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남도 부여군에서 공자의 가르침을 종교적으로 따르는 문화 체계. 유교는 공자(孔子)를 시조로 모시는 사상으로, 공교(孔敎) 또는 공자교(孔子敎)라고도 불린다. 인(仁)과 예(禮)를 통하여 공자·맹자(孟子) 등 유가(儒家)의 정치사상과 학문 수양, 생활 의례 등의 가르침을 실천하려는 현세적 사상이자 일종의 종교이다. 유교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여러 아시아 국가에 전파되어 사회 전반에...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에 있는 유교 전통문화의 계승 발전을 도모하는 민간단체. 부여군 유림회(扶餘郡 儒林會)는 충청남도 부여군 내 향교 및 서원의 유림 회원들이 모여 설립한 단체이다. 유교 정신과 전통 예절의 계승, 발전을 위하여 활동하고 있다....
서원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구교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임천 간곡서원(林川 艮谷書院)은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구교리에 있는 노곡(老谷) 유동수(柳東秀)[1579~1654]를 배향한 서원이다. 1579년(선조 12) 서울 숭례방 흥덕동에서 태어난 유동수는 인조 때 제용감직장, 사옹원직장, 오위장 등을 역임하고 천안군수 재임 시 선정을 베풀었다. 특히 1646년(인조 24) 이산현...
-
충청남도 부여군 세도면 동사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동곡서원(東谷書院)은 충청남도 부여군 세도면 동사리에 있는 조신(趙愼)을 배향한 서원이다. 조신은 고려 시대 말 공민왕 때 회양부사(淮陽府使)를 지냈다. 1368년(공민왕 17) 형 조사공(趙思恭)이 김정 등과 함께 신돈을 살해하려는 모의를 하다 발각되어 죽임을 당하자 형제가 전국으로 흩어져 피신하였다. 조신은 이때 ‘조사렴(...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만사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퇴수서원(退修書院)은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만사리에 있는 석곡(石谷) 조박(趙璞)[1577~1650]을 주향으로 하고 성강(星江) 조견소(趙見素)[1610~1677]와 퇴수재(退修齋) 조성복(趙聖復)[1681~1723]을 배향한 서원이다. 조박은 광해군과 인조 때 부여현감, 양주목사 등을 역임하고 통정대부가 되었다. 조견소는...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진변리에 있는 조선 후기 사원. 규암 부산서원은 신독재(愼獨齋) 김집(金集)[1574~1656]과 백강(白江) 이경여(李敬輿)[1585~1657]를 배향한 서원이다. 김집이 지방관으로 출사한 최초의 부임지가 부여이다. 김집은 1623년부터 4년 동안 부여현감으로 재직하며 교화를 우선하는 선정을 베풀었다. 이후 동부승지, 우부승지, 공조참판, 대사헌, 이조판서...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저석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창강서원은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저석리에 있는 추포(秋浦) 황신(黃愼)[1562~1617]을 독향한 서원이다. 황신은 성혼(成渾)과 이이(李珥)의 문인으로 1588년(선조 21) 알성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고 한성부우윤, 대사간, 공조판서, 호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임진왜란 때 전쟁을 종식시키기 위하여 명나라 사신과 함께 통...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칠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칠산서원(七山書院)은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칠산리에 있는 시남(市南) 유계(兪棨)[1607~1664]를 배향한 서원이다. 유계는 김장생의 문인으로 송시열, 송준길, 윤선거, 이유태 등과 더불어 충청도 유림의 오현(五賢)으로 불렸다. 칠산서원이 임천에 세워진 이유는 병자호란 때 척화를 주장하였던 유계가 임천에 유배되었기 때문이...
-
충청남도 부여군 장암면 장하리에 있는 풍양 조씨의 조선 후기 서원. 남산서원(南山書院)은 풍양 조씨 난재(蘭齋) 조태징(趙泰徵)[1650~1717], 백인당(百忍堂) 조명규(趙明奎)[1655~1716]와 기적재(嗜炙齋) 조주진(趙疇鎭)[1726~1786] 3인을 모시고 있다. 조태징은 명재(明齋) 윤증(尹拯)[1629~1714] 문하에서 수학하고 과천현감과 승정원좌승지를 지냈다....
향교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에 있는 조선 전기 향교. 부여향교(扶餘鄕校)는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에 있는 조선 시대 공립 교육 기관이다. 부풍향교(扶風鄕校)라고도 한다. 건립 연대는 명확하지 않으나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의 기록으로 보아 조선 전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부여현의 북쪽 2리에 향교가 있었다고 한다. 『부여군향교지』에 기재된 구전에 따르면...
-
충청남도 부여군 석성면 석성리에 있는 조선 전기 향교. 석성향교(石城鄕校)는 충청남도 부여군 석성면 석성리에 있는 조선 시대 공립 교육 기관이다. 건립 연대는 명확하지 않으나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따르면 조선 전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며, 석성현 북쪽 1리에 있었다고 한다. 석성향교는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 1621년(광해군 13) 현재 자리에 석성향교를 중건...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군사리에 있는 조선 전기 향교. 임천향교는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군사리에 건립된 조선 시대 공립 교육 기관이다. 가림향교(嘉林鄕校)라고도 한다. 건립 연대는 명확하지 않으나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따르면 조선 전기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고, 군의 동쪽 5리에 향교가 있었다고 한다. 1688년(숙종 14) 임천군수 정석징에 의하여 현재 자리인...
-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교원리에 있는 조선 시대 향교. 홍산향교(鴻山鄕校)는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교원리에 있는 조선 시대 공립 교육 기관이다. 건립 연대는 명확하지 않으나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따르면 조선 전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고, 홍산현 북쪽 3리에 있었다고 한다. 1643년 유림 홍처윤이 향교가 너무 높은 곳에 있어 불편하므로 아래 평평한 곳에 고쳐...
사우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탑리에 있는 임윤덕을 기리기 위해 건립한 사당. 경모사(敬慕祠)는 예천 임씨 두문제(杜門齊) 임윤덕(林允德)[1352~1415]을 기리기 위해 세운 사당이다. 임윤덕은 고려 말기 정3품인 판전객사사(判典客寺事)를 지냈으나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자 백마강 천정대 아래에서 은거하였다. 조정에서 여러 차례 임윤덕을 불렀으나 거절하였다. 임윤덕가 죽은 후 조선에서...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쌍북리에 있는 백제 궁녀의 충절을 기리기 위한 사당. 궁녀사(宮女祠)는 백제가 멸망할 때 낙화암에서 백마강으로 몸을 던진 삼천 궁녀의 충절을 기리기 위하여 1966년 세운 사당이다. 『삼국유사』에는 낙화암을 ‘타사암(墮死巖)’이라 하고 여기에서 여러 후궁이 떨어져 죽었다고 기록하였다. ‘낙화암’이라는 이름은 고려 말의 『제왕운기(帝王韻紀)』에 처음 등장하며,...
-
충청남도 부여군 세도면 수고리에 있는 풍양 조씨의 조선 후기 사당. 세도 낭산사(世道 朗山祠)는 풍양 조씨 3대인 죽계(竹溪) 조응록(趙應祿)[1538~1623], 수죽(脩竹) 조방직(趙邦直)[1574~1637], 낙수(樂叟) 조광형(趙光亨)[1606~1682]을 모신 사당이다. 조응록은 임진왜란 때 세자를 호종한 공으로 가선대부에 올라 풍성군에 봉해졌다. 인조반정 후 관작을 추탈...
-
충청남도 부여군 남면 내곡리에 있는 이지시·이지례 형제를 모신 사당. 남면 동절사(南面 同節祠)는 임진왜란 때 전사한 단양 이씨 송암(松庵) 이지시(李之詩)[?~1592]와 이지례(李之禮)[?~1592] 형제를 모신 사당으로 1962년 건립되었다. 이지시는 1567년(명종 22) 무과에 장원급제하고 훈련원정(訓鍊院正)이 되었다가 문반직인 주서(注書)에 전입되었다. 임진왜란 때 조방...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규암리에 있는 김유신·김일손·김우항을 모신 사당. 규암 부풍사(窺岩 扶風祠)는 김해 김씨 김유신(金庾信)[595~673], 탁영(濯纓) 김일손(金馹孫)[1464~1498]과 갑봉(甲峰) 김우항(金宇杭)[1649~1723]을 모신 사우이다. 김유신은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키고 삼국을 통일하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한 신라 무장이다. 김일손은 주로 언관으로 재직하...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관북리 부소산에 있는 백제 3충신을 모신 사당. 삼충사(三忠祠)는 백제의 3충신인 성충(成忠), 흥수(興首) 그리고 계백(階伯)을 모신 사당이다. 656년(의자왕 16) 백제 좌평이었던 성충은 국가가 위태로움에 처하였음을 알고 의자왕에게 간언하다 투옥되었다. 옥중에서 죽음에 임박하자 당과 신라를 막을 수 있는 방책을 의자왕에게 바쳤으나 의자왕은 성충의 계획을...
-
충청남도 부여군 충화면 지석리에 있는 송상인과 송윤선을 모신 사당. 충화 세양사(忠化 世陽祠)는 서곽(西郭) 송상인(宋象仁)[1569~1631]과 신암(愼庵) 송윤선(宋胤先)[1632~1702]을 모신 여산 송씨 지산공파 문중 중심의 사당이다. 송상인은 1605년(선조 38) 문과에 급제하고 관직에 나아갔다. 중앙에서는 성균관사예, 사헌부장령, 홍문관교리, 사헌부집의 등을 거쳤고,...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에 있는 조선 전기 사우. 의열사(義烈祠)는 1576년(선조 9) 부여현감 홍가신(洪可臣)이 건립한 조선 전기 사당이다. 홍가신은 부여가 역사적으로 충의로운 인물을 많이 배출하였으나 추모하는 사당이 없음을 안타깝게 여겨 사당을 세웠다. 홍가신은 의열사에 백제 말기의 3충신 성충, 흥수, 계백과 고려 말에 신돈을 탄핵한 충신 석탄(石灘) 이존오(李存吾)를...
-
충청남도 부여군 석성면 정각리에 있는 담양 전씨 선조의 사당. 조양사(조肇陽祠)는 담양 전씨 선조 9위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는 사당으로 1993년 건립되었다. 담양 전씨는 전득시(田得時)를 시조로 한다. 전득시는 고려 전기에 좌복야, 참지정사 등을 지내고 담양군에 봉해졌다. 후손들은 본관을 담양으로 삼아 6대까지 독자로 내려오다 전희경(田希慶)의 아들 3형제 대에 이르러 맏아들 야...
-
충청남도 부여군 구룡면 금사리에 있는 삼학사를 모신 사당. 창렬사(彰烈祠)는 병자호란 때 삼학사인 임계(林溪) 윤집(尹集)[1606~1637], 화포(花浦) 홍익한(洪翼漢)[1586~1637], 추담(秋潭) 오달제(吳達濟)[1609~1637]를 모신 사당이다. 병자호란 때 청나라와 화의하는 것을 극력 반대하였던 삼학사는 인조가 청과 화의하자 척화론자로 몰려 청나라에 잡혀갔다. 온갖...
-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교원리에 있는 김시습과 김효종을 모신 사당. 청일사(淸逸祠)는 매월당(梅月堂) 김시습(金時習)[1435~1493]과 우옹(迂翁) 김효종(金孝宗)[1414~1493]을 모신 사당이다. 김시습은 생육신의 한 사람으로 유교와 불교를 아우른 사상과 탁월한 문장으로 이름이 높았다. 끝까지 단종에 대한 절개를 지키다가 충청남도 부여의 무량사에서 입적하였다. 저서로는 『...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석우리에 있는 조선 후기 김우항의 영정을 모신 사당. 충덕사(忠德祠)는 조선 후기 문신 갑봉(甲峰) 김우항(金宇杭)[1649~1723]의 영정을 모신 사당이다. 김우항은 1681년(숙종 7)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아갔다. 한성부판윤을 거쳐 형조판서, 병조판서, 이조판서를 역임하였다. 1713년(숙종 39) 우의정이 되었고, 1721년(경종 1) 영중추부사...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관북리에 있는 전몰군경의 위패를 모신 사당. 충령사(忠靈祠)는 6·25 전쟁에서 희생된 부여 지역 출신 전몰군경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1956년부터 민간단체에서 충령사 건립을 위한 모금을 추진하여 1960년 완공하였다. 이후 부여 지역 출신 파월 전사 장병, 대간첩 작전에서 희생된 군경 등 927위를 함께 봉안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남면 내곡리에 있는 성희안과 성률을 모신 조선 후기 사당. 충정사(忠定祠)는 인재(仁齋) 성희안(成希顔)[1461~1513]과 아들 성률(成瑮)[1490~?]을 모신 사당이다. 성희안은 1485년 별시 문과에 급제하고 관직에 나아갔다. 연산군 때 형조참판이 되어 가선대부에 올랐고, 이조참판으로 오위도총부도총관을 겸하였다. 그러나 연산군을 풍자하는 시를 지어 올렸다가...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군사리에 있는 전몰 장졸을 기리기 위한 사우. 충혼사(忠魂祠)는 백제 말기 부여 가림성[성흥산성]을 수호하다가 전사한 전몰 장졸의 살신 성인과 충의 정신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사우이다....
-
충청남도 부여군 충화면 지석리에 있는 백제 8충신 등을 모신 사당. 충화 팔충사(忠化 八忠祠)는 백제 말의 8충신과 황산벌에서 전몰한 오천결사대를 모신 사당이다. 팔충신은 성충, 흥수, 계백의 3충신과 복신(福信), 도침(道琛), 혜오화상(慧悟和尙), 곡나진수(谷那晉首), 억례복류(憶禮福留)을 말한다. 충청남도 부여군 충화면은 8충신이 태어난 곳이라 하여 ‘팔충골’로 불리며, 충화...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관북리에 있는 홍가신, 허목, 채제공의 영정을 모신 사당. 도강영당(道江影堂)은 만전(晩全) 홍가신(洪可臣)[1541~1615], 미수(眉叟) 허목(許穆)[1595~1682], 번암(樊巖) 채제공(蔡濟恭)[1720~1799]의 영정을 모신 사당이다. 홍가신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학자로 부여현감으로 있을 때 의열사를 건립하였다. 저서로는 『만전집(晩全集)』과...
-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조현리에 있는 계성군과 김동효의 영정을 모신 일제 강점기 사당. 홍산 영모당(鴻山 永慕堂)은 건립자인 경주 김씨 연당(蓮堂) 김동효(金東孝)[1861~1928]와 15대조 계성군(鷄城君) 김임(金任)[1448~1514]의 영정을 모신 사당이다. 김임은 1480년 무과에 급제한 후 강령현감 등 지방직을 역임하였다. 중종반정에 가담하여 1507년(중종 2) 정국...
-
충청남도 부여군 양화면 초왕리에 있는 김문기의 영정을 모신 일제 강점기 사당. 양화 왕의영당(良化 旺義影堂)은 백촌(白村) 김문기(金文起)[1399~1456]의 영정을 모신 영당이다. 김문기는 1453년(단종 1) 형조참판을 지내고, 1455년(세조 1) 공조판서를 지냈다. 1456년(세조 2) 성삼문, 박팽년 등이 주도한 단종 복위 운동에 가담하였다. 모의가 발각되자 고문에도 굴...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군사리에 있는 이색의 영정을 모신 사당. 이색 영당(李穡 影堂)은 목은영당(牧隱影堂)으로도 불리며 목은(牧隱) 이색(李穡)[1328~1396]의 영정을 모신 사당이다. 이색은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1337~1392], 야은(冶隱) 길재(吉再)[1353~1419]와 함께 삼은(三隱)의 한 사람이다. 고려 말기 원나라 국자감 생원이 되어 성리학을 연구한...
-
충청남도 부여군 장암면 정암리에 있는 무풍군 이총의 사당과 유물. 장암 무풍군 이총 사우 및 유물 일괄(場岩 茂豊君 李摠 祠宇 및 遺物 一括)은 무풍군(茂豊君) 이총(李摠)[?~1504]을 모신 사우와 이총과 관련된 유물을 말한다. 이총은 태종의 증손으로 무풍부정(茂豊副正)에 제수되었다.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에서 가르침을 받으며 김일손(金馹孫), 강경서(姜景敍) 등과 교유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군사리에 있는 장군 유금필의 사당. 임천 유태사 묘(林川 庾太師 廟)는 태사(太師) 충절공(忠節公) 유금필(庾금弼) 장군을 모신 사당이다. 유금필[?~941]은 황해도 평산 출신으로 고려의 후삼국 통일에 크게 기여한 인물이다. 「성흥산성실기」에 따르면, 진남장군으로 전라도 순천 지역에 머물던 유금필이 송악으로 돌아가다가 부여 가림성의 지역민들을 진휼하였고,...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중정리에 있는 김거익의 재실 및 신도비. 부여 부양재 및 신도비는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중정리에 있다. 부양재는 고려 말에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역임하고 고려가 망하자 부여로 낙향하여 은거한 퇴암(退庵) 김거익(金居翼)을 모신 사우이다. 김거익은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고 강직한 성품을 지녔다고 한다. 고려 말기의 대학자였던 이색과의 도의지교(道義之交)가...
향사·제사
-
충청남도 부여군에서 해마다 조상의 기일에 올리는 의례. 기제는 충청남도 부여 지역의 가정집에서 조상의 기일에 올리는 의례이다. 기일제, 기제사라고도 한다. 부여 지역에서는 과거에는 장손집에서 의례를 담당하였으나, 현대에는 장손이 아니어도 기제를 지내기도 한다....
-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불천위 인물들을 대상으로 지내는 기제사. 불천위제사(不遷位祭祀)란 글자 그대로 위를 옮기지 않는 제사이다. 일반적인 개인 가정의 기제(忌祭)는 4대 조상까지 가정에서 기제로 모시고 5대부터는 묘역에서 시제로 모신다. 그런데 불천위 조상은 5대가 되더라도 위를 폐하지 않고 지속하여 제사를 지낸다. 이를 ‘불천위제사’라 하며, ‘불천위제’라고도 한다....
-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사우에 배향된 선현을 봄가을로 기리는 제사. 사우(祠宇)는 선조나 선현의 신주, 영정을 모셔 두고 해마다 정기적으로 제사를 올리는 공간이다. 사우의 역사는 『주자가례(朱子家禮)』에서 비롯되었다. 고려 후기 주자학을 받아들인 정몽주(鄭夢周) 등의 주장으로 가묘(家廟) 제도가 성립되었고, 이후 성리학을 통치 이념으로 하는 조선이 건국되면서 각 지역마다 많은 사우...
-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서원에 배향된 선현에게 봄·가을로 지내는 제사. 서원(書院)은 조선 시대의 지역 교육 기관으로, 선비들이 모여 학문을 강론하거나 사당에 성현을 배향하고 제사를 지내는 공간이다. 서원에서는 배향된 선현들에게 봄과 가을에 제사를 지내면서 유교의 가치와 정치적 유산을 함께 전승하여 왔는데, 이러한 제사를 서원향사(書院享祀)라 일컬는다....
-
충청남도 부여군에서 5대조 이상의 조상을 기리고자 조상의 묘소에서 올리는 제사. 충청남도 부여군 일대의 문중이나 가문들은 5대조 이상의 조상을 기리고자 조상의 묘소에서 제사를 지낸다. 주로 음력 2월, 5월, 8월, 11월에 시기별로 지내기에 ‘시제(時祭)’라 한다. 가문 사람들이 모두 모여 함께 제사를 올리며, 제사를 지내는 절차는 각 가문이나 문중별로 상이하다....
-
충청남도 부여군에 있는 향교에서 해마다 봄가을로 공자에게 지내는 제사. 석전(釋奠)은 원래 정성스레 빚어 잘 익은 술을 받들어 올린다는 뜻이다. 유교에서 석전은 음력 2월과 8월에 문묘(文廟)에서 공자에게 지내는 제사를 일컫는 말이며, 제사 날짜가 첫째 드는 정(丁)의 날인 상정일(上丁日)이기에 정제(丁祭) 또는 상정제(上丁祭)라고도 불린다. 이러한 석전은 크게 나누어, 성균관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