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702
한자 百濟 金銅大香爐
영어공식명칭 Great Gilt-bronze Incense Burner of Baekje|Baekje Incense Burner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물/기명류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동남리 산16-1]
시대 고대/삼국 시대/백제
집필자 김대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작 시기/일시 6세기~7세기 - 백제 금동대향로 제작
출토|발굴 시기/일시 1993년 12월 12일 - 백제 금동대향로 출토
문화재 지정 일시 1996년 5월 30일연표보기 - 백제 금동대향로 국보 제287호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백제 금동대향로 국보로 변경 지정
현 소장처 국립부여박물관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동남리 산16-1]지도보기
출토|발견지 부여 능산리 사지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 393 지도보기
성격 향로
재질 금동제
크기(높이) 61.8㎝[높이]|최대 지름 19㎝[몸통]|11.85㎏[무게]
소유자 국유
관리자 국립부여박물관
문화재 지정 번호 국보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에 있는 절터 공방지에서 출토된 백제 시대의 금동제 향로.

[개설]

사비도성의 외곽인 부여 나성부여 왕릉원 사이에 있는 능사부여 능산리 사지에 대하여 1993년에 실시된 제2차 발굴 조사 중 공방지에서 출토된 금동제 향로이다. 높이 61.8㎝, 몸통 최대 지름 19㎝, 무게 11.85㎏의 대형 향로로 백제를 대표하는 유물 중 하나이다.

[형태]

백제 금동대향로는 봉황이 부착되어 있는 뚜껑 부분과 용이 받치고 있는 몸체로 크게 구분되며, 뚜껑과 몸체, 받침이 별도로 만들어져 하나로 구성되도록 하였다. 뚜껑에는 봉황이 목과 부리로 여의주를 품고 날개를 편 채 힘 있게 서 있는데, 길게 치켜 올라간 꼬리의 부드러움은 백제의 특징이다. 봉황의 가슴에 2개, 다섯 마리 새가 앉은 산봉우리 뒤쪽에 5개, 악사상 주변에 5개의 구멍이 뚫려 있어 몸체에서 향 연기가 자연스레 피어오르도록 하였다. 뚜껑은 부드러운 능선의 산들이 겹겹이 쌓인 모양으로, 종적(縱笛)·거문고·북·완함(阮咸)·배소(排簫)를 연주하는 악사 다섯과 더불어 신선과 신기한 상상의 동식물들이 표현되어 있다.

아래의 몸체는 3단의 연꽃잎 모양으로 구성되었는데, 연꽃잎의 끝 부분에는 사선문을 음각하였고, 잎에는 물과 관련된 동물 등을 표현하였다. 받침대에는 연꽃을 입에 문 한 마리의 용이 표현되어 있다. 용은 한쪽 발을 치켜들고 있으며, 나머지 세 다리와 꼬리로 둥근 원을 형성하여 안정되게 만들었다.

[특징]

중국 한나라 이후 박산향로의 영향을 받은 듯하지만, 중국과는 다르게 산들을 입체적으로 묘사하였으며, 세부 동물과 인물상이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또한 음양의 조화나 신산의 표현 등 도교적인 요소와 연꽃잎 등 불교적인 요소가 함께 복합되어 있다.

[현황]

1996년 5월 30일에 국보 제287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국보로 변경되었다. 2023년 현재 국립부여박물관의 제2전시실에 전시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백제를 대표하는 유물 중 하나로 백제인의 창의성과 뛰어난 금속 공예 기술을 보여 주고, 당시 종교관이나 미술 문화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게 하여 주는 백제 금속 공예 최고의 걸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다.

[참고문헌]
  • 『능사』 -부여 능산리사지 발굴 조사 진전 보고서(국립부여박물관, 2000)
  • 『백제 금동대향로』 (국립부여박물관, 2003)
  • 국립부여박물관(https://buyeo.museum.go.kr)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https://www.heritage.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