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400577 |
---|---|
한자 | 金耆淵 |
영어공식명칭 | Gim Giyeon |
이칭/별칭 | 경년(景年),우송(又松),우송 처사(又松處士)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인물/효자·열녀 |
지역 | 충청남도 당진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김남석 |
출생 시기/일시 | 1827년![]() |
---|---|
몰년 시기/일시 | 1881년![]() |
출생지 | 김기연 출생지 -
충청남도 당진시 송산면 금암리
![]() |
성격 | 효자 |
성별 | 남 |
본관 | 연안(延安) |
충청남도 당진 출신의 조선 후기 효자.
김기연(金耆淵)[1827~1882]은 어려서부터 부모님에 대한 효성이 지극하였고, 학문이 깊었으나 부모님을 모시기 위해 과거에 응시하지 못해 우송 처사(又松處士)라 불렸다.
김기연의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경년(景年), 호는 우송(又松)이다.
김기연은 충청남도 당진시 송산면 금암리에서 출생하였다. 김기연이 일곱살 때 어머니가 유종(乳腫)으로 고생하며 모든 약이 효과가 없었다. 이때 의원이 말하길, 어린이가 입으로 빨아 내면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하였다. 김기연은 의원의 말대로 어머니 유종을 입으로 빨아냈고, 어머니는 10여 일 만에 치료되었다. 그 후 아버지의 왼쪽 다리에 큰 종기가 나서 4개월간 고통을 겪게 되자 김기연은 6일간이나 입으로 고름을 빨아 내 낫게 하였다. 훗날 환갑을 넘긴 어머니가 중병으로 사경을 헤매자 김기연은 자신의 왼쪽 다리를 칼로 베어 내고 선혈을 입에 넣어 드렸고, 어머니는 석 달을 더 살았다. 같은 마을에 사는 주민들은 이 사실을 듣고 "천효(天孝)의 감응(感應)"이라고 칭송하였다.
김기연은 일찍이 조삼계(趙三溪)에게 학문을 배웠는데 아버지의 병환을 돌보느라 과거에 응시하지 않았다고 전한다. 김기연의 저술로는 『경람집(擎覽集)』이 있다.
김기연의 묘소는 충청남도 당진시 송산면 금암리 ‘항거(項巨)’에 있다.
후손들은 1984년 김기연의 묘소 앞에 ‘효행 묘비(孝行墓碑)’를 세웠다. 이병태(李炳台)가 쓴 비문에는 "모친께서 병환이 위중함에 허벅지에 칼을 찔러 수십 수저의 선혈을 받아 어머니께 드시게 하였더니 석 달을 더 사셨다"고 기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