 남세건(南世建)이며, 아버지는 퇴계 이황과 함께 호당에서 왕세자를 교육한 남응룡(南應龍), 어머니는 연...
-
충청남도 당진 지역에서 일 년 열두 달 외에 더 있는 달에 행해지는 세시 풍속. 윤달은 달력의 계절과 실제 계절과의 차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일 년 중의 달의 수가 어느 해보다 많은 달을 이른다. 즉 태음력에서는 일 년을 12개월로 하면 354일 또는 355일 되어 태양력보다 11일 정도 부족하다. 이 차이를 맞추지 않으면 계절이 점점 어긋나기 때문에 이를 보완...
-
충청남도 당진 지역에서 일 년 열두 달 외에 더 있는 달에 행해지는 세시 풍속. 윤달은 달력의 계절과 실제 계절과의 차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일 년 중의 달의 수가 어느 해보다 많은 달을 이른다. 즉 태음력에서는 일 년을 12개월로 하면 354일 또는 355일 되어 태양력보다 11일 정도 부족하다. 이 차이를 맞추지 않으면 계절이 점점 어긋나기 때문에 이를 보완...
-
충청남도 당진시 우강면에 속하는 법정리. 공포리는 마을 대부분이 간척 평야 지대로 이루어져 있는 전형적인 미작 중심의 농촌 마을이다. 농가는 평야의 한가운데에 괴촌(塊村) 형태로 모여 있다. 소들강문 평야에 속하는 공포 평야가 넓게 전개되고있다. 마을 한가운데로 지방도 622호선이 합덕~남원포를 지나 신평 쪽으로 통한다. 350년 전 공씨(孔氏)가 갯뚝을 막아...
-
충청남도 당진시 우강면 강문리에서 발원하여 남원천에 유입되는 하천. 당진시 우강면 강문리에서 발원하여 우강면 공포리(孔浦里)를 거쳐 남원천에 유입되는 하천이기에 ‘공포천’이라 부른다. 공포천의 이칭은 공개천이다. 간척지 내의 답작 지대(畓作地帶)를 개설하면서 수로로 낸 하천이며, 주변은 간석지를 개답하여 만든 평야 지대이다. 공포천은 유로 연장 2....
-
충청남도 당진 지역에서 만들어 내는 유밀과. 당진 지역에서 만들어 내는 유밀과의 한 종류인데, 꿀이나 조청에 반죽한 찹쌀가루를 납작하고 네모지게 만들어 튀긴 다음 물을 들여 만든다. 당진에서는 지역에서 생산한 해나루 쌀과 농산물을 사용해 조청 등으로 한과를 만들어 판매하는 곳이 여럿 있다. 충청남도 당진시 용연동의 '양지말 한과'는 10년이 넘는 전...
-
충청남도 당진시에서 행해지는 제철 산업, 발전 산업 등 과학기술의 총칭. 현대 사회를 일컬어 흔히 ‘과학기술의 시대’라 부른다. 과학기술의 발전은 전통적인 농업 지역이던 당진시도 변화시켰다. 과학기술의 발달로 서해안 시대가 열리고 산업 개발이 본격화된 것이다. 당진시는 1994년 7월 7일 서해안 고속 도로가 개통되었고, 당진~대전 간 고속 도로가 연결되었으며...
-
고려 후기 충청남도 당진 지역의 혜성군[현 면천군] 지군사로 부임한 공민왕 때의 문신. 곽충룡(郭翀龍)은 고려 말 공민왕 때 혜성군(槥城郡)[현 면천군] 지군사(知郡事)로 부임하여 면천의 여러 고적을 조성한 인물이다. 그중 군자지(君子池)만 현재까지 남아 있다. 곽충룡은 고려 공민왕 때의 문신이다. 혜성군 지군사로 부임하여 여러 치적을 남겼다. 먼저 면천 객관...
-
충청남도 당진에서 남자와 여자에게 행하던 예전의 성년 의식. 관례는 상고 시대부터 전해 내려오는 전통 성년례이다. 남자는 땋아 내렸던 머리를 틀고 관을 씌운다는 뜻으로 '관례'라 했고, 여자는 쪽을 찌고 비녀를 올리는 뜻으로 '계례'라 했다. 그러나 책성인지례(責成人之禮)의 참뜻은 겉모양을 바꾸는 데 있지 않고, 어른으로서의 책임과 의무를 일깨우는 데에 있다....
-
충청남도 당진에서 성년이 된 사람들에게 행하던 관혼상제 중 첫 번째 관례 의식. 고대의 관례와 계례를 현대에는 성년례라고 한다. 성년례는 법률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성년이 되어 권리와 의무가 부과되므로 일정한 의식을 통해 어른으로서의 책무를 일깨우려는 것이다. 전통 성년례는 성인으로서의 긍지와 자부심을 심어 주고 사회적 책무를 일깨워 주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 절차...
-
충청남도 당진에서 성년이 된 사람들에게 행하던 관혼상제 중 첫 번째 관례 의식. 고대의 관례와 계례를 현대에는 성년례라고 한다. 성년례는 법률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성년이 되어 권리와 의무가 부과되므로 일정한 의식을 통해 어른으로서의 책무를 일깨우려는 것이다. 전통 성년례는 성인으로서의 긍지와 자부심을 심어 주고 사회적 책무를 일깨워 주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 절차...
-
충청남도 당진시 우강면 송산리 관음사에 있는 돌미륵. 당산은 당진시 우강면 송산리에 있는 해발 79m의 산으로 당산미 또는 수부산(壽富山)이라고도 불린다. 당산의 이름을 ‘당산, 수부산’으로 부르는 것은 당산에 있는 미륵당에서 사람들이 수복 부귀를 빌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며, ‘당산미’라고 부르는 것은 당산 아래 마을, 당산말이 당산미로 변하게 된 것이다. 당...
-
충청남도 당진시 합덕읍 성동리에 있는 대한 볼교 조계종 소속 사찰. 관음사는 충청남도 당진시 합덕읍 성동리 뒷산 테미산에 있는 조계종 소속 사찰이다. 관음사는 원래 성동 산성 산속에 있던 절인데 1996년에 원래 위치에서 100m 정도 떨어진 큰길 옆으로 옮겨서 신축하였다. 현재 조영되어 있는 관음사는 약 40년 전에 건립된 것으로 본래의 사지는 이...
-
충청남도 당진시 합덕읍 성동리에 있는 대한 볼교 조계종 소속 사찰. 관음사는 충청남도 당진시 합덕읍 성동리 뒷산 테미산에 있는 조계종 소속 사찰이다. 관음사는 원래 성동 산성 산속에 있던 절인데 1996년에 원래 위치에서 100m 정도 떨어진 큰길 옆으로 옮겨서 신축하였다. 현재 조영되어 있는 관음사는 약 40년 전에 건립된 것으로 본래의 사지는 이...
-
충청남도 당진시 우강면 송산리 당산에 있는 대한 불교 관음종 사찰. 관음사는 충청남도 당진시 우강면 송산리 당산에 있는 암자 형태의 사찰로 관세음보살을 봉안하고 있다. 관음사는 미상의 인물이 움막을 짓고 부처를 모시다가 1940년대 초 노재환이 당산 절터를 사면서 당산암(堂山唵)이라 이름을 붙였다. 현재는 자연 암석인 미륵 바위 옆에 부처를 두고 건...
-
충청남도 당진시 우강면 송산리 당산에 있는 대한 불교 관음종 사찰. 관음사는 충청남도 당진시 우강면 송산리 당산에 있는 암자 형태의 사찰로 관세음보살을 봉안하고 있다. 관음사는 미상의 인물이 움막을 짓고 부처를 모시다가 1940년대 초 노재환이 당산 절터를 사면서 당산암(堂山唵)이라 이름을 붙였다. 현재는 자연 암석인 미륵 바위 옆에 부처를 두고 건...
-
충청남도 당진시에서 원료를 인력이나 기계력으로 가공하여 유용한 물자를 만드는 산업. 2000년대에 들어오면서 당진은 농업 중심의 산업에서 공업[제조업] 중심의 지역으로 급격히 변모하였다. 그 원인은 서해안 고속 도로와 당진 대전 간 고속 도로가 개통되고 당진 평택항의 항만 시설이 개발되면서 수도권과 1시간대의 접근성이 확보되고 육로와 해상의 인프라가 구축되면서 물류 비용...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에 속하는 법정리. 광명리(光明里)는 송악읍 소재지에서 동남쪽 2.5㎞ 지점에 있다. 대부분의 지역이 평지로 이루어져 있는 전형적인 농촌 마을이다. 마을 서쪽에 이랑들이 넓게 펼쳐져 있으며, 중앙에는 자운사가 있다. 남동쪽에는 오봉 저수지가 있다. 마을 북쪽으로 당진~천안 간 국도 32호선이 통과하고 있으며, 마을 중앙으로 1996년에 개...
-
충청남도 당진시 송산면 유곡리에 있는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광성기업은 자동차 부품 제조 등을 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광성기업은 1983년 3월에 광성기업사를 인수하며 개칭하여 설립하였다. 1986년 12월에 현대 자동차 협력 업체로 등록되었다. 1988년 6월에 대우 자동차 협력 업체로 등록되었다. 1989년에 일본 쯔찌야 공업 주식 회사와 기술...
-
안방걸이 시조이고 안석복이 입향조인 충청남도 당진 지역의 세거 성씨.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에는 광주안씨(廣州安氏) 사간공파(思簡公派)가 집성촌을 이루고 있다. 입향조는 안석복(安錫福)[1400~1460]이다. 안석복의 후손들은 송악읍의 대지주로서 학문에 종사하였고, 중앙 관료로 진출하여 명성을 드높였다. 특히 근·현대 당진 지역 대표 유지로서 중추적 역할을...
-
이자성이 시조이고 이윤만이 입향조인 충청남도 당진 지역의 세거 성씨. 광주이씨(廣州李氏)의 선대 시조는 이자성(李自成)이고, 실질적인 시조는 고려 말 인물인 이당(李唐)이다. 당진시 송악읍 금곡리의 입향조는 이윤만(李允蔓)[1624~1682]이다. 이윤만은 17세기 후반 정치 혼란기에 화를 피하기 위하여 낙향하였다. 당진 지역의 광주이씨는 350년간 세거지를...
-
충청남도 당진시 순성면에 속하는 법정리. 광천리는 지방도 615호선이 마을을 가로질러 지나가며, 마을 앞으로 남원천이 흐른다. 동부 산록지에 과수원이 국지적으로 분포하며 양돈 농가가 많다. 1990년대 이후 소규모 공장들이 많이 입주했다. 광천리는 승선천 변에 좁은 내가 있으므로 소광천리(小光川里)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시 ‘광천...
-
충청남도 당진시 순성면에 속하는 법정리. 광천리는 지방도 615호선이 마을을 가로질러 지나가며, 마을 앞으로 남원천이 흐른다. 동부 산록지에 과수원이 국지적으로 분포하며 양돈 농가가 많다. 1990년대 이후 소규모 공장들이 많이 입주했다. 광천리는 승선천 변에 좁은 내가 있으므로 소광천리(小光川里)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시 ‘광천...
-
충청남도 당진시 송산면 삼월리에 있는 수령 약 500년의 낙엽 활엽 큰키나무. 천연기념물 제317호인 당진 삼월리 회화나무는 낙엽 활엽 큰키나무다. 가지 길이는 동서로 21.5m, 남북으로는 20.3m로 전체적으로 균형이 잡혀 안정감이 있다. 약 500여 년 전 조선 중종 때 좌의정을 지낸 이행(李荇)이 심었다고 전해진다. 당진 삼월리 회화나무의...
-
충청남도 당진시 송산면 삼월리에 있는 수령 약 500년의 낙엽 활엽 큰키나무. 천연기념물 제317호인 당진 삼월리 회화나무는 낙엽 활엽 큰키나무다. 가지 길이는 동서로 21.5m, 남북으로는 20.3m로 전체적으로 균형이 잡혀 안정감이 있다. 약 500여 년 전 조선 중종 때 좌의정을 지낸 이행(李荇)이 심었다고 전해진다. 당진 삼월리 회화나무의...
-
충청남도 당진시에 있는 조선 시대의 중등 교육 기관. 당진 향교는 조선 전기에 설립되어 당진 지역에서 중등 교육을 담당하던 대표적인 교육 기관이다. 향교는 서당에서 기초 교육을 수학한 양반의 자제들이 입학하여 수학하는 곳이었다. 일반적으로 향교에서는 선현의 제사를 받들고 후진을 양성하며 학문을 연마하였으며, 조선 후기 등장한 서원과 함께 지방 교육의 중추를 담...
-
인서가 시조이고 인희윤이 입향조인 충청남도 당진 지역의 세거 성씨. 교동인씨(喬桐印氏)는 당진 지역의 대표적인 성씨 중 하나이다. 시조는 신라 시대의 인서(印瑞)이다. 당진에 입향한 것은 인희윤(印希尹)인데, 조선 후기인 17~18세기경으로 추정된다. 인희윤은 당진시 면천면 죽동리에 세거지를 형성하였고, 이후 후손들이 인근 지역에 정착하면서 번성하게 되었다....
-
충청남도 당진시에 있는 지형 지물의 위로 건널 수 있게 만든 인공 구조물. 당진시의 교량은 2016년 현재 81개로, 총연장 길이는 3,851.3m이다. 시의 국도를 연결하는 11개 교량으로 총연장은 978.0m이다. 국지도 교량은 1개 교량에 총연장 28.0m이다. 지방도 교량은 5개 교량이 있고, 총연장 423.3m이다. 시도[동] 교량은 4개 교량이 있고...
-
충청남도 당진시의 대호 방조제 완성으로 석문면 교로리 일대에 간척에 의해서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평야. 바다의 간척지를 개발하여 농경지를 증대하고 용수원을 확보하여 식량 증산을 이루려는 대호 지구 농업 종합 개발 계획의 일환으로 대호 방조제가 축조되었다. 충청남도 당진시 석문면 교로리와 서산시 대산읍 화곡리 삼길포와의 바닷길을 잇는 길이 7,807m의 대호 방조제는 198...
-
충청남도 당진시 석문면에 속하는 법정리. 교로리(橋路里)는 석문면 소재지로부터 북쪽으로 약 9~12㎞가량 떨어져 있다. 동쪽은 장고항리와 접하고, 서쪽은 대호 농장과 초락도리, 남쪽은 삼봉리, 북쪽은 난지도리와 접하고 있으며, 해상으로 나가면 경기도의 육도와 접하게 된다. 교로리는 전설에 의하면 교로 3리 한여목의 암석 줄기가 육도 중 하나인 검은여...
-
충청남도 당진 지역 교육의 발전 과정과 현황. 근대 이전의 당진 교육에 대한 내용은 전해지는 기록이 없어 거의 살필 수가 없다. 다만 관학으로서 향교가 두 곳, 서원이 한 곳[동악 서원]이 있었으며 그 외 서당이 여러 곳에 있었다. 『경국대전(經國大典)』에 의하면 호우 지방[충남 지방]에는 공주와 홍성을 중심으로 향교가 34개 있었는데 그중 당진에는 당진과 면...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가학리에 있는 교하노씨의 효열문. 교하노씨의 본명은 노지임이다. 어려서부터 부모를 위하는 마음이 남다른 효녀였다. 안씨 집안으로 시집간 지 얼마 안 되어 남편이 병으로 사망하자 노지임은 절망하여 끼니를 거르면서도 태연하게 집안일을 보살펴 이웃에서 감동하지 않는 이가 없었다. 주변에서 노씨의 재색을 아깝게 여겨 재가할 것을 권하고 다투어...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가학리에 있는 교하노씨의 효열문. 교하노씨의 본명은 노지임이다. 어려서부터 부모를 위하는 마음이 남다른 효녀였다. 안씨 집안으로 시집간 지 얼마 안 되어 남편이 병으로 사망하자 노지임은 절망하여 끼니를 거르면서도 태연하게 집안일을 보살펴 이웃에서 감동하지 않는 이가 없었다. 주변에서 노씨의 재색을 아깝게 여겨 재가할 것을 권하고 다투어...
-
충청남도 당진시에 속하는 법정동. 구룡동은 당진 중심지에서 약 8㎞ 떨어져 있다. 서산시 운산 쪽으로 가는 구룡 고개 근처에 있는 마을이다. 대부분의 지대가 완만한 구릉성 지형으로 이루어져 있는 전형적인 농산간 부락이다. 마을 동쪽에는 저산성 구릉지가 있으며 마을 북쪽에는 동서로 검암천이 흐르고 있다. 당진 시내와 당진시 정미면, 면천면 그리고 서산시 운산면과...
-
충청남도 당진시 면천면 죽동리 아미산에 자생하는 낙엽 활엽 큰키나무. 귀룽나무는 충청남도 당진시 아미산 일대에서 자라는 나무로 중부 지역에 자생하는 낙엽 활엽 큰키나무 중에서는 가장 먼저 새순이 나온다. 당진시 합덕읍 회태리 민가에 있는 70여 년 된 귀룽나무는 개화기에 전국의 야생화 애호가들이 즐겨 찾을 정도로 마을의 명물이 되었다. 귀룽나무의 잎...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가교리와 순성면 성북리에 걸쳐 있는 산. 신암산(申庵山)은 당진시의 중동부 송악읍 가교리와 순성면 성북리에 걸쳐 있는 해발 147m의 산이다. 송악읍 가학리 신암사의 북서쪽에 있으며, 국사봉(國賜峰), 구룡산(九龍山)이라고도 부른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면천군 산천 편에 “신암산이 군의 북쪽 12리에 있다[申...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에 묘소가 있는 조선 전기의 무신. 구문로(具文老)[?~?]는 조선 시대 세조 때 무과에 급제하고 평안도 조전 절제사(助戰節制使)가 되었다.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진압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여진 토벌에 힘을 다해 ‘흑면 장군(黑面將軍)’이라 불렸다. 구문로의 본관은 능성(綾城)이고, 8세 구서(具緖)의 삼남이다....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에 묘소가 있는 조선 전기의 무신. 구문로(具文老)[?~?]는 조선 시대 세조 때 무과에 급제하고 평안도 조전 절제사(助戰節制使)가 되었다.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진압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여진 토벌에 힘을 다해 ‘흑면 장군(黑面將軍)’이라 불렸다. 구문로의 본관은 능성(綾城)이고, 8세 구서(具緖)의 삼남이다....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가교리에 있는 조선 전기 무신 구문로의 신도비. 구문로(具文老)[?~?]는 어려서부터 기개와 도량이 뛰어났고, 용맹과 지략을 갖추었다. 세조 때 무과에 급제하여 1461년(세조 7) 첨지중추원사(僉知中樞院事)와 평안도 조전절제사(助戰節制使)에 겸직으로 임명되었다. 1467년(세조 13)에 일어난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진압하여 좌익원종공...
-
충청남도 당진시 원당동에 있는 조선 전기 학자 송익필의 재실. 입한재는 구봉(龜峯) 송익필(宋翼弼)[1534~1599]의 위패를 모신 재실로, 충청남도 당진시 원당동의 묘역 입구에 세워져 있다. 입한재는 충청남도 당진시 원당동 144번지에 위치하고 있다. 송익필은 예학 및 문장의 대가였으나 후손이 변변치 못하여 제향도 모시지 못하였는데 병...
-
충청남도 당진시 송산면 매곡리에서 활동한 조선 전기의 학자. 송익필(宋翼弼)[1534~1599]의 본관은 여산(廬山), 자는 운장(雲長), 호는 구봉(龜峯), 시호는 문경(文敬)이다. 할아버지는 직장(直長)을 지낸 송인(宋璘), 아버지는 판관 송사련(宋祀連), 어머니는 연일 정씨(延日鄭氏)이다. 송익필은 재능이 비범하고 문장이 뛰어나 동생 송한필(宋...
-
충청남도 당진시 송산면 매곡리에서 활동한 조선 전기의 학자. 송익필(宋翼弼)[1534~1599]의 본관은 여산(廬山), 자는 운장(雲長), 호는 구봉(龜峯), 시호는 문경(文敬)이다. 할아버지는 직장(直長)을 지낸 송인(宋璘), 아버지는 판관 송사련(宋祀連), 어머니는 연일 정씨(延日鄭氏)이다. 송익필은 재능이 비범하고 문장이 뛰어나 동생 송한필(宋...
-
조선 중기 무렵 충청남도 당진에서 말년을 보낸 구봉 송익필과 우계 성혼, 율곡 이이 세 현인이 주고받은 서신을 후대에 4첩으로 엮은 간찰첩. 조선 중기의 문인이자 학자인 구봉(龜峯) 송익필(宋翼弼), 우계(牛溪) 성혼(成渾), 율곡(栗谷) 이이(李珥)가 주고받은 편지들을 모아 후대에 제작한 4첩(帖) 98통의 편지 모음집이다. 세 사람은 16세기 성리학(性理學)의 대가들로서 편지의...
-
충청남도 당진 출신의 조선 전기 문신 구서의 신도비. 구서(具緖)의 본관은 능성(綾城)이다. 당진시 송악읍 가교리에 세거지를 형성한 고려 충숙왕 때의 문신 면성 부원군(沔城府院君) 구예(具藝)의 고손자이다. 신도비의 내용에 따르면, 구서는 어릴 때부터 독서를 좋아하여 조숙하였고, 어머니가 사망하자 슬픔과 예절로써 장례를 치르고 제수를 손수 만들어 마을에서는 효...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가교리에 있는 구서·구이원의 효자 정려. 구서(具序)[1784~1855]의 본관은 능성(綾城), 자는 여장(汝長)이다. 어릴 적에 어머니가 사망하자 슬픔과 예를 다하여 장례를 치러 주민들이 모두 칭찬하였다. 아버지가 70세가 넘어 위독해지자 지극정성으로 간호하였고, 돌아가시자 3년간 애통해하며 시묘하였다. 구이원(具利原)[18...
-
충청남도 당진시 합덕읍 옥금리에 있는 시내나 강을 사람이나 차량이 건널 수 있게 만든 다리. 구양교(九陽橋)는 국도 32호선 도로에 삽교천 방조제가 완공되기 전에는 당진에서 육상 교통으로 천안, 인천, 서울을 왕래하는 유일한 교통로였다. 구양도(九陽島)는 합덕읍 옥금리 남동쪽 구양도 다리를 중심으로 삽교천 서쪽에 있는 마을이다. 삽교천의 평탄한 지형...
-
충청남도 당진 출신의 관료이자 번안 작가. 구연학(具然學)[1874~1940]은 한말에 군부 번역관과 내각 주사로 관리 생활을 하으며, 일제 강점기에는 군 서기와 면장을 지냈다. 구연학의 본관은 능성(綾城), 자는 중습(仲習)이다. 아버지는 구인식(具寅植), 어머니는 안동 김씨(安東金氏)이다. 구연학은 충청남도 해미군 염솔면 봉촌(鳳村)[...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에 묘소가 있는 고려 후기의 문신. 구예(具藝)[?~?]는 고려 충숙왕 때의 문신으로 면성 부원군(沔城府院君)에 봉해졌다. 구예가 사망하자 부인이 구예의 묘소를 송악읍 가교리에 조성하고 신암사(申庵寺)를 세워 위패를 봉안하였다. 구예의 본관은 능성(綾城)이며, 구연(綾珚)의 일곱째 아들이다. 부인은 도염서 령(都染署令) 신진승(...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에 있는 고려 후기 문신 구예의 신도비. 구예(具藝)[?~?]의 본관은 능성(綾城)이다. 고려 후기의 문신으로 1317년(충숙왕 17) 구재삭시(九齋朔試)에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관직은 중대광 판전의시사(重大匡判典儀寺事)에 이르렀으며, 면주(沔州)[현 충청남도 당진시 면천면]를 하사받고 면성 부원군(沔城府院君)에 봉해졌다. 충청남도 당진시...
-
충청남도 당진 지역에서 음력 9월 9일 행하는 세시 풍속. 전통 사회의 절일(節日)로는 설[1월 1일], 삼짇날[3월 3일], 단오[5월 5일], 칠석[7월 7일] 등이 있는데, 이러한 속절은 '양수(陽數)'를 길수(吉數)로 여기는 기수 민속(奇數民俗)들이다. 기수 민속은 양의 수가 중첩된다는 의미에서 다 중양이라고 할 수 있겠으나, 중양절(重陽節)이라고 하면 음력 9월...
-
충청남도 당진 출신의 조선 전기 문신. 구인문(具人文)[1409~1462]은 조선 세종 때의 문신으로, 세조가 왕위에 오르자 당진 정미면 봉생리에 귀향하여 은둔하였다. 성삼문의 거사가 실패하자 사육신의 시신을 수습했다고 전하며, 세상과의 인연을 끊고 두문불출하였다. 구인문의 본관은 능성(綾城), 자는 장숙(章叔), 호는 수옹(睡翁)이다. 아버지는 고...
-
충청남도 당진시 순성면 봉소리, 성북리, 백석리 경계에 걸쳐 있는 산. 봉서산(鳳棲山)은 현재 순성면 봉소리, 성북리, 백석리 경계에 걸쳐 있는 해발 142m의 산이다. 만대 영화지지(萬代榮華之地)의 명당이 있어서 예부터 면천군에서 유명한 산이며, 순성면의 진산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면천군 산천 조에는 “봉서산(鳳栖山)이 군의...
-
충청남도 당진시 순성면 봉소리에 있는 작은 암자. 구절암은 충청남도 당진시 순성면 봉소리에 있는 작은 암자이다. 충청남도 당진시 순성면 봉소2리 뒷편에 굽이굽이 마디지어 솟아 있는 산을 구절산(九節山)이라 부른다. 이 산안에 있는 절이라하여 ‘구절암(九節蓭)’이라 불려져 왔다. 구절산에는 옛부터 풍수지리설로 비룡 산천의 명당이 있어 그 곳에 묘를 쓰면 구대 정...
-
충청남도 당진시 순성면 봉소리에 있는 작은 암자. 구절암은 충청남도 당진시 순성면 봉소리에 있는 작은 암자이다. 충청남도 당진시 순성면 봉소2리 뒷편에 굽이굽이 마디지어 솟아 있는 산을 구절산(九節山)이라 부른다. 이 산안에 있는 절이라하여 ‘구절암(九節蓭)’이라 불려져 왔다. 구절산에는 옛부터 풍수지리설로 비룡 산천의 명당이 있어 그 곳에 묘를 쓰면 구대 정...
-
충청남도 당진시 정미면 하성리, 승산리 일대를 흐르는 지방 하천. 염솔천(鹽率川)은 당진시 정미면 덕삼리 간대산(艮大山)[175.5m]에서 발원하여 북류해 승산리에서 장전천과 합한다. 이후 온동수로에 유입되어 대호호(大湖湖)를 거쳐 아산만에 유입된다. 염솔천은 이칭으로 도산리를 지나기에 도산천(道山川), 도산이내, 구정별내 등으로 불린다. 염솔천이 발원하는 정...
-
충청남도 당진시 합덕읍 합덕리에 위치한 천주교 신앙 공동체 마을. 합덕천주교교우촌은 합덕 성당을 중심으로 형성된 신앙 공동체 마을로 주민 대부분이 천주교 신자들로 구성되어 있다. 행정 구역상으로는 충청남도 당진시 합덕읍 합덕리에 속하는데 '소들강문'이라 불리는 평야 지대에 자리하고 있으며, 예전에는 농업용수를 공급하던 합덕제[합덕 방죽]가 마을과 연결되어 있다...
-
충청남도 당진시 합덕읍에 있는 성당. 1890년 설립된 성당으로 아산 공세리 성당과 더불어 충청남도에서 가장 오래된 성당이다. 조선 시대 내포 천주 교회를 계승한 성당으로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가지고 있는 신앙 공동체이다. 조선 시대 내포 천주 교회를 계승하여 옛 신자들의 순교 정신을 현실에 구현하며 지역의 복음화에 바탕을 두어 사회에 헌신하고자 설립하였다. 천...
-
충청남도 당진시 합덕읍 합덕리에 있는 1929년에 건립한 가톨릭 교회 건축물. 1890년 설립된 합덕 성당은 서산 소길리에 처음 자리를 잡았다가 예산 양촌을 거쳐 1898년 현재의 당진시 합덕읍 합덕리로 이전하였다. 합덕리 초기에는 기와집으로 된 성당을 사용하였으나 신자가 늘어나자 1929년 3월에 신축하여 가을에 완공하고 그해 10월 9일에 봉헌식을 가졌다. 처음에는...
-
충청남도 당진시 면천군에 있던 조선 시대 공무를 담당했던 역참. 순성역(順城驛)은 순성면 양유리 역말에 있었는데 구화역이라고도 부른다. 『면천읍지』에 보면, "순성역에는 말 14필,역리 20명 노 15명, 비 1명이 있었으며, 금정역에 속해 있었다"라는 기록이 있다. 이행 등이 1531년(중종 26)에 지은 『신증동국여지승람』 면천군 역원 조에 보면. "순성역...
-
충청남도 당진시에 있는 활쏘는 장소. 국궁은 옛날부터 우리 민족의 가장 대중화된 무예이며, 군자는 반드시 익혀야 하는 필수 과목이었을 만큼 중요한 항목이었다. 현대에는 궁시(弓矢)도 현대화하여 초보자도 쉽게 접근할 수 있어 일반인들이 애용하는 운동이다. 예(禮)를 중요시하며, 사법(射法)이 준엄하여 정서 함양과 인격 수양에도 많은 도움을 주는 운동이다. 당진시...
-
충청남도 당진시에 있는 활쏘는 장소. 국궁은 옛날부터 우리 민족의 가장 대중화된 무예이며, 군자는 반드시 익혀야 하는 필수 과목이었을 만큼 중요한 항목이었다. 현대에는 궁시(弓矢)도 현대화하여 초보자도 쉽게 접근할 수 있어 일반인들이 애용하는 운동이다. 예(禮)를 중요시하며, 사법(射法)이 준엄하여 정서 함양과 인격 수양에도 많은 도움을 주는 운동이다. 당진시...
-
충청남도 당진시 정미면 대운산리에서 합덕읍 신석리 구간을 경유하여 충청남도 태안군 소원면 모항리에서 대전광역시 중구 용두동을 연결하는 일반 국도. 국도 32호선은 충청남도 태안군 소원면 모항리 만리포 해수욕장에서 대전광역시 중구 용두동 서대전 네거리를 연결하는 일반 국도이다. 당진시 경유 구간은 정미면 대운산리에서 합덕읍 신석리 구간이다. 1971년 8월 31...
-
충청남도 당진시 신평면 거산리 거산2교차로를 기점으로하여 당진시 신평면 운정리를 거쳐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덕곡리 덕곡 교차로에 이르는 일반 국도. 국도 34호선은 충청남도 당진시를 기점으로 하여 경상북도 영덕군을 연결하는 일반 국도로서 '당진-영덕선'이라고도 한다. 국도 34호선은 충청남도 당진시에서 시작하여 충청북도를 경유하여 경상북도까지 한반도의 동서를...
-
충청남도 당진시를 경유하여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에서 강원도 동해시 북평동에 이르는 일반 국도. 일반 국도 38호선은 서산-동해선으로도 불리며,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 독곶리 독곶1 교차로에서 강원도 동해시 북평동 단봉 삼거리에 이르는 도로이다. 또한 일반 국도 38호선은 충청남도, 경기도, 충청북도, 강원도로 이어져 한반도 중부 지방을 동서 방향으로 관통하는...
-
충청남도 당진시 읍내동에 있는 농산물 품질 관리 및 유통 관리를 담당하는 농림 축산 식품부 소속 기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당진 사무소는 농산품 인증 제도, 안전성 관리, 원산지 관리, 품질 관리, 농업 경영체 등록, 농업용 면세 유류 사후 관리, 직접 지불제, 농업인 확인서, 농산물 품질 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당진...
-
충청남도 당진시 대덕동에 있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산하 당진 지사.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국민 보건과 사회 보장 증진으로 국민의 삶을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건강 보험과 노인 장기 요양 보험을 관리 운영하고 4대 사회 보험 징수 업무를 수행하는 공공 기관이다. 국민 건강 보험법 제1조에 의거하여 국민의 질병과 부상에 대한 예방과 진단, 치료, 재활과 출산 및 사망,...
-
충청남도 당진시 고대면, 송악읍, 정미면, 석문면에 있는 산봉우리들. 충청남도 당진시 고대면 용두리와 슬항리 경계에 국사봉(國師峰)이, 송악읍 방계리와 순성면 갈산리의 경계에 국사봉(國賜峰)[147.1m]이, 정미면 봉생리와 고대면 항곡리 경계에 국사봉(國師峰)이, 석문면 삼봉리 곰개 남쪽, 송악읍 기지시리에 국수봉(國守峰)[66m]이 있다. 국사(國師)는 '...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가교리와 순성면 성북리에 걸쳐 있는 산. 신암산(申庵山)은 당진시의 중동부 송악읍 가교리와 순성면 성북리에 걸쳐 있는 해발 147m의 산이다. 송악읍 가학리 신암사의 북서쪽에 있으며, 국사봉(國賜峰), 구룡산(九龍山)이라고도 부른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면천군 산천 편에 “신암산이 군의 북쪽 12리에 있다[申...
-
충청남도 당진에서 매년 4월에 치러지는 마을 제사. 국수봉 당제는 현재는 기지시 줄다리기 행사 전야제 성격으로 지내지만 원래는 줄다리기와는 별도의 동제였다. 기지시 줄다리기가 국가 중요 무형 문화제로 지정되면서 기능 보유자로 지정받은 이우영(李禹永)이 기지시 줄다리기의 전야제처럼 지내는 것으로 시기를 조정했다고 한다. 지금은 기지시 줄다리기 행사...
-
충청남도 당진에서 매년 4월에 치러지는 마을 제사. 국수봉 당제는 현재는 기지시 줄다리기 행사 전야제 성격으로 지내지만 원래는 줄다리기와는 별도의 동제였다. 기지시 줄다리기가 국가 중요 무형 문화제로 지정되면서 기능 보유자로 지정받은 이우영(李禹永)이 기지시 줄다리기의 전야제처럼 지내는 것으로 시기를 조정했다고 한다. 지금은 기지시 줄다리기 행사...
-
충청남도 당진시 고대면, 송악읍, 정미면, 석문면에 있는 산봉우리들. 충청남도 당진시 고대면 용두리와 슬항리 경계에 국사봉(國師峰)이, 송악읍 방계리와 순성면 갈산리의 경계에 국사봉(國賜峰)[147.1m]이, 정미면 봉생리와 고대면 항곡리 경계에 국사봉(國師峰)이, 석문면 삼봉리 곰개 남쪽, 송악읍 기지시리에 국수봉(國守峰)[66m]이 있다. 국사(國師)는 '...
-
충청남도 당진시 합덕읍에서 당진시 대호지면 조금리를 잇는, 충청남도 청양군 대치면 탄정리를 기점으로 강원도 춘천시 서면 오월리까지 연결되는 국가 지원 지방도. 국가 지원 지방도(國家支援地方道路)는 국가의 비용으로 건설하고 광역시도의 지사나 시장이 관리하는 도로를 말한다. 도로는 국가가 건설하고 관리하는 일반 국도가 있고, 자치 단체가 건설하고 관리하는 지방도가 있다. 국...
-
충청남도 당진시에서 장기판을 중앙에 두고 두 사람이 마주 앉아 장기알을 번갈아 놀리며 승부를 겨루는 민속놀이. 장기는 장기판을 중앙에 두고 두 사람이 마주 앉아 서로 번갈아 가며 장기짝[장기알]을 움직여 공격과 수비를 교대로 하며 승부를 가리는 놀이이다. 바둑과 쌍벽을 이루는 대중적 놀이로서 전쟁의 형식을 놀이에 접목시킨 것이 특징이다. 예로부터 반상(班常)[...
-
충청남도 당진시 해안에서 서식하는 패류(貝類) 가운데 참굴. 참굴은 패류의 일종으로 굴조개라고 불리기도 한다. 해안의 바위에 붙어 서식하는 특성이 있어 석화(石花)라고도 부른다. 참굴은 바다에서 나는 우유로 불리며 인류의 역사와 함께한다고 할 만큼 사람들의 식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굴이 식용으로 이용된 역사는 오래되었으며, 선사 시대 조개더미에서 굴 껍데기가 많이...
-
충청남도 당진시에 있는 단종의 생모인 현덕 왕후가 출생하였다고 전하는 마을. 현덕 왕후(顯德王后)는 조선 제5대 문종의 왕비이며 단종의 생모다. 충청남도 당진시 합덕읍 대전리 궁말은 현덕 왕후가 태어났다고 전하는 마을이다. ‘궁말’이라는 명칭은 ‘궁인(宮人)이 살았던 마을’이라는 의미인데, 주민들은 그 궁인을 비운의 제왕이었던 단종의 생모 현덕 왕후 권씨로 여...
-
충청남도 당진 출신의 조선 후기 효자. 권제인의 본관은 안동(安東), 호는 율재(栗齋)이다. 권제인은 충청남도 당진시 정미면 우산리에서 태어났다. 권제인은 어려서부터 부모를 섬기는 것을 자랑으로 여겼으며, 평소 부모의 말을 한 번도 거역한 일이 없었다고 전한다. 어머니가 이질(痢疾)에 걸려 신음할 때 권제인은 한약을 시간에 맞추어 복용하도록 온갖 정...
-
충청남도 당진시 면천면 죽동리 아미산에 자생하는 낙엽 활엽 큰키나무. 귀룽나무는 충청남도 당진시 아미산 일대에서 자라는 나무로 중부 지역에 자생하는 낙엽 활엽 큰키나무 중에서는 가장 먼저 새순이 나온다. 당진시 합덕읍 회태리 민가에 있는 70여 년 된 귀룽나무는 개화기에 전국의 야생화 애호가들이 즐겨 찾을 정도로 마을의 명물이 되었다. 귀룽나무의 잎...
-
충청남도 당진시 면천면 죽동리 아미산에 자생하는 낙엽 활엽 큰키나무. 귀룽나무는 충청남도 당진시 아미산 일대에서 자라는 나무로 중부 지역에 자생하는 낙엽 활엽 큰키나무 중에서는 가장 먼저 새순이 나온다. 당진시 합덕읍 회태리 민가에 있는 70여 년 된 귀룽나무는 개화기에 전국의 야생화 애호가들이 즐겨 찾을 정도로 마을의 명물이 되었다. 귀룽나무의 잎...
-
충청남도 당진시에 사당이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차천로(車天輅)[1556~1615]는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문장에 뛰어나 명나라에 보내는 대부분의 외교 문서를 담당하며 명성을 떨쳤다. 차천로는 시와 가사에 조예가 깊었고 특히 한시에 능했다고 전한다. 후손들은 오산공파(五山公派)라 하여 당진시 대호지면 적서리에 세거지를 이루고 영정을 봉안한 문원사(文苑祠)를...
-
충청남도 당진시에서 그네를 뛰면서 즐기는 민속놀이. 그네뛰기는 큰 나무의 튼튼한 가지나 두 기둥의 윗부분에 나무를 가로지른 놓고, 두 줄을 매어 길게 늘이고 아랫부분에 밑싣개를 놓아 서거나 앉아서 앞뒤로 왔다 갔다 하며 노는 민속놀이이다. 그네뛰기는 음력 5월 5일 단오[천중절]에 하는 가장 대표적인 민속놀이이기도 하다. 그네뛰기는 중국 춘추시대에...
-
충청남도 당진시에서 그네를 뛰면서 즐기는 민속놀이. 그네뛰기는 큰 나무의 튼튼한 가지나 두 기둥의 윗부분에 나무를 가로지른 놓고, 두 줄을 매어 길게 늘이고 아랫부분에 밑싣개를 놓아 서거나 앉아서 앞뒤로 왔다 갔다 하며 노는 민속놀이이다. 그네뛰기는 음력 5월 5일 단오[천중절]에 하는 가장 대표적인 민속놀이이기도 하다. 그네뛰기는 중국 춘추시대에...
-
충청남도 당진시 채운동에 있는, 당진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는 연극 단체. 극단 당진은 2011년 9월에 연극에 대한 열정이 가득한 사람들을 중심으로 창단하여, 2012년 9월 창단 공연 석애영 작·연출 「사랑뎐」을 시작하였다. 매년 질 높은 공연을 통해 시민들에게 울고 웃는 감동을 주는 극단으로 성장하였고, 단원들의 피나는 노력으로 2014년 12월 사...
-
1876년 개항 이후 충청남도 당진 지역에서 진행된 근대적 교육. 개항 이후 근대화 물결의 도래와 함께 충청남도 당진 지역에도 신학(新學)이 수용되었다. 비록 충청도의 서북단의 벽지에 위치하고 있었지만 3면이 바다에 둘러싸인 지리적 특성으로 인하여 크고 작은 포구가 형성되었고 이곳을 통하여 신문물이 전래되었다. 근대 교육의 수용은 여러 형태의 학교를 곳곳에 설립하는 것으로 시작하였...
-
충청남도 당진의 인근 바다에서 10톤 미만의 소형 어선을 사용하여 조업하는 형태. 당진의 어업은 근해어업과 연안어업이 발달했다. 당진은 서해안 갯벌이 넓게 펼쳐져 있고 밀물과 썰물의 차가 크기에 수심이 깊지 않기 때문이다. 근해 어업은 총톤수 8톤 미만의 동력 어선을 사용하는 어업이다. 연안어업은 총톤수 8톤 이상 10톤 미만의 동력 어선을 사용하는 어업으로서...
-
충청남도 당진시 대덕동에 있는 수필 동호인 모임. 당진 수필 문학회는 2015년 3월에 당진 문화 예술 학교 수강생 11명을 중심으로 만들어진 당진 지역 최초의 수필 문학 단체이다. 당진 지역 문화 예술 발전 및 애호 보존은 물론 문학 창작 활동 극대화와 회원 상호 간의 친목을 도모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단체였다. 회원은 당진 문화 예술 학교 수강생이나 수료자들...
-
충청남도 당진시 대덕동에 있는 수필 동호인 모임. 당진 수필 문학회는 2015년 3월에 당진 문화 예술 학교 수강생 11명을 중심으로 만들어진 당진 지역 최초의 수필 문학 단체이다. 당진 지역 문화 예술 발전 및 애호 보존은 물론 문학 창작 활동 극대화와 회원 상호 간의 친목을 도모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단체였다. 회원은 당진 문화 예술 학교 수강생이나 수료자들...
-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당진에서 장편 소설 『상록수』를 집필한 소설가이자 시인, 영화인, 독립유공자. 심훈(沈熏)[1901~1936]은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 교동 보통학교를 졸업하고 경성 고등 보통학교 재학 중 3·1 운동에 참가하여 투옥되었다가 11월에 출옥하였다. 출옥 후 중국으로 망명하였다가 귀국하여 『동아 일보』와 『조선 중앙 일보』 기자로 생활하며 다수의 작품을...
-
충청남도 당진시 합덕읍 합덕리 합덕제에서 서식이 확인된 양서류. 국내 서식하는 3종의 멸종위기 양서류[수원 청개구리, 금개구리, 맹꽁이] 중 한 종이다. 금개구리 등의 색은 녹색, 황녹색, 갈색 또는 짙은 갈색 등 주변 환경에 따라 다양하다. 눈의 대각선 아래에 고막이 뚜렷하게 보인다. 금개구리의 가장 큰 특징은 눈 뒤에서부터 등의 양쪽 가장자리에 있는 두 줄...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금곡리에 있는 기독교 대한 감리회 소속 교회. 금곡감리교회는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지역에 그리스도의 사랑과 복음을 전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46년 한예아 성도가 최순여, 성기창 신도를 전도하여 기지시 감리교회에 출석함으로써 금곡리 복음화의 씨앗이 되었다. 1950년 12월에 이명순 성도 댁을 금곡리 기도처로 결정해 태동되었다. 1...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금곡리에 있는 기독교 대한 감리회 소속 교회. 금곡감리교회는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지역에 그리스도의 사랑과 복음을 전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46년 한예아 성도가 최순여, 성기창 신도를 전도하여 기지시 감리교회에 출석함으로써 금곡리 복음화의 씨앗이 되었다. 1950년 12월에 이명순 성도 댁을 금곡리 기도처로 결정해 태동되었다. 1...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에 속하는 법정리. 금곡리는 송악읍 소재지에서 동쪽으로 4.5㎞ 지점에 있다. 저산성 평지가 대부분의 지대를 이루고 있는 전형적인 농촌 마을로, 남동쪽에 전대 저수지가 있으며, 한음 이덕형의 사당이 있다. 금곡리는 예전에 쇠[金]가 많이 나서 쇠울[金谷], 즉 ‘금곡리(金谷里)’라 하였다. 원래 면천군 초천면(草川面) 지역이었다...
-
충청남도 당진 지역에서 종교적이나 도덕적으로 꺼리거나 금지되는 언어 표현. 일상생활에서 해서는 안 되는 말을 금기어라고 한다. 금기어는 우리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금기어의 유형은 일상생활의 전반에 걸쳐 나타난다. 금기어는 사람에게 많은 충고와 견제의 효과를 제공한다. 금기어는 과학성은 떨어지나 교훈성과 도전성을 담고 있어 사회의 문화적 영역을 풍성하게...
-
충청남도 당진시에 있는 금속류나 석물 등의 각종 유물에 새긴 글씨 또는 그림. 금석문(金石文)은 글자 그대로 쇠붙이나 석물에 새겨진 그림이나 글씨를 가리킨다. 금석문은 각 연대에 따라 글씨의 변천을 연구하는 데 유용할 뿐 아니라 그 내용은 사료로서 중요한 가치를 가지는데, 광개토 대왕릉비·진흥왕 순수비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삼국 시대와 고려 시대의 탑비는 불교사 연구에...
-
충청남도 당진시 송산면 금암리에 있는 감리교회. 금암감리교회는 1948년 3월 1일 당진 감리교회가 최초로 개척하여 설립한 교회이다. 금암감리교회는 충청남도 당진시 송산면 금암리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 복음을 전하고 주민들의 영혼을 구원하기 위하여 설립하였다. 금암감리교회는 당진 감리교회가 최초로 개척하여 설립한 교회이다. 1948년 3월...
-
충청남도 당진시 송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검고 아름다운 바위[혹은 비단 바위]가 있으므로 금바위라고 하였고, 그 이름이 변하여 ‘금암리(錦巖里)’라고 하였다. 당진시 송산면 금암리는 면천군 송산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송산면 칠절리, 항거리, 은곡리, 상초리 일부와 당진군 동면 항거리와 원당리 일부를 병합하여 그대로 금암리라 하고...
-
충청남도 당진시 송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검고 아름다운 바위[혹은 비단 바위]가 있으므로 금바위라고 하였고, 그 이름이 변하여 ‘금암리(錦巖里)’라고 하였다. 당진시 송산면 금암리는 면천군 송산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송산면 칠절리, 항거리, 은곡리, 상초리 일부와 당진군 동면 항거리와 원당리 일부를 병합하여 그대로 금암리라 하고...
-
충청남도 당진시에서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자금의 융통과 관련된 업종. 금융이란 돈의 융통 또는 영리를 위하여 사용하는 화폐의 수요 공급 관계이다. 즉, 일정 기간을 정하고 앞으로 있을 원금의 상환과 이자 변제에 대해 상대방을 신용하여 자금을 이전하는 것을 말한다. 금융 시장은 기업, 가계, 정부, 금융 기관 등 경제 주체가 금융 상품을 거래하여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고 여...
-
충청남도 당진시 신평면에 속하는 법정리. 금천리는 신평면의 중심 마을로 파출소, 우체국, 면사무소, 농협 등 공공기관들이 들어서 있다. 예전에는 5일장이 서는 등 인근 마을 사람들의 상업 활동지였다. 대부분의 지대가 평지로 이루어져 있는 전형적인 농촌 마을이며, 마을 가운데는 쇠내천이 흐르고 있다. 국도 34호선과 지방도 622호선이 지나고 있다. 신평 초등학...
-
유삼재가 시조이고 유승탄과 유언광이 입향조인 충청남도 당진 지역의 세거 성씨. 기계유씨(杞溪俞氏)는 신라 때의 유삼재(兪三宰)를 시조로 하는 성씨다. 충청남도 당진시 면천면 성상리에 주부동정공파(主簿同正公派), 우강면 창리에는 단성공파(丹城公派)가 세거지를 형성하고 있다. 면천면 성상리의 기계유씨 입향조는 유승탄(兪承坦)이고, 우강면 창리의 입향조는 유언광(兪...
-
충청남도 당진 지역에서 가뭄에 지내는 비가 오기를 기원하며 지내는 제사. 우리나라의 농업은 적기에 물이 공급되어야 하는 벼농사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조선 중기부터 보급된 이앙법으로 인해 물의 필요성은 더욱 간절해졌다. 특히 우리나라의 기후상 3~4월과 6월 말 가뭄이 빈번하여 여러 문제를 일으켰다. 가뭄은 국가적으로도, 지역적으로도 반드시 극복해야 할 재해 중 하...
-
충청남도 당진에서 조상에게 제사를 지내던 풍속. 당진 지방은 예로부터 양반의 고장이라고 불려 왔기에 관혼상제 중에서 제례 의식을 중요하게 여기는 미풍이 있고, 아직도 전통적인 방법의 제례를 행하는 가정들이 지속되고 있다. 당진의 제례는 아직도 전통적인 제례를 행하는 가정들이 대다수이지만, 현대에 와서 기독교나 불교, 천주교 교도들이 많아지면서 기도회...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기지시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사랑·정직을 교훈으로 하는 기지 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꿈을 키우는 학생을 기른다. 둘째, 기본이 바로 되고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학생을 기른다. 셋째, 기초 능력을 바탕으로 새롭게 창조하는 학생을 기른다. 넷째, 세계를 이해하고 우리 문화를 사랑하며 즐기는 학생을 기른다...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기지시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사랑·정직을 교훈으로 하는 기지 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꿈을 키우는 학생을 기른다. 둘째, 기본이 바로 되고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학생을 기른다. 셋째, 기초 능력을 바탕으로 새롭게 창조하는 학생을 기른다. 넷째, 세계를 이해하고 우리 문화를 사랑하며 즐기는 학생을 기른다...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면 기지시리에 있는 기독교 대한 감리회 소속 교회. 기지시감리교회는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지역에 그리스도의 사랑과 복음을 전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기지시감리교회는 1932년 5월 6일에 박준성, 이은경, 방한영, 이상규, 호희수, 안운봉 등의 신도들이 송산 감리교회에서 독립하여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면 기지시리에서 첫 예배를 보...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면 기지시리에 있는 기독교 대한 감리회 소속 교회. 기지시감리교회는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지역에 그리스도의 사랑과 복음을 전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기지시감리교회는 1932년 5월 6일에 박준성, 이은경, 방한영, 이상규, 호희수, 안운봉 등의 신도들이 송산 감리교회에서 독립하여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면 기지시리에서 첫 예배를 보...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기지시리에서 매년 9월에서 11월 사이에 열리는 미술 축제. 2013년 제1회를 시작으로 해마다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의 송악읍 청년 연합회가 마을 주민 남녀노소 누구나 편하게 미술 작품을 길에서 손쉽게 접하고 감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개최하고 있다. 실사 출력한 작품을 도로 주변에 게시하여 마을 이미지를 개선하고 문화 예술이 있는 마을로...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기지시리에 천주교 대전 교구에서 설립한 성당. 2003년 당진 성당에서 분가한 성당으로 송악읍과 송산면 일대를 관할하는 천주교 신앙 공동체이다. 당진 기지시 지역의 복음화와 지역 사회 봉사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천주교 기지시성당은 2003년 1월 14일 당진 성당에서 분가한 신앙 공동체다. 기지시성당이 분가한 2003년 천주...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기지시리에서 줄다리기를 소재로 한 민속 축제.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기지시리에서 국가 무형 문화재 제75호인 기지시 줄다리기를 중심으로 한 민속 축제 행사이다. 오랜 옛날부터 기지시 줄다리기를 할 때에는 줄난장이라 하여 기지시장에서 시끌벅적하게 이루어졌는데, 줄다리기뿐만 아니라 씨름, 농악 등 다양한 행사가 함께 개최되었다. 이후 문화...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기지시리에서 전승되고 있는 줄다리기 민속놀이. 기지시 줄다리기는 기지시 마을에서 전승되고 있는 줄다리기 민속으로, 500여 년 전 지역에 닥친 재난을 극복하기 위해 시작하였다고 전한다. 볏짚을 이용한다는 점에서는 농업의 특성을 보이고 있으며, 줄을 꼬는 독특한 방식인 줄틀을 활용한 줄 제작은 주대틀을 활용한 어업의 영향이...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기지시리에서 전승되고 있는 줄다리기 민속놀이. 기지시 줄다리기는 기지시 마을에서 전승되고 있는 줄다리기 민속으로, 500여 년 전 지역에 닥친 재난을 극복하기 위해 시작하였다고 전한다. 볏짚을 이용한다는 점에서는 농업의 특성을 보이고 있으며, 줄을 꼬는 독특한 방식인 줄틀을 활용한 줄 제작은 주대틀을 활용한 어업의 영향이...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기지시리에서 줄다리기를 소재로 한 민속 축제.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기지시리에서 국가 무형 문화재 제75호인 기지시 줄다리기를 중심으로 한 민속 축제 행사이다. 오랜 옛날부터 기지시 줄다리기를 할 때에는 줄난장이라 하여 기지시장에서 시끌벅적하게 이루어졌는데, 줄다리기뿐만 아니라 씨름, 농악 등 다양한 행사가 함께 개최되었다. 이후 문화...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에 있는 기지시 줄다리기 부설로 생긴 농악 단체. 1960년 기지시 줄다리기 부설 농악대로, 기지시 줄다리기 관련 행사에 참여하며 평소에는 외부 대회 참석, 각종 관내외 행사 공연 및 교육 활동 등을 추진하고 있다. 기지시 줄다리기 농악대는 농악을 연행하던 이들이 친목을 목적으로 단체를 조직, 마을 단위에서의 농악대와는 달리 신앙적이고 의식적인 면은...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기지시리에서 줄다리기를 소재로 한 민속 축제.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기지시리에서 국가 무형 문화재 제75호인 기지시 줄다리기를 중심으로 한 민속 축제 행사이다. 오랜 옛날부터 기지시 줄다리기를 할 때에는 줄난장이라 하여 기지시장에서 시끌벅적하게 이루어졌는데, 줄다리기뿐만 아니라 씨름, 농악 등 다양한 행사가 함께 개최되었다. 이후 문화...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기지시리에서 줄다리기를 소재로 한 민속 축제.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기지시리에서 국가 무형 문화재 제75호인 기지시 줄다리기를 중심으로 한 민속 축제 행사이다. 오랜 옛날부터 기지시 줄다리기를 할 때에는 줄난장이라 하여 기지시장에서 시끌벅적하게 이루어졌는데, 줄다리기뿐만 아니라 씨름, 농악 등 다양한 행사가 함께 개최되었다. 이후 문화...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기지시리에 있는 기지시 줄다리기를 비롯한 국내외 줄다리기를 전시, 연구, 교육하는 박물관. 기지시 줄다리기와 국내외 줄다리기를 테마로 한 전문 박물관으로 국가 무형 문화재 제75호 기지시 줄다리기의 전수 교육관을 겸하고 있으며, 기지시 줄다리기 민속 축제의 행사장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600여 점의 유물을 소장하고 있으며,...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에서 국가 무형 문화재 제75호 기지시 줄다리기의 보존 전승을 위해 구성된 문화재 전승 단체. 국가 무형 문화재 제75호 기지시 줄다리기의 보존 전승을 위해 구성된 문화재 전승 단체이다. 1986년 11월에 문화공보부의 보유 단체 구성 지침에 의거 보존회를 구성하였는데, 기지시와 인근 지역의 주민들로 구성되어 있다. 기지시...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기지시 줄다리기의 유래에 대한 전설. 선비가 과거에 늘 낙방할 뿐만 아니라, 윤년(閏年)마다 지역에 재해를 들게 하는 지네를 처치하고 죽은 지네의 가족이 복수할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지네 모양의 줄을 만들어 다리게 되었다고 하는 전설이다. 「기지시리 국수봉 전설」은 1993년 당진 문화원에서 그동안 수집 발표되었던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