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400479 |
---|---|
한자 | 具文老神道碑 |
영어공식명칭 | Memorial Stone for Gu Munro |
이칭/별칭 | 흑면 장군(黑面將軍)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유적/비 |
지역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가교리 산80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김남석 |
건립 시기/일시 | 1926년![]() |
---|---|
현 소재지 | 구문로 신도비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가교리 산80
![]() |
원소재지 | 구문로 신도비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가교리 산80 |
관련 인물 | 구문로 |
재질 | 화강석[기단]|오석[비신] |
크기(높이, 너비, 두께) | 약 56㎝[가로]|158㎝[세로]|25.5㎝[두께] |
소유자 | 능성 구씨 대종회 |
관리자 | 능성 구씨 대종회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가교리에 있는 조선 전기 무신 구문로의 신도비.
구문로(具文老)[?~?]는 어려서부터 기개와 도량이 뛰어났고, 용맹과 지략을 갖추었다. 세조 때 무과에 급제하여 1461년(세조 7) 첨지중추원사(僉知中樞院事)와 평안도 조전절제사(助戰節制使)에 겸직으로 임명되었다. 1467년(세조 13)에 일어난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진압하여 좌익원종공신(左翼原從功臣) 2등에 봉해졌다.
구문로는 궁마(弓馬)에 능숙하여 요동 지역에서 여진족을 무찌르는 데 큰 공을 세웠다. 여진족은 구문로를 ‘흑면 장군(黑面將軍)’이라 부르며 두려워하였는데, 구문로의 얼굴에 손바닥만 한 검은 사마귀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는 신장이 8~9척이나 되었고, 체구가 건장하였다. 특히 활쏘기를 잘하여 세조가 사냥을 나갈 때 사대장(射隊長)으로 삼았다고 한다.
신도비는 아버지인 구서의 신도비와 함께 1926년에 세웠다. 효릉 참봉(孝陵參奉) 구연창(具然敞)이 문장을 짓고, 구자승(具滋昇)이 글씨를 썼다. 또한 권중하(權重夏)가 두전(頭篆)[비석 몸체의 머리 부분에 돌려 가며 쓴 전자(篆字)]을 썼다.
구문로 신도비는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가교리 산80에 있다. 당진시 송악읍 소재지에서 남쪽 619호선 도로를 따라 순성 방면으로 약 4㎞쯤 가면 가교리 저수지가 있다. 저수지를 지나 가교 2리 마을회관 앞으로 들어가면 ‘영경재(永敬齋)’라는 제각이 있다. 신도비는 제각 뒤의 묘소 앞에 있다.
구문로 신도비는 화강석 재질의 직사각형 기단 위에 오석으로 비신을 세웠다. 비신의 크기는 가로 약 56㎝, 세로 158㎝, 두께 25.5㎝이다. 비신 위에는 화강석 지붕돌을 올렸다. 지붕돌을 포함한 전체 높이는 203㎝이다.
구문로 신도비의 비명은 ‘가선대부 병사 구공 신도비명(嘉善大夫兵使具公神道碑銘)’이다. 신도비의 옆면과 뒷면에는 비문이 새겨져 있다.
구문로의 묘소 앞에 있는 묘비는 아버지인 구서의 묘비와 같이 중앙이 솟아오른 독특한 형태이다. 시기가 오래되어 글씨는 알아볼 수 없을 만큼 부식되었다. 신도비 아랫부분도은 많이 손상되어 글씨 확인이 안 되는 곳도 있다. 구서 신도비와 구문로 신도비는 같은 마을 안에서도 다른 곳에 있었다. 능성 구씨 신암 종중에서는 2003년 10월 구서를 중심으로 묘소와 신도비를 한곳으로 모으고 묘역을 정화하였으며, 음력 3월 3일에 시제를 지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