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천주교 연도 의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401512
한자 天主敎煉禱儀禮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종교/기독교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충청남도 당진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고대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지 구 합덕 성당 - 충청남도 당진시 합덕읍 합덕성당2길 22[합덕리 275-2]지도보기

[정의]

충청남도 당진시에서 연옥에서 고통받는 영혼을 위해 천주교 신자들이 드리는 상·장례 노래.

[개설]

충청남도 당진시의 연도는 장례식이나 기일에 하는 죽은 자들을 위한 기도라는 천주교의 보편적인 문화 전통과 우리나라 고유의 가창 전통이 어우러져 나타난다. 조선 시대의 기제사와 장례 행사를 천주교에서 수용, 대체한 형태로 신앙 공동체를 중심으로 함께 연행한다. 적어도 150~200여 년 전에 나타난 것으로 보이며, 전국 대부분의 지역에서 연행된다. 충청남도 당진의 경우 특히 천주교의 요람, 신앙의 못자리로서 이러한 전통이 뿌리 깊게 남아 있다.

[채록/수집 상황]

「천주교 연도 의례」는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하지만 새로운 통일안 연도를 보급하면서 지역의 특징이 살아 있는 옛 연도는 신 연도에 잠식되거나 대체되었다. 당진시 합덕 성당의 김성태 신부는 옛 연도의 모습을 보존하고자 노력하였으나 새로운 연도가 보급된 지 시간이 지났고, 옛 연도를 기억하는 사람들도 대부분 신·구 연도가 혼용하는 양상이 대부분이라 온전히 구 연도를 연행하는 사람들을 찾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구성 및 형식]

연도의 내용은 성경의 기도문을 바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시편 62편, 시편 129편, 시편 50편, 성인 호칭 기도[연옥도문], 찬미 기도, 주님의 기도, 마침 기도, 성가 등으로 구성되며, 죽은 자의 세례명을 넣어 망자의 구원을 기원한다. 이러한 구성과 순서는 실제 연도를 바칠 때의 여건에 따라 조정이 가능하다. 시편은 자기 성찰로서 하느님 앞에 죄인일 수밖에 없는 삶의 통회를 담고 있다. 호칭 기도는 죽은 영혼의 구원에 대한 청원을, 찬미 기도는 하느님에 대한 찬미를 노래한다. 연도는 남자와 여자로 나누어 상호 교환 창 형식으로 연도를 바치며, 연도꾼이 선창하는 경우도 있다. 우리의 전통 음악 어법으로 구성된 가락을 가지고 있으며 연도꾼이 선창하면 연령회의 회원들이 후창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당초에는 각 지방별로 나름의 형태 차이를 보이면서 존재했으나 오늘날에는 천주교에서 통일된 연도를 보급하면서 옛 연도의 가락은 잊혀지고 있다.

[내용]

연옥은 천주교의 사후 세계 중 하나로 천국과 지옥의 중간 정도의 위치이다. 연옥은 벌을 받고 사면을 받아 천국으로 갈 수 있는 자들이 모이는 세계이다. 하지만 이러한 연옥의 영혼들은 살아 있는 사람들의 지속적인 기도로 구원이 가능한데, 이러한 기도의 일환으로 나타난 것이 바로 연도이다. 충청남도 당진의 합덕 지역은 오랜 옛날부터 교우촌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지금도 주민의 90% 이상이 천주교를 믿고 있다. 이러한 마을의 교우들이 모여서 전통의 상·장례를 대체하는 연도를 바쳤는데, 과거에는 기일이 다가오면 아이를 시켜 연도 일정을 마을의 집집마다 알리고 다녔다고 한다. 다블뤼 주교의 편지에 따르면 박해 기간 중인데도 장례에 모든 교우촌의 신자들이 참여하고, 함께 모여 연도를 부르는 모습에 외국인 선교사들이 감탄했다는 내용이 있을 정도로 당진의 연도는 지역적 특성과 역사를 반영하고 있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천주교에서 금지하고 있는 선조에 대한 제사를 대체하는 민속이다. 기존 상·장례와 천주교의 기도 의례를 결합한 형태로 전통 사회의 교우촌에서 자리 잡으며 천주교에서 나타난 새로운 민속 형태로 볼 수 있다.

[현황]

충청남도 당진의 경우 합덕 성당의 남녀로 구성된 연령회에서 연도를 바치고 있다. 초상이 나면 '연도가 났다'고 표현하며 연도를 이끄는 연도꾼을 초빙, 연도의 선창자로 활용하였다. 구성지면서도 노래 같지 않게, 즉 연도를 연도답게 하는 연도꾼은 여러 연도 자리에 불려 다녔다. 이러한 연도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오늘날에는 천주교 측에서 통일안을 마련하고, 교육시켜 ‘신 연도’ 형식이 널리 보급되면서 ‘구 연도’는 소멸하게 되었다. 일부 ‘구 연도’를 기억하고 있는 신자들도 ‘신 연도’와 혼용해 기억하고 있다. 또한 과거와 달리 공동체 의식이 약화됨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기제사에 모여 연도를 바치는 사례는 거의 사라지고, 연령회 역시 노인들로 구성되어 전승과 유지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의의와 평가]

서구의 종교인 천주교가 도입이 되고 200여 년이 넘은 시점에 천주교와 전통문화의 융합, 조합을 통해 한국 사회에 자리매김한 대표적인 사례이다. 지금도 계속 이어지고 있는 천주교 의례 중 하나로서 연령회의 조직이나 연도의 연행 등에 있어 천주교에서 전통문화의 여러 요소들을 끌어들여 독특하면서도 새로운 문화로 거듭났다. 특히 당진 합덕 지역의 경우 천주교 교우촌으로 구성된 지역에서 공소 문화 등과 함께 공동체를 중심으로 한 문화를 반영하고 있다. 또한 연도를 통해 박해 시대의 어려운 여건에서 지속적인 신앙 생활이 가능하게끔 한 원동력이었으며 공동 참여 의식을 고취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