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401315 |
---|---|
한자 | 白巖里傳說 |
영어공식명칭 | The Legend of Baegam-ri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충청남도 당진시 채운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구자경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11년 - 「백암리 전설」, 『당진읍지』에 수록 |
---|---|
관련 지명 | 용샘 - 충청남도 당진시 채운동 |
성격 | 전설 |
모티프 유형 | 용의 승천 모티프와 노파의 비극적 죽음 모티프 |
충청남도 당진시 채운동의 용샘에 대해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백암리 전설」은 충청남도 당진시 채운동에 있는 용샘에 얽힌 전설이다. 용샘이 있는 백암(白巖) 마을은 바위들이 대부분 흰 석회석(石灰石)이라서 붙은 이름이다. 석회석은 물을 만나면 용식(溶蝕) 작용으로 바위가 녹아 버리고 지하에 큰 공동(空洞)을 만드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석회석 산지에는 지하의 바위틈을 따라서 물줄기가 흘러가므로 지하수의 용출이 많다. 옛날 이 샘에 용이 살다가 올라갔기에 ‘용샘’이라 한다는 말이 전해 오고 샘 옆에 있는 참나무 등걸을 타고 올라갔다는 설도 있다. 이 용샘은 백암골 20여 가구의 간이 상수도로 사용되었다.
「백암리 전설」은 『당진읍지』(당진읍, 2011)에 수록되었다.
옛날 당진 백암리의 한 샘에 용이 살다가 승천하여 ‘용샘’이라 부른다는 말이 전한다. 예전부터 용샘은 크고 수심이 깊어 넘쳐흘러서 사람들이 근처에도 잘 못 갔다고 한다. 용샘은 큰 마을 뒷산의 바로 밑 조그만 냇가 옆에 있는데 이 뒷산 너머 채운리 행동 마을에 있는 공동 우물과 연결되어서 이 용샘 물을 많이 퍼 올리면 행동 우물이 줄었다. 옛날 백암골에 기름을 짜서 먹고사는 할머니가 있었는데 백암골이나 뒷산 너머 행동 마을에서 기름을 짤 때는 이 할머니를 불렀다. 어느 날 할머니가 행동 마을에서 기름을 짜고 나무로 만든 기름 짜는 도구인 기름챗날을 등에 메고 뒷산을 넘어오다 미끄러져서 용샘에 빠져 죽었다. 기름챗날은 나무로 만든 와이(Y) 자 모양인데 아주 무겁고 또 뒷산이 워낙 경사가 심해서 바로 산 밑에 있는 용샘에 빠졌던 것이다. 그때는 기름챗날이 하나밖에 없어 행동 마을과 백암골에서 서로 빌려 썼으므로 할머니가 이것을 지고서 뒷산 오솔길을 오르내렸다. 새마을 사업을 할 때 용샘 물을 농사에 쓰려고 더 깊이 팠는데 석회암 굴에서 기름챗날 밑부분이 발견되어 마을 사람들이 전설이 사실이구나 하고 감탄했다.
「백암리 전설」은 용의 승천 모티프와 노파의 비극적 죽음 모티프가 결합된 구조이다. 용이 승천했다는 이야기에서 ‘용샘’의 이름이 만들어지고, 기름을 짜며 생계를 유지하던 노파가 샘에 빠져 죽었다는 데서 용샘의 규모를 가늠해 볼 만하다. 마을의 식수와 생활용수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샘에 얽힌 다양한 전설 중 하나인 백암리 용샘 전설은 서민들의 애환을 고스란히 보여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