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400671
한자 唐津市廳
영어공식명칭 Dangjin City Hall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충청남도 당진시 시청로 1[수청동 1002]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한창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914년 4월 1일연표보기 - 군·면 폐합에 따른 행정 구역 개편 후 충청남도 당진군 읍내리 515번지에 당진군청 입주
이전 시기/일시 2011년 7월 - 당진군청 충청남도 당진시 시청로 1에 이전
개칭 시기/일시 2012년 1월 1일연표보기 - 당진시의 승격으로 당진군청에서 당진시청으로 개칭
최초 설립지 당진군청 - 충청남도 당진시 당진중앙1로 59[읍내동 515-1]지도보기
현 소재지 당진시청 - 충청남도 당진시 시청로 1[수청동 1002]지도보기
성격 자치 행정 기관
전화 1522-3113
홈페이지 http://www.dangjin.go.kr

[정의]

충청남도 당진시 수청동에 있는 당진시 관할 지방 자치 행정 기관.

[개설]

당진시청은 충청남도 당진시를 관할하는 행정 기관으로서 지역 주민의 '함께 만드는 행복', '함께 누리는 푸른 당진'을 위해 행정 및 민원 업무를 수행하는 지방 자치 단체 관청이다.

[설립 목적]

당진시청은 당진시의 행정 및 민원 업무를 수행하여 지역 사회의 복리 증진, 지역 개발, 산업 진흥, 교육 문화, 예술 등을 위한 일체의 자치 행정과 국가가 위임한 행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설립하였다.

[변천]

당진시 행정 기구의 변천을 살펴보면 일본 제국주의 압정에 놓이면서 1914년 3월 1일에 대대적인 행정 개편을 하여 종래의 군이 폐합되었으며, 1931년 6월에 조선 총독부 관제 개정령이 공포되어 대대적인 개혁이 따르게 되어 군 행정 제도를 수립하게 되었다. 군에는 군수 1인을 두고 군 행정을 모두 지휘 관리하게 하였고, 그 아래에 서무, 재무, 권업(勸業)의 3과를 두고 과에는 과장을 두고, 하부 조직으로 계를 두고 계에는 주임을 두었다. 각 과장과 주임은 판임관(判任官)인 군속(郡屬)으로 보직하였다.

서무과는 면행정계, 학무계, 접수계, 토목계를 두었으며, 재무과는 징수계, 토목 측량계를 두었고, 양잠계, 축산계를 두어 각각 주임이 군 기수 그리고 군 산업 기수[판임관 대우]를 보좌하여 업무를 맡게 하였다.

1931년 기준 당진군의 직원은 37명이었다. 일제 강점기에, 장관이 마음대로 임면(任免)하던 하위 관직 판임관인 군수 1인, 군속[판임관] 10인, 군 기수[판임관] 2인, 산업 기수[판임관 대우], 삼림 주사[판임관] 1인, 지방 서기 2인, 지방 산업 기수 2인, 군 고원 11인, 측량 기수 1인, 학교비 사무원 1인 등이 근무했다.

각 면은 1913년에 공포된 면제에 의하여 재산권의 주체가 되었으므로 지방 제도의 확립을 보게 되어 법령상 사업 경영의 능력도 보유하게 되었다. 면에서 시행하는 경영 사업은 도로, 교량, 도선, 하천, 제방, 군 개배수 사업, 시공사업, 시장, 조림, 농사, 양잠, 축산, 기타 산업의 개량 보급, 해충 구조 사업, 기타 화장지, 도장, 상수, 하수, 감염병, 예방, 오물의 처리사업, 소방, 수방에 따른 사업 등이었다. 그리고 면의 업무 능력에 따라 조선 총독부의 인가를 받은 국세의 징수, 지방비 부과금의 징수, 또한 학교 부과금의 징수를 담당하는데, 이것은 별도로 정하는 법령에 의하여 면의 사무에 속하게 하였다.

그리고 면에는 면장[판임관 대우] 1인, 면서기 6인, 서기(書記)를 겸한 기수 1인이 근무하였다. 각 리에는 구장을 1인 두고 면 행정을 돌보게 하였다. 군의 산하 기관으로 군농회, 축산 조합, 산림 조합을 두었으며 장은 군수가 겸하였다.

당진시 행정 조직의 변천을 보면 군을 관할하는 군청은 그 지역 사회 내의 유일한 주체로 중앙과 도의 시책과 지시를 읍면과 리동의 주민들에게 그대로 전달하는 행정 기관일 뿐만 아니라 군 자체에서 스스로 계획·집행·실천하는 주체이기도 하며 현직 행정 중추 기관이다. 그러므로 군은 그 지역 사회 내의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분야에 걸친 포괄적 지역 사회개발의 주체가 되므로 모든 행정 기관의 중추적 위치에서 각 기관의 시책을 주민 본위로 조화시키며 복지 사회 건설에도 책임을 지는 행정의 주체이다.

당진구청은 당진읍 읍내리 515번지에 있으며 당진군의 옛 지명은 벌수지현(伐首只縣)이다. 백제 때에 벌수지현이 현재의 당진읍을 중심으로 고대면, 석문면 부근을 관할하였으나 신평면은 사평현이, 면천면은 해군이, 정미면 남쪽에 여읍현이 있어서 사실상 일군 삼현이 현재의 당진군 지역을 관할하였다. 통일 신라 때 혜군이 크게 번창하여 혜성군이라 하고, 그 영현에 삼현이 포함되었다. 고려, 조선 시대에 와서 혜성군이 면천군으로 군명을 바꿔 지금의 당진군 지역을 대다수 행정 관할 구역에 두었다.

당진읍에 군청이 입주한 것은 1914년 4월 1일 군면 폐합에 따른 행정 구역 개혁 후이다. 이후 발전을 거듭하여 당진군청은 1971년과 1990년에 당진시 읍내동의 현대식 건물로 청사를 신축하여 집무를 했다. 2011년 7월 충청남도 당진시 시청로 1[수청동 1002]로 이전하여 시 청사를 건립하였다.

[행정의 체계와 구성]

당진군 행정의 체계와 구성을 살펴보면 1948년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면서 일본 제국주의하의 관제가 전면적으로 개편되어 판임관을 사무관 3급으로, 군속을 주사 4급으로, 기수는 기사로, 고용인은 서기 5급으로 각각 배치하고, 고을 군수를 3급으로 임명해 오다가 1963년부터 3급 갑류인 서기관으로 임명하였으며, 군에 내무과와 산업과를 두고 과장은 모두 주사로 임명하여 오다가 1963년부터 3급 을류 지방 공무원으로 임명하였다.

1962년 5·16 쿠데타 이후에는 군청에 내무과, 교육과, 산업과, 재무과, 공보실을 두었다. 1963년 11월부터 군 자치제가 부활됨에 따라 군 교육과가 폐지되고 교육청이 탄생하였으며 군 사업소인 보건소와 농촌 지도소가 설치되었다. 또한 내무과에서 분장하던 선거 사무소는 1963년 2월 7일 충남 제8 지구 선거 관리 위원회가 창설되어 선거와 정당에 관한 사무를 이양하였다. 1966년에는 건설과를 신설하였고 1969년에는 감사실과 식산과를 신설하였으며, 1973년에는 감사실을 폐지하고 민원 봉사실과 새마을과를 신설하였으며, 1974년엔 산림과를 신설하였다. 1975년에는 새마을과를 폐지하고 부군수제를 신설하였으며, 같은 해에는 민방위과를 신설하였다. 1978년부터는 농촌 지도소장을 3급 갑류로 임명하였으며, 1979년에는 새마을과를 다시 부활하여 부군수가 다시 임명되지 않는 상황에 1982년에 수산과가 신설되어 당진군은 군수를 정점으로 1실 10과 2사업 및 2읍 10면 149리로 행정구는 237구를 두었다. 1996년도 기준으로 군은 2실 17과[5계], 4사업소[4계], 2직속 기관[16계]과 의결 기관 1의회[1과 1계 전문 위원 3인]와 2읍 10면 법정 149리로 행정구는 247리 1,193반을 두었다. 1996년 12월 31일 기준 당진군의 행정 기구는 2실 17실과 2개 직속 기관 4사업소에 총 75계를 설치하고, 의회 시무과 내에 3개 분야의 전문 위원을 두었다.

[역대 군수 및 시장]

일제 강점기 및 미군정 시대 당진의 군수는 제1대 이상만[1911년 10월~1915년 11월], 제2대 시우선[1915년 11월~1917년 3월], 제3대 김종선[1917년 3월~1920년 10월], 제4대 원은상[1920년 10월~1923년 3월], 제5대 김진선[1923년 3월~1925년 1월], 제6대 송양호[1925년 1월~1927년 3월], 제7대 강대철[1927년 3월~1929년 10월], 제8대 이승구[1929년 10월~1930년 3월], 제9대 이만용[1930년 3월~1931년 4월], 제10대 김원선[1932년 4월~1936년 8월], 제11대 정낙훈[1936년 8월~1938년 12월], 제12대 정홍섭[1938년 12월~1941년 5월], 제13대 김영동[1941년 5월~1942년 12월], 제14대 정감모[1942년 2월~1944년 2월], 제15대 정인택[1944년 2월~1945년 8월], 제16대 최운교[1945년 8월~1946년 11월], 제17대 박명진[1946년 11월~1947년 10월]이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당진의 군수는 제1대 이원복[1947년 10월~1950년 11월], 제2대 김지원[1950년 11월~1952년 10월], 제3대 김양현[1952년 10월~1953년 12월], 제4대 이원양[1953년 12월~1955년 4월], 제5대[1955년 4월~1957년 4월], 제6대 김영목[1957년 4월~1959년 1월], 제7대 김진석[1959년 1월~1960년 5월], 제8대 김봉순[1960년 5월~1961년 2월], 제9대 지상준[1961년 2월~1961년7월], 제10대 황성국[1961년 7월~1962년 7월], 제11대 정만택[1962년 7월~1964년 3월], 제12대 이범승[1964년 3월 1966년 2월], 제13대 김현구[1966년 2월~1968년 4월], 제14대 김흥식[1968년 4월~1970년 3월], 15대 이학구[1970년 3월~1971년 8월], 제16대 장규순[1971년 8월~1972년 7월], 제17대 박욱래[1972년 7월~1972년 10월], 제18대 전준기[1972년 10월~1973년 4월], 제19대 신인균[1973년 5월~1973년 8월], 제20대 장규순[1973년 8월~1975년 9월], 제21대 김영석[1975년 9월~1976년 9월], 제22대 김주봉[1976년 9월~1977년 9월], 제23대[1977년 9월~1980년 7월], 제24대 김형태[1980년 7월~1980년 12월], 제25대 조국환[1980년 12월~1982년 7월], 제26대 박승선[1982년 7월~1985년 3월], 제27대 김흥태[1985년 3월~1986년 3월], 제28대 노완구[1986년 3월~1988년 6월], 제29대 구장희[1988년 6월~1991년 1월], 제30대 유덕헌[1991년 1월~1991년 8월], 제31대 유병학[1991년 8월~1993년 3월], 제32대 임규환[1993년 3월~1994년 2월], 제33대 박영동[1994년 2월~1994년 5월], 제34대 여인철[1994년 5월~1995년 6월]이다.

1995년부터 지방 자치 시대가 도래하면서 민선 군수가 취임하였다. 제35대 김낙성[1995년 7월 1일~1998년 6월 30일], 제36대 김낙성[1998년 7월 1일~2002년 6월 30일], 제 37대 김낙성[2002년 7월 1일~2003년 12월 17일], 제38대 민종기[2004년 6월 8일~2006년 6월 30일] 39대 민종기[2006년 7월 1일~2010년 6월 30일], 2012년 1월 1일 당진군이 당진시로 승격하면서 제40대 이철환 시장[2010년 7월 1일~2014년 6월 30일]은 당진시의 첫 번째 시장이 되었다. 제41대 김홍장 시장이 2014년 7월 1일 취임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당진시청은 1914년 3월 1일 설치되었으며, 2012년 1월 기준 합덕읍송악읍 등 2개읍 9개면 11동을 관할하며 3국 19과로 이루어져 있다. 시청 조직은 2016년 기준 시장과 부시장 아래 3개국을 두고 있다. 3개국은 자치 행정국[총무과, 회계과, 세무과, 민원 처리과, 문화 체육과, 사회 복지과, 여성 가족과, 평생 교육과, 토지 관리과]과 경제 산업국[지역 경제과, 기업 지원과, 농정과, 산림 축산과, 항만 수산과, 환경과, 건설과, 도시과, 건축과, 교통 재난과], 의회 사무국이다. 또한 시장 부시장 아래 감사 공보 담당관, 기획 예산 담당관을 두고 있다. 직속 기관으로 보건소, 농업 기술 센터가 있으며, 3개 사업소를 두고 있다. 3개 사업소는 수도 사업소, 관광 개발 사업소, 환경 감시 사업소이다. 중앙 정부와 광역 자치 단체로부터 위임받은 업무와 당진시 고유의 행정 및 민원 업무를 수행한다. 주요 업무로 행정구역을 관리하고 조례와 규칙을 제정하며, 지방세 부과와 징수, 예산의 편성 집행, 국가 재산의 관리, 호적과 주민 등록 관리, 복지 사업과 위생 사업, 각종 산업 진흥, 지역 개발과 생활 환경 개선, 체육과 문화 예술 진흥 등이 있다. 당진시는 급속한 도시화와 산업화 과정에서 잃어버린 우리의 미풍양속과 도덕성을 회복하고 ‘시민이 주인인 행복한 당진 건설’을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 이를 위해 새로운 변화와 혁신이 필요하다는 절박감으로 ‘나부터, 우리부터, 쉬운 것부터 실천해 가는’ 모두가 함께하는 사회 풍토 조성 대혁신 운동을 추진 중이다.

이를 기반으로 당진시는 행정과 사회, 기업이 공존 공영하는 풍토를 조성하여 지속적으로 발전하는 한편, 인간이 존중되고 도덕이 중시되는 사회, 문화 시정으로 문화 시대를 이끌고 있다.

이들 추진 방향은 첫째, 나부터 변해야 생각이 바뀐다는 인식 전환과, 둘째, 쉬운 것부터 실천하고 남을 먼저 배려하는 마음의 여유 갖기, 셋째, 주민과 행정과 기업이 함께하는 사회 풍토 실천 분위기 조성이다 이러한 추진 방향을 통해 변화를 이끌고 있다.

[당진 시정 방침]

당진 시정 방침의 슬로건 ‘행복한 변화, 살고 싶은 당진!’에서 보여지듯 변화의 강한 의지를 느낄 수 있다.

시정 원칙은 첫째 ‘사람 중심’이다. 사회적 약자를 소홀히 하지 않는 더불어 잘 사는 사회, 사람의 생명을 중시하고 사회 전반에 안전을 충분히 고려, 개발과 보존이 조화를 이루는 살기 좋은 친환경적 발전, 시민이 홍보 마케팅의 대상인 고객이 아닌 당진을 구성하는 주인공, 즉 시민이 주인이 되는 시정 실현이다.

둘째, ‘시민 행복’이다. 행정의 근본 목적을 ‘시민들이 행복한가?’에 두고 시민 삶에 힘이 되고 희망이 되는 시정 운영, 시민의 긍지를 높이는 잘 사는 도시, 품격 있는 도시 구현, 시민의 편에서 생각하는 섬김 행정과 시민 우선의 현장 행정 실천에 두고 있다.

셋째, ‘소통과 참여’이다. 이는 시민과 함께 만드는 실질적 지방 자치 구현, 분야별 자문 위원회 등 격의 없는 대화를 통한 민관 거버넌스[통치] 체계 구축, 시민 참여 토론 행정 추진, 구태의연한 답습 행정에서 벗어나 시민들의 시각에서 새롭게 생각하고 실천하는 창의 행정을 실현한다.

넷째, ‘책임과 신뢰’로 작은 것부터 단 한 가지라도 제대로 해결하고자 노력하는 책임을 다하는 행정, 법과 제도를 공정하게 적용하고 그 결과 공개, 행정에 대한 신뢰와 확보, 투명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부패 없는 청렴한 행정 풍토 조성 등의 시정 목표는 풍요로운 당진, 함께 잘사는 농어촌, 품격 있는 교육 문화, 더불어 누리는 복지, 조화로운 생태 도시로 문화 복지 도시를 구현하고 있다.

[현황]

당진시는 깨끗한 신뢰 행정과 활기찬 지역 개발, 쾌적한 환경 보전, 늘 푸른 정신 함양을 군정 방침으로 삼고 있다. 당진시는 한글 철자와 배·나루터를 형상화시킨 시 마크가 있으며, 두루미를 의인화한 마스코트가 있다. 당진시를 상징하는 동식물은 진달래[꽃]와 소나무[나무]·두루미[새] 등이다.

산업별 종사자 현황은 2014년 당진시 산업의 총 종사자 수는 7만 1801명으로 충청남도 총종사자 수의 8.8%를 차지하고 있다. 이 중 농림어업[1차 산업]은 321명으로 비중이 낮고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은 2만 7148명으로 37.8%의 비중으로 차지하고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은 4만 4279명으로 61.7%의 비중을 차지한다. 2차 산업은 충청남도 전체의 비중[32.8%]보다 높고 3차 산업은 충청남도 전체 비중[66.7%]보다 낮다. 3차 산업 부문에서는 도소매업[9.6%], 숙박 및 음식업[9.1%]과 건설업[8.0%], 문화 및 기타 서비스업[6.2%]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당진시의 2012년 지역 내 총생산은 38조 3844억 원으로 충청남도 지역 내 총생산의 13.1%를 차지하고 있다. 이 중 농림어업[1차 산업]은 7145억 원으로 1.9%의 비중을 차지하고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은 28조 6932억 원으로 74.8%의 비중으로 차지하고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은 8조 9768억 원으로 23.4%의 비중을 차지한다. 3차 산업 부문에서는 서해안 신산업 단지 건설의 영향으로 건설업[7.8%],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 산업[7.5%]과 운수업[1.4%], 공공행정[0.9%]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시청 청사는 충청남도 당진시 시청1로1[수청동 1002]에 있다. 대지 면적 7만 927㎡[청사 5만 7670㎡+유보지 1만 3257㎡], 연면적 3만 6299㎡[본동 1만 9802㎡, 의회 2,949㎡, 지하 1만 3527㎡], 주차장 796대[옥내 420대, 옥외 376대], 층수 지하 1층, 지상 8층, 공사비 654억 원[공사비 624억 원, 감리비 30억 원], 사업 기간 2009년 4월 1일~2011년 7월 20일, 시공사 계룡 건설 산업 컨소시엄[계룡 건설, 대우 건설, 서진 산업]으로 건설하였다.

[의의와 평가]

당진시는 「지방 자치법」에 따라 그 지역 내에 거주하는 시민 모두를 시정에 적극 참여시켜 자치 행정을 효율적으로 운영함으로써 주민의 복지 증진, 산업 진흥, 지역 개발, 교육, 문화, 체육 진흥에 기여하는 행정 행위를 실천하고 있다. 「지방 자치법」 제8조의 지방 자치 단체의 사무 처리 원칙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 자치 단체는 그 업무를 처리함에 있어서 주민의 편의·복리 증진을 위하여 노력한다. 둘째, 지방 자치 단체는 조직 및 운영의 합리화에 노력하고 그 규모의 적정화를 도모하여 한다. 셋째, 지방 자치 단체는 법령이나 자방 자치 단체의 조례에 위반하여 그 사무를 처리할 수 없다. 이에 의거하여 당진시는 지역 주민을 위해 자치 행정과 위임 행정을 수행하고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0.03.16 내용 수정(현행화) [변천] 하수, 전염병, 예방, → 하수, 감염병, 예방,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