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400623
한자 李炳台
영어공식명칭 Yi Byeongtae
이칭/별칭 시남(詩南)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충청남도 당진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남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10년연표보기 - 이병태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64년 - 이병태 당진 향교 전교 취임
활동 시기/일시 1976년 - 이병태 유도회 당진 지부장 취임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82년 4월 - 이병태 매헌 윤봉길 문화제 한시 백일장 장원 수상
활동 시기/일시 1982년 - 이병태 성균관 전의 취임
몰년 시기/일시 1992년연표보기 - 이병태 사망
출생지 이병태 출생지 - 충청남도 당진시 정미면 신시리 지도보기
거주|이주지 이병태 거주지 - 충청남도 당진시 정미면 신시리
묘소|단소 이병태 묘소 - 충청남도 당진시 정미면 신시리
성격 학자|서예가
성별
본관 전주(全州)
대표 관직|경력 당진 향교 전교(典校)|성균관 전의(典儀)

[정의]

충청남도 당진 출신의 한학자·서예가.

[개설]

이병태(李炳台)[1910~1992]는 해미 향교와 당진 향교의 전교와 유도회 당진 지부장을 역임하였고, 당진 지역 주민들에게 유교 경전을 강독하고 서예를 가르치는 등 한학 보급에 많은 노력을 기울인 한학자이며 서예가였다.

[가계]

이병태의 본관은 전주(全州), 호는 시남(詩南)이다. 아버지는 이순목(李舜穆), 어머니는 능성 구씨(綾城具氏)다. 세종의 아들인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17대손이다.

[활동 사항]

이병태충청남도 당진시 정미면에서 태어났으며, 어려서부터 한학과 서예에 전념하였다. 아홉 살 때 한시를 짓기 시작하여 열다섯 살에 사서(四書)를 마쳤고, 열일곱 살 때에는 시전과 서전을 읽었다고 전한다. 열아홉 살 떼부터 2년간 명필 권중하(權重夏)에게서 서예를 지도받았다. 이병태의 작품은 애호가들에게 소장되었고, 각처에 비문과 현판을 남겼다. 대표작으로는 당진시 읍내동 남산 공원에 있는 「이재서 성균관장 기적비문」과 예산군 덕산면에 있는 고려 충신 유사암(柳思庵) 신도비가 대표적이다.

이병태당진 향교를 전국 유수의 향교로 발전시켰다. 40세에 해미 향교의 장의(掌儀)로 활동한 이래, 1962년부터 당진 향교 장의로 활동하였다. 특히 1964년부터 1970년까지 당진 향교 전교(典校)를 3회 연속 맡았고, 1976년부터 1986년까지 유도회(儒道會) 당진군 지부장을 역임하였다. 또한 1982년부터 1986년까지 성균관 전의(典儀)에 재임하는 등 당진 향교와 유도회 발전에 남다른 노력을 기울였다. 이 때문에 당진 향교에서는 이병태를 유장(儒長)이라 하며 종신토록 추앙하였다.

이병태당진 향교의 교화 사업으로 운영되는 상고회(尙古會) 회원들에게 한문과 한문 서예를 7년간 지도하였다. 지금도 연서회(硏書會)와 경전 강독회(經典講讀會)로 계승되어 운영되고 있다. 한편, 1984년 당진 유림회관 개관 기념으로 거행된 '시남 이병태 선생 서예전'은 이병태의 처음이자 마지막 개인전이었다.

[학문과 저술]

이병태의 저서로는 『대학 강의(大學講疑)』와 『동유기(東遊記)』가 있다.

[묘소]

이병태의 묘소는 충청남도 당진시 정미면 신시리 선영에 있다.

[상훈과 추모]

이병태는 1982년 4월 매헌 윤봉길 문화제 한시 백일장과 전국 체전 한시 백일장에서 각각 장원을 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