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400148 |
---|---|
한자 | 大湖大橋 |
영어공식명칭 | Daeho Bridge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도로와 교량 |
지역 | 충청남도 당진시 대호지면 적서리|고대면 당진포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한창준 |
준공 시기/일시 | 2000년![]() |
---|---|
전구간 | 대호대교 -
충청남도 당진시 대호지면 적서리~충청남도 당진시 고대면 당진포리![]() |
성격 | 교량 |
길이 | 다리 길이 530.8m |
차선 | 왕복 1차선 |
폭 | 총 폭 14.0m |
충청남도 당진시 대호지면 적서리와 고대면 당진포리를 연결하여 시내나 강을 사람이나 차량이 건널 수 있게 만든 다리.
‘대호지(大湖芝)’라는 지명은 사성리 대호 마을에서 유래했다. 대호지 마을 이름은 지형이 바닷가로 길게 뻗어서 옆의 가로림만이 호수처럼 생기고 곶[串]을 이루어서 붙여진 지명이다. 현재는 지명 그대로 대호 방조제가 당진시 석문면 교로리와 서산시 삼길포리 사이에 완공되어 대호(大湖)란 커다란 인공 호수가 옆에 생겼다. 이 지명을 당진시 대호지면 적서리와 고대면 당진포리를 연결하여 지방도 647호선을 따라 가는 교량의 명칭에 사용했다.
다리 길이 530.8m, 총 폭 14.0m, 유효 폭 7.0m, 다리 높이 9.8m, 경간(徑間)[다리, 건물, 전주 따위의 기둥과 기둥 사이, 또는 그 사이의 거리] 5개, 최대 경간장 130.0m, 상부 EXT, 하부 VP, 설계 하중 DB-24, 차선 수는 왕복1차선이다. 인도와 자전거 도로가 설치되었다. 난간은 철근 콘크리트로 만들어졌다.
옛날에는 바다였으나 대호 방조제가 건설되어 호수가 됨으로써 지방도 647호선이 지나가 교량을 설치하게 되었다. 지방도 재원은 도비·국비를 포함한 약 400억 원이 소요되었다.
지방도 647호선이 대호지면 적서리에서 석문면 장고항까지 연장됨에 따라 2000년에 적서리와 당진포리 해창 사이의 공유 수면상에 설치한 교량이다.
대호대교는 대호지면 4.4 만세로 조금 삼거리에서 시작해서 대호지면 119 지역대, 조금 마을 회관, 사성 삼거리, 해창 교차로, 파레 교차로 삼봉 사거리를 잇는 16.0㎞ 도로에 있는 교량이다. 교통량은 15,000대 이상이 통과하고 있다. 대호지면 적서리와 고대면 당진포리 사이에 대호지를 건너는 교량을 설치함으로써 우회 노선 약 50㎞를 직선화하여 약 1시간 30분 정도 시간이 단축되는 경제적 효과를 얻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