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화류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 무량사에 있는 조선 후기 삼장보살 탱화. 무량사 극락전 삼장보살탱(無量寺 極樂殿 三藏菩薩幀)은 화기(畵記)에 따르면 “건륭 12년[1747년] 4월 왕, 왕비, 세자의 만수무강을 위하여 무량사에서 제작한 삼장탱”이다. 상단에 결가부좌한 천장보살(天藏菩薩), 지지보살(持地菩薩), 지장보살(地藏菩薩)을 그리고, 주위를 여러 무리들이 에워싸는 형태로 묘사하...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 무량사에 있는 조선 후기 불화. 무량사극락전후불탱(無量寺極樂殿後佛幀)은 3폭의 삼베에 각각 아미타여래·관음보살·대세지보살 등을 연한 채색으로 그려 족자로 만든 것이며, 부여 무량사 극락전의 소조 삼존상 후벽(後壁)에 걸려 있다. 3폭 모두 족자의 길이가 8m에 육박하며, 현존하는 실내 봉안 불화 가운데 가장 크다. 1747년에 제작된 부여 무량사 극락...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 무량사에 있었던 조선 전기 문신 김시습 초상화. 김시습 초상은 김시습(金時習)[1435~1493]의 초상화로 제작 시기를 알 수 없지만, 조선 전기에 그린 것으로 추정된다. 김시습의 본관은 강릉(江陵)이고,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이다. 사육신(死六臣)이 사형을 집행 당한 이후에 백성들이 세조를 두려워하여서 시신을 수습하지 못하였는데, 김시습이 밤에...
-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조현리 영모당에 소장되어 있는 계성군 김임의 영정. 김임은 1480년(성종 11)에 무과에 급제하였고, 이후 의성현령(義城縣令)·강령현감(康翎縣監)·양주목사(楊州牧使)를 지냈다. 1507년(중종 1) 정국공신(靖國功臣) 3등으로 책봉되었고, 계성군과 한성판윤(漢城判尹)을 역임하였다. 영모당에 모시면서 봄과 가을 두 번에 걸쳐 제사를 지내고 있다. 영모당에는...
-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조현리 경주김씨 종중 영모당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후기 문신인 김동효의 영정. 김동효(金東孝)는 1861년(철종 12)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에서 태어났고, 관직 생활은 경인 금영감시·경자순응참봉 등을 역임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정림사지박물관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정언욱의 영정과 초본. 부여정언욱영정및초본(扶餘鄭彦郁影幀및抄本)은 2007년 10월 30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93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변경되었다....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국립부여박물관에 있는 고려 후기 문신인 목은 이색의 조선 후기 초상. 목은(牧隱) 이색(李穡)[1328~1396]의 본관은 한산이다.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 야은(冶隱) 길재(吉再)와 더불어서 ‘고려 3은(三隱)’으로 불린다. 원나라의 국자감(國子監)에서 생원으로 지내면서 성리학을 연구하였다. 아버지의 상을 당하면서 고려로 귀국하게 되었고, 이...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정림사지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단군왕검의 초상화. 가로 34㎝, 세로 53㎝의 중국산 인조 비단에 엷은 채색으로 그린 단군왕검의 전신 초상화이다. 대종교 지도자이자 항일 운동가였던 강우(姜虞)[1862~1932]가 1920년대 황해도에서 가져왔다고 전한다. 이후 강우의 후손들이 충청남도 부여군 장암면 장하리 장정마을에 건립한 천진전에 봉안되었다가, 국...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에 있는 김시생의 유품. 김시생의 인물 정보는 정확히 확인되지 않으나, 김시생이 남긴 유품을 통하여 숙종 연간에 내금위 선략장군, 내금위 선략장군 충무위 부사, 어민장군 충무위 부사, 정훈련원봉사 승건공장군, 어민장군겸 원관진간, 인화보병마만호를 지냈음을 알 수 있다. 김시생과 관련해서는 교지 3점, 전령패 1개, 조선도 1점, 천하도 1점, 공신녹권...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 무량사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후기의 걸개용 미륵불 입상 불화. 모시 바탕에 보살 형태의 미륵불을 단독으로 크게 묘사한 가로 404㎝, 세로 656㎝의 걸개 그림[괘불탱(掛佛幀)]이다. 그림 속 미륵불은 머리에 관을 쓰고 연꽃을 들고 서 있는데, 이런 보관불(寶冠佛) 입상은 17세기~18세기 석가모니불과 노사나불의 괘불탱에도 등장한다. 부여 무량사 괘불...
-
충청남도 부여군 충화면 오덕리 오덕사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후기의 야외 의식용 대형 불화. 오덕사 괘불탱은 화면 하단에 적힌 화기(畵記)에 의하면, 1768년(영조 44) 5월 유행(有幸) 등 10명의 승려 화가가 공동으로 제작하였다. 모두 17폭의 삼베를 이어 가로 560.8㎝, 세로 864㎝의 화면을 만들었으며, 여기에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약사불·아미타불·사천왕을 배치...
목간·문서 등
-
2002년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 부여 능산리 사지에서 출토된 삼국 시대 백제 목간. 「지약아식미기(支藥兒食米記)」는 삼국 시대 백제에서 약아(藥兒)의 봉급을 지급한 내용을 기록한 목간(木簡)이다. ‘약아’는 약부(藥部) 같은 백제의 의약 관련 관청에서 일하였던 실무자로 추정된다. 목간의 성격은 기록, 장부, 문서를 이르는 기(記)에 해당한다. 제작 시기는 부여 능산리 사지...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쌍북리 저습지에서 출토된 삼국 시대 백제 목간. 「좌관대식기(佐官貸食記)」는 2008년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쌍북리 저습지에서 출토된 목간에 기록된 행정 문서이다. 7세기 백제 마지막 수도였던 부여에서 제작된 「좌관대식기」에는 나라에서 백성들에게 곡물과 식량을 대여하고 이자를 받은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환곡 문서의 성격을 가진다....
-
충청남도 부여군의 남양 전씨 문중이 소장하고 있는 조선 시대 고문서. 남양 전씨 종중 문서 일괄(南陽 田氏 宗中 文書 一括)은 남양 전씨 문중에서 소장하고 있는 27건의 문서를 일컫는다. 관직 임명장에 해당하는 ‘고신(告身)’은 23건, ‘유서’는 1건, ‘호적 단자’는 3건이다. 1981년 7월 15일 보물 제727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모리 여흥 민씨 입암집 장판각에 소장되어 있는 입암 민제인의 시문집을 새긴 조선 후기 목판. 민제인(閔齊仁)은 자는 희중(希仲), 호는 입암(立巖)이며, 본관은 여흥(驪興)이다. 1520년(중종 15) 문과에 급제하여 홍문관 부제학, 사간원 대사간, 사헌부 대사헌, 평안도 관찰사, 형조판서, 병조판서, 의정부 우찬성 등을 역임하였다. 명종 초 을사사화가 발생...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정림사지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유계의 저서를 판각한 목판. 칠산서원은 1687년(숙종 13)에 건립되어 1697년(숙종 23)에 사액을 받은 서원으로 유계(俞棨)[1607~1664]를 배향하고 있다. 유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학자로 본관은 기계(杞溪), 자는 무중(武仲), 호는 시남(市南)이다. 예학과 사학에 정통하였으며, 송시열·송준길·윤선거·이...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진변리에 있는 부산서원과 관계된 조선 시대의 고문서. 부산서원(浮山書院)은 인조(仁祖)[1595~1649]·효종(孝宗)[1619~1659] 연간에 관료이자 문인으로 활동한 김집(金集)[1574~1656]과 이경여(李敬輿)[1585~1657]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1719년(숙종 45)에 부여 지역 유림들의 공론에 의하여 창건된 서원이다. 187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