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의례
-
충청남도 부여군에서 한 사람이 태어나 죽을 때까지 삶의 고비가 되는 단계마다 거행하는 의례. 평생의례는 평생에 걸쳐 지내는 의례라는 뜻으로, 한 인간이 태어나 죽을 때까지 삶의 고비가 되는 단계마다 지내는 의례를 말한다. 평생의례는 삶의 단계에 따라 전통사회에서는 출산의례, 혼례, 상장례, 제례 등으로 나뉘었는데, 현대사회에서는 입학식, 군입대, 사회 초년생의 입사 의례 등도 중요...
-
충청남도 부여군에서 아이가 생기기를 기원하며 행한 의례나 풍속.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는 일정 기간이 지나도록 부부에게 아이가 생기지 않으면 큰 문제로 여겼다. 따라서 아이가 귀한 집에서는 아이가 생기기를 기원하며 각종 의례와 풍속을 행하였는데, 이를 기자(祈子)라고 한다. 부여 지역에서 언제부터 기자를 행하기 시작하였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현대적인 의료 기관이 대중화되고 산...
-
충청남도 부여군에서 아이의 출산 전후에 행하는 의례.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는 주민들이 임신을 준비하고 아이를 낳고 기르는 과정에서 흔히 행하던 관행들을 ‘출산의례’로 통칭한다. 일반적으로 출산의례는 다른 지역과 부여 지역이 크게 다르지 않다....
-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마을의 관혼상제 및 공동생활을 위하여 갖춘 마을 공동 비품. 동물(洞物)은 ‘동네 물건’이라는 뜻으로, 애경사와 공동생활에 필요하여 마을에서 구비한 각종 공동 비품을 말한다. 충청남도 부여 지역의 동물은 마을별로 마을회관에 보관하거나 따로 동물 창고를 갖추어 보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세시 풍속
-
충청남도 부여군 지역에서 해마다 같은 시기에 반복되는 생활 풍속. 세(歲)는 1년이고 시(時)는 계절을 뜻하니 세시풍속은 1년 4계절의 풍속을 말한다. 그런데 하나의 문화 소재가 풍속으로 인정받으려면 적어도 한 세대 이상 지속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세시풍속은 ‘해마다 같은 시기에 반복되는 풍속’으로 정의할 수 있다. 충청남도 부여군 지역의 세시풍속을 계절별로 나누어 보면 다음과 같...
-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가을걷이를 끝낸 후 햅쌀로 떡을 쪄서 가정의 수호신에게 바치며 지내는 고사. 음력 시월 무렵이 되면 그해의 벼농사가 갈무리된다. 벼를 베고 탈곡한 뒤에 이를 말려서 곳간에 넣음으로써 한 해의 농삿일을 마무리하는 것이다. 충청남도 부여 지역의 농가에서는 이 같은 일련의 노동을 마치고 성과를 수확할 수 있음에 감사하고자 갈떡[가을떡]을 쪄서 가정의 수호신인 가신...
-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제액초복과 풍년을 기원하면서 구렁이를 대상으로 지내는 제사. 예부터 구렁이를 두꺼비나 족제비 등과 같이 업(業)의 하나로 보았다. ‘업’이란 집을 지켜 주는 가정의 수호신 동물을 말한다. 그래서 충청남도 부여군에서는 가신(家神)을 위하는 날이나 별식을 만들어 먹는 날이면 구렁이도 위하고자 제를 지낸다. 이를 ‘구렁이제(구렁이祭)’라 부른다....
-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음력 9월 9일에 조상에게 지내는 제사. 구일차례에서 ‘구일’은 음력 9월 9일을 말한다. 9는 음양 사상에서 양(陽)의 수인 홀수 가운데 가장 큰 숫자이다. 9월 9일은 가장 큰 양의 수가 겹쳤으니, 중양절(重陽節), 중구일(重九日)이라 부르고 으뜸가는 명절로 친다.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이처럼 중양절에 햇곡으로 제물을 차려 놓고 조상에게 지내는 제사가...
-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모내기 전에 모여 하루를 놀 때 내는 술, 또는 그 술을 마시는 관행. 충청남도 부여군을 비롯하여 공주시·논산시 등 충청남도의 평야 지역에서는 해마다 모내기를 앞두고 대개 음력 4월 말 전후로 날을 잡아 마을 사람들이 모여 하루를 노는 풍습이 있다. 이때 마시고자 내는 술 또는 내온 술을 마시는 관행을 ‘꽁뱅이술‘, 또는 ‘꼼뱅이 먹는다’라고 한다. 꽁뱅이술...
-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느티나무 잎으로 그해 강수량과 농사의 풍흉을 점치는 풍속.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 전승되는 느티나무점(느티나무占)은 정자나무로 불리는 느티나무에 잎이 필 무렵 나뭇잎이 피는 위치나 상태를 보고 그해 비가 많고 적음을 점치고, 이에 따라 풍흉을 예상하는 것이다. 나무점, 나뭇잎점, 당산나무점 등으로도 불린다....
-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정월대보름날 저녁에 행하는 세시풍속. 다리밟기는 해마다 정월대보름날 저녁에 인공 구조물인 다리[橋]를 밟으며 건강을 기원하는 세시풍속이다. 답교(踏橋), 답교놀이라고도 한다. 다리를 밟음으로써 신체의 일부인 다리가 건강해진다는 언어 주술적 관념과도 관련이 있는 건강 기원 풍속이다.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는 다리밟기에 많은 이가 참여하여 즐겼다. 다른 지역과...
-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음력 5월 5일에 행하는 세시풍속. 단오는 설, 한식, 추석과 함께 우리나라 4대 명절의 하나로, 수릿날·천중절·중오절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음력으로 5월 5일이니, 예부터 동양에서 양(陽)의 수로 여기는 홀수 5가 겹치는 날이어서 양기가 왕성한 길일이나 절일로 여겼다. 경상도 일부 지역과 북한 지역에서는 단오를 명절로 삼아 차례를 지내기도 한다. 충청남도...
-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정월대보름날 저녁에 달을 보아 그해 농사의 풍흉을 점치는 세시풍속. 정월대보름날 저녁에 달을 보고 소원을 비는 풍속은 전국적으로 널리 전승된다. 충청남도 부여군에서는 달을 보고 소원을 비는 풍속 외에도 달을 보고 새해의 농사를 점치는 농점 풍속이 전하고 있다. 그날 떠오른 달의 모양이나 빛깔, 선명도, 위치 등에 따라 새해 농사에 대한 풍흉을 점치는 것이다....
-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동짓날 저녁에 가정의 수호신에게 제액초복을 기원하며 올리는 의례.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는 동짓날 저녁에 팥죽을 쑤어 가정의 수호신인 가신(家神)에게 올리는 동지차례를 지낸다. 동지는 1년 중 밤의 길이가 가장 긴 날인 동시에 낮의 길이가 조금씩 길어지는 반전의 날이기도 하다. 이 같은 빛의 부활, 새로운 시작의 의미 때문에 동지를 작은설이라 부르고 중요한...
-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정초에 산신제나 당산제를 지낼 때에 올리는 떡시루 또는 의례.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는 마을 공동체가 산신제나 당산제와 같은 마을 제사를 행할 때에 민가의 가정에서도 함께 제물을 놓고 고사를 지내는데, 이때 가정에서 준비한 떡시루를 ‘마짐시루’ 또는 ‘맞음시루’, ‘마중시루’라고 한다. 마짐은 오는 사람을 나가서 맞이하는 ‘마중’의 방언이다. 원래 마짐시루는...
-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정월 열나흗날에 여름철 모기를 대비하고자 행하는 세시풍속.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모기 퇴치법은 인진쑥을 태우는 것이다. 여름철에 모기가 기승을 떨치면 마른 인진쑥을 쌓은 다음 습기가 있는 잡초 등을 위에 포개어 놓아 불을 붙인다. 이때 불꽃이 피어나지 않고 연기만 나게 하여 인진쑥을 태우고 부채나 빗자루 등으로 연기가 사방에 퍼지게 한다...
-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새해 농사에 사용할 줄을 정월대보름날부터 미리 꼬아 두는 풍속.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는 정월대보름날부터 새끼줄을 꼬아 두는 관습이 전한다. 이를 봇줄드리기라 한다. 정월대보름에 농사에 필요한 새끼줄을 꼬는 것은 정월대보름날이 새해 농사를 시작하는 시점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또한 옛 농촌 지역의 정월은 농한기였기에 농부들이 정월에 많은 새끼줄을 꼬았으며, 특...
-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석가모니의 탄생일에 지내는 풍습. 사월 초파일은 음력 4월 8일이니 줄여서 초파일로 부르기도 하고, 석가모니의 탄생을 기념하는 날이니 석가탄신일, 불탄일, 석탄절, 부처님오신날 등으로도 불린다. 충청남도 부여군의 불교계에서는 사월 초파일을 1년 중 가장 큰 기념일로 여겨 부처의 탄생을 경축하고 연등 행사나 관등놀이를 행한다. 불교 신자들 또한 이날 자신들이...
-
충청남도 부여군에서 음력 3월 3일에 행하는 세시풍속. 삼짇날(三짇날)은 음력 3월 3일로, 봄이 무르익었음을 알리는 날이다.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는 삼짇날을 산이나 물가로 소풍가는 날이라고 한다. 삼짇날을 달리 답청절(踏靑節)이라고도 하는데, 파릇파릇한 풀밭에서 봄을 즐기는 데에서 나온 말이다. 자연을 즐기는 것 외에 봄소식을 품고 있는 음식을 먹는 날이기도 하다. 대표적인 시...
-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음력으로 1월 1일에 행하는 세시풍속.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설은 음력으로 새해가 시작되는 첫째 날을 말한다. 예부터 이날은 새해를 여는 날이기에 명절로 삼고 기념하였다. 설은 원단(元旦), 원일(元日), 정조(正朝), 원정(元正), 세수(歲首), 신일(愼日) 등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별칭 대부분이 새해의 첫째 날 또는 으뜸되는 날이라는 뜻이다. 다만, 신...
-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정월대보름에 소의 먹이로 한 해 풍작을 점치는 풍속. 충청남도 부여군에서는 예부터 동식물에 관한 다양한 점법이 전하고 있다. 소점보기(소占보기) 또는 소점치기(소占치기)도 그중의 하나이다. 전국 각지의 소점보기 풍속은 십이지일(十二支日) 가운데 소날[상우일(上牛日), 축일(丑日)]에 행하기도 하고 정월대보름에 하기도 하는데, 부여 지역에서는 소날보다는 정월대...
-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여름에 밀을 수확하여 수제비를 만들어 가정의 수호신에게 올리는 의례. 충청남도 부여 지역은 1970년대까지만 하여도 많은 농가에서 밀을 재배하였다. 봄에 심은 밀은 음력 유월 보름인 유두 무렵이 되면 대부분 수확이 마무리된다. 수제비천신은 그해 수확한 밀로 가루를 내고 수제비를 만들어 터주나 성주, 조왕 등 가정의 수호신인 가신(家神)에게 대접하는 천신(薦新...
-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정월 열나흗날이나 정월대보름날 아궁이에 싸리나무를 태우는 풍속. 예부터 우리나라에는 불을 피우면서 풍요를 기원하던 풍속이 전하여 내려온다. 이러한 기원 의식은 불로 조리하는 음식에 초점이 맞춰지기도 하지만, 음식을 조리하는 불이나 땔나무 자체가 중심이 되기도 한다. 충청남도 부여군에서 전하여 오는 싸리나무 불때기 풍속 역시 땔나무로서의 싸리나무가 초점이 된다...
-
충청남도 부여군에서 정월대보름에 오쟁이로 개울에 다리를 놓는 세시풍속. 충청남도 부여 지역의 많은 개울에는 과거 돌다리나 섶다리가 설치되어 있었다. 그런데 이러한 다리는 홍수가 나면 대부분 쓸려 내려갔고 그대로 방치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다가 겨울이 다가오거나 정월대보름이 되면 짚이나 새끼줄로 엮은 오쟁이에 돌덩이나 흙무더기를 넣어 개울에 일정한 간격으로 늘어놓아 다리를 재건하였...
-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그해 첫 수확한 쌀로 밥을 지어 조상과 가신에게 올리는 의례. 올벼는 제철보다 일찍 여문 벼이며, 천신은 새로 난 곡식 등의 농산물을 먼저 집안의 수호신인 가신(家神)이나 조상에게 올리는 의례이다. 곧 올벼천신은 자신이 처음 수확한 곡식이나 과실을 신명에게 먼저 올리는 풍속을 말한다.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옛날부터 행하여 온 올벼천신의 경우, 밀 농사를 짓...
-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정월대보름 새벽에 공동 우물의 물을 길어 오는 세시풍속. 충청남도 부여군에서는 정월대보름 새벽이 되면 용이 내려와 공동 우물 속에 알을 낳는다는 속설이 전하고 있다. 이런 속설에 따라 가정의 주부들은 이날 새벽에 용알을 뜨고자 남들보다 먼저 우물물을 길어 오려고 하였다. 이런 세시풍속을 ‘용알뜨기(龍알뜨기)’라 한다....
-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유둣날에 농사의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고사.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는 예부터 음력 6월 보름인 유두에 가정의 묘당이나 논밭에서 풍년이 들기를 빌며 고사를 지내는 풍속이 전하고 있다. 이를 ‘유두고사’라 한다. 유두고사로는 아침에 햇과일 등을 차려서 조상에게 제를 지내는 유두천신(流頭薦神), 논밭에서 풍년을 기원하는 논고사 또는 둑고사 등이 행하여졌다. 이러한...
-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정초에 길일을 정하여 집안의 수호신에게 지내는 의례. 예부터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는 새해를 맞아 가족의 건강과 가내의 평안, 풍년 등을 기원하고자 집안의 수호신인 가신(家神)에게 고사를 지냈다. 이를 정월에 지낸 고사, 곧 ‘정월고사’라 한다. 고사 날짜는 정월대보름[음력 1월 15일] 이전의 길일을 택하여 지내는데 보통은 정월 열나흗날 저녁이나 대보름날...
-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음력으로 1월 14일과 1월 15일에 행하는 세시풍속. 정월대보름은 음력으로 새해 처음 맞이하는 보름으로,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는 설과 추석 못지 않게 많은 풍속이 널리 퍼져 있다. 풍속의 사례로 본다면 가장 많은 소재가 정월대보름 기간에 집중되어 있다. 정월대보름이 봄의 본격적인 시작과 농사의 개시 시점이기 때문이다. 부여 지역이 과거 오랫동안 농경 중심...
-
충청남도 부여군에서 명절에 조상에게 지내는 의례.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조상이 사망한 날에 지내는 제사와 달리 설과 추석 등의 명절에 마련한 떡국과 송편 등의 시절 음식을 조상에게 올리는 약식 제사이다....
-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음력 7월 7일 칠성신과 집안의 수호신에게 지내는 고사.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전승되는 전형적인 칠석고사는 본래 칠성신(七星神)을 위하고자 백설기를 쪄서 올리면서 가족의 건강과 풍년을 기원하는 의례이다. 그런데 칠성신이 집안의 수호신인 가신(家神)으로 여겨지면서 칠석고사에 또 다른 신들이 기원 대상에 포함되었다. 곧 성주나 터주, 조왕, 제석, 조상신과 같...
-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정월 중 콩을 불려 강수량을 점치는 세시풍속. 농사에서 강수량은 작물의 수확량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 비가 작물의 성장기에 적절하게 내리는가 그렇지 않은가에 따라 수확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강수량의 예측은 농부에게 매우 큰 관심사다.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전하여 오는 콩불이는 이러한 농부의 관심 속에서 시작된 농점(農占) 풍속이다. 콩이 얼...
-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동지 후 105일째 되는 날에 행하는 세시풍속. 한식(寒食)은 예부터 설, 단오, 추석과 함께 우리나라 4대 명절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숙식(熟食), 냉절(冷節)이라고도 불린다.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는 이날 조상의 묘를 찾아가서 제물을 차려 놓고 제사를 올렸는데, 이를 한식차례, 한식성묘, 명절 제사[절사(節祀)]라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