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1151
한자 林川鄕校
영어공식명칭 Imcheon Local Confucian School
이칭/별칭 가림향교(嘉林鄕校)
분야 종교/유교
유형 유적/건물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성흥로75번길 6-7[군사리 213]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이행묵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이전 시기/일시 1688년연표보기 - 임천향교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군사리 213 이전 건립
개축|증축 시기/일시 1849년 - 임천향교 명륜당·동재·서재 중수
개축|증축 시기/일시 1909년 - 임천향교 명륜당 보수
개축|증축 시기/일시 1924년 - 임천향교 명륜당 중수
개축|증축 시기/일시 1926년 - 임천향교 대성전 중수
개축|증축 시기/일시 1964년 - 임천향교 담장 보수
개축|증축 시기/일시 1983년 - 임천향교 대성전 보수, 단청
개축|증축 시기/일시 1986년 - 임천향교 명륜당·담장 보수
문화재 지정 일시 1997년 12월 23일연표보기 - 임천향교 충청남도 기념물 제127호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임천향교 충청남도 기념물로 변경 지정
현 소재지 임천향교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성흥로75번길 6-7[군사리 213]지도보기
성격 향교
양식 겹처마 맞배지붕[대성전]|홑처마 팔작지붕[명륜당]
정면 칸수 5칸[대성전]|5칸[명륜당]
측면 칸수 3칸[대성전]|2칸[명륜당]
소유자 충청남도향교재단
관리자 임천향교
문화재 지정 번호 충청남도 기념물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군사리에 있는 조선 전기 향교.

[개설]

임천향교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군사리에 건립된 조선 시대 공립 교육 기관이다. 가림향교(嘉林鄕校)라고도 한다. 건립 연대는 명확하지 않으나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따르면 조선 전기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고, 군의 동쪽 5리에 향교가 있었다고 한다. 1688년(숙종 14) 임천군수 정석징에 의하여 현재 자리인 임천면 군사리에 옮겨 세워졌다. 1997년 12월 23일 충청남도 기념물 제127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충청남도 기념물로 변경되었다.

[위치]

임천향교는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성흥로75번길 6-7[군사리 213]에 있다. 임천향교 정면에 민가들이 있어 향교를 진입하려면 민가를 돌아 우회하여야 한다.

[변천]

임천향교와 관련된 문헌 기록으로 가장 오래된 것은 『청금록』이다. 『임천향교지』에 따르면 병자호란이 일어났을 때 시남 유계가 임천에 내려와 거주하면서 임천군 지역 사대부들과 함께 명부를 작성한 것이 『청금록』이라고 하였다. 임천향교는 부여 지방에서 가장 규모가 큰 향교로 추정된다. 대성전 15칸, 명륜당 15칸, 동무 3칸, 서무 3칸, 동재 3칸, 서재 3칸이었다고 한다. 향교를 대표하는 임원으로 도유사와 전교 각 1명, 장의 10명, 교생 50~70명, 보노(保奴)와 보교(保校)가 50명이었다. 1894년 갑오개혁 이후 학제 개편에 따라서 교생은 폐지되고 보노는 없어졌다.

임천향교는 여러 차례 중수와 보수를 하였다. 1849년(헌종 15) 이행익이 명륜동과 동재, 서재를 중수하였고, 1909년 명륜당을 보수하였다. 또한 1924년과 1926년에도 중수한 기록이 확인된다. 1924년 「가림 명륜당 중수기」에 따르면 명륜당이 무너진지 오래인데 유림 유기선이 거금을 들여 중수하였다고 한다. 1926년 「임천문묘 중수기」를 보면 대성전을 중수하기 이전의 임천향교 상태를 볼 수 있다. 광복 이후에도 여러 차례 중수되었다. 1964년 담장을 보수하였고, 1983년 대성전을 보수하였으며, 1986년 명륜당과 담장을 보수하였다. 1983년 중국 유현의 16위 위패를 매안하고 조선의 유현 18현과 5성(聖)만을 봉안하여 모시고 있다.

[형태]

임천향교는 외삼문 우측 동편에 공적비가 세워져 있다. 공간 형태는 공학 공간이 전면에 오고 묘당 공간인 대성전이 뒤에 있는 전학후묘의 배치이다. 대성전은 정면 5칸, 측면 3칸이며 겹처마 맞배지붕에 2고주 5량집 구조이다. 기둥은 배흘림이 없는 두리기둥을 쓰고 있다. 동무와 서무는 모두 정면 3칸과 측면 1칸의 홑처마 맞배지붕이다. 대들보 가운데 하나의 동자주를 올려 간단히 만든 3량집 구조이다. 명륜당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홑처마 팔작지붕이며 무고주의 5량집 구조이다. 서재는 정면 5칸, 측면 2칸으로 홑처마 팔작지붕이다. 외삼문은 정면 3칸, 측면 1칸으로 가운데 칸을 높인 솟을삼문이다.

[현황]

임천향교에는 전적과 고문서, 제기, 제구 등이 보관되어 있다. 향교와 관련된 고문서들을 집성한 『가림교지』와 『임천향교지』가 있다. 임천향교는 전교 이외에 장의 23인과 감사 2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른 지역에 비하여 장의 숫자가 많은 편이다. 풍양 조씨, 문화 유씨, 전주 이씨 등이 석전제와 같은 향교 행사와 운영에 적극 참여하여 왔다.

[의의와 평가]

임천향교는 조선 시대 관학 기관으로 옛 임천 지역의 교육과 교화를 위한 중심 기능을 담당하였다. 조선 시대 임천 지역 사족들의 동향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유적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