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무 관인
-
충청남도 부여군 의열사와 삼충사에서 제향하고 있는 백제 말기의 충신. 계백(階伯)[?~660]은 조선 후기 김정호(金正浩)가 편찬한 『대동지지(大東地志)』에 “이름은 승(升)이고 성씨는 백제 왕실의 성씨와 같았다”라는 기록이 있어 ‘계백’을 성씨로 보기도 한다. 계백의 조상은 개백현(皆伯縣)[현 경기도 고양시]을 근거로 삼았다. 『삼국유사(三國遺事)』「기이(紀異)」 태종춘추공(太宗...
-
충청남도 부여 지역을 수도로 한 백제 사비 시기의 관리. 국지모(國智牟)[?~?]는 백제 대성팔족(大姓八族)의 하나인 국씨 가문이다. 국씨는 국지모 이외에도 「대당평백제국비명(大唐平百濟國碑銘)」에 국변성(國辯成), 『일본서기(日本書紀)』에 국사리(國沙利), 덕솔 국수다(國雖多), 국변성 등이 확인된다. 국변성이 의자왕이 당나라로 갈 때 대좌평 사택천복 등과 함께 끌려갔다는 기록에서...
-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무신. 권이길(權頥吉)[1588~1627]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자순(子順)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권용(權鎔)이고, 할아버지는 권대훈(權大勲)이다. 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를 지낸 권곤(權鵾)이고, 어머니는 민영(閔韺)의 딸 여흥 민씨(驪興 閔氏)이다. 부인은 선전관 임정문(林挺門)의 딸 예천 임씨(醴泉 林氏)이고, 아들은 권희(權曦)이다....
-
조선 후기 부여 지역에 거주한 문신. 김광악(金光岳)[1694~1759]의 본관은 경주(慶州)이며, 자는 동첨(東瞻) 또는 수이(秀而), 호는 독좌와(獨坐窩)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병조의 낭관을 지낸 김시현(金時鉉)이고, 할아버지는 김빈(金彬)이다. 아버지는 김정상(金鼎相)이고, 어머니는 부사 이적(李菂)의 딸 전주 이씨(全州 李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조영걸(趙英傑)의 딸이고,...
-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무신. 김중환(金重煥)[?~?]은 부여 출신으로 1766년(영조 42)에 무과에 급제하였다. 1772년(영조 48) 12월과 1774년(영조 50) 6월 수문장에 제수되었다....
-
조선 후기 부여현감을 역임한 문신. 김집(金集)[1574~1656]의 본관은 광산(光山)이며, 자는 사강(士剛), 호는 신독재(愼獨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김호(金鎬)이고, 할아버지는 대사헌을 지낸 김계휘(金繼輝)이다. 아버지는 김장생(金長生)이고, 어머니는 조대건(曺大乾)의 딸 창녕 조씨(昌寧 曺氏)이다. 첫 번쩨 부인은 유홍(兪泓)의 딸 기계 유씨(杞溪 俞氏)이며, 두 번쩨 부...
-
조선 후기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규암리에 수북정을 짓고 은거한 문신. 김흥국(金興國)[1557~1623]의 본관은 순천(順天)이며, 자는 경인(景仁), 호는 수북정(水北停)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병조참판 김약평(金若枰)이고, 할아버지는 김희려(金希呂)이다. 아버지는 사포서별좌 김응손(金膺孫)이고, 어머니는 정랑 이숙간(李叔幹)의 딸 용인 이씨(龍仁 李氏)이고, 부인은 백성 이씨(栢...
-
조선 전기 부여 지역에 거주한 문신. 민기문(閔起文)[1511~1574]의 본관은 여흥(驪興)이고, 자는 숙도(叔道), 호는 역암(櫟庵)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민해(閔解)이고, 할아버지는 충청도관찰사 민사건(閔師騫)이다. 아버지는 우부승지 민원(閔㥳)이고, 어머니는 사직서영 정숙돈(鄭叔潡)의 딸 봉화 정씨(奉化 鄭氏)이다. 부인은 최흡(崔潝)의 딸 경주 최씨(慶州 崔氏)이고, 아들은...
-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문신. 민성휘(閔聖徽)[1582~1647]의 본관은 여흥(驪興)이며, 초명은 민성징(閔聖徵), 자는 사상(士尙, 士祥), 호는 용졸당(用拙堂)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승지 민기문(閔起文)이고, 할아버지는 민이(閔涖)이다. 아버지는 호조정랑 민유부(閔有孚)이고, 어머니는 정척(鄭惕)의 딸 해주 정씨(海州 鄭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이의정(李義貞)의 딸 전주 이씨...
-
조선 후기 부여 지역에서 발생한 이몽학의 난 진압에 공을 세운 무신. 민여준(閔汝俊)[1539~1599]의 본관은 여흥(驪興)이며, 자는 영백(英伯)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민구손(閔龜孫)이고, 할아버지는 좌찬성 민제인(閔齊仁)이다. 아버지는 문천군수를 지낸 민사용(閔思容)이고, 어머니는 광주 김씨(光州 金氏)이다. 부인은 충의위 이경종(李景宗)의 딸 전주 이씨(全州 李氏)이고, 아들...
-
조선 전기 부여 지역에서 발생한 이몽학의 난을 진압한 무신. 박명현(朴名賢)[1561~1608]의 본관은 죽산(竹山)이며, 자는 군빙(君聘)이다. 아버지는 박근(朴近)이고, 형은 박영현(朴英賢)·박제현(朴濟賢) 등이다. 박명현(朴命賢)으로 알려지기도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 지역을 수도로 한 백제 사비 시기의 귀족. 복신(福信)[?~?]의 성은 귀실(鬼室)이다. 백제 제30대 무왕(武王)[재위 600~641]의 조카이자 백제 제31대 의자왕(義慈王)[재위 641~660]의 사촌동생으로 전한다. 부여 부소산에서 발견된 당유인원기공비(唐劉仁願紀功碑)와 『일본서기(日本書紀)』 권26 제명기(齊明紀) 6년 조에 기록된 ‘귀실복신(鬼室福信)’이라...
-
충청남도 부여 지역을 수도로 한 백제 사비 시기의 장수. 사걸(沙乞)[?~?]은 백제 대성팔족(大姓八族)의 하나이자 사비기에 왕비족(王妃族)으로 급부상한 유력한 귀족 가문인 사씨(沙氏) 출신이다. 사씨는 정치적 기반이 사비 지역이었는데, 538년(성왕 16) 사비 천도 과정에서 유력한 정치 세력으로 부상하였다. 그러나 무왕 재위 초기에 사씨 세력이 등장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무왕...
-
충청남도 부여 지역을 수도로 한 백제 사비 시기 백제부흥운동에 참여한 장군. 사타상여(沙咤相如)[?~?]는 백제 대성팔족(大姓八族)의 하나이자 사비기에 왕실 외척으로 급부상하여 성장한 유력한 귀족 가문인 사씨 출신이다. 사타상여의 사타씨(沙咤氏)는 사택씨(沙宅氏)와 통용되며, 단일성으로 표기할 때는 사씨(沙氏)이다....
-
충청남도 부여 지역을 수도로 한 백제 사비 시기의 고위 관리. 사택지적(砂宅智積)[?~?]은 백제 대성팔족(大姓八族)의 하나이자 사비 시기에 왕실 외척으로 급부상한 귀족 가문인 사씨로 나지성(奈祗城) 출신이다. 사택지적의 사택씨(沙宅氏)는 사탁씨(沙矺氏) 또는 사탁씨(沙乇氏)라고도 불리며, 단일성으로 표기할 때는 사씨(沙氏)이다....
-
충청남도 부여 지역을 수도로 한 백제 사비 시기의 관리. 상영(常永)[?~?]은 백제 사비 도읍기인 의자왕 대 중앙 부서에서 활동한 고위 관리이다....
-
조선 전기 부여 출신의 문신. 상진(尙震)[1493~1564]의 본관은 목천(木川)이며, 자는 기부(起夫), 호는 송현(松峴)·향일당(嚮日堂)·범허재(泛虛齋) 등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상영부(尙英孚)이고, 할아버지는 상효충(尙孝忠)이다. 아버지는 상보(尙甫)이고, 어머니는 김휘(金徽)의 딸 연안 김씨(延安 金氏)이다. 부인은 개산부수 이효지(李孝智)의 딸 전주 이씨(全州 李氏)이다....
-
충청남도 부여군 의열사와 삼충사에서 제향하고 있는 백제 말기의 충신. 성충(成忠)[?~656]은 의자왕 초기부터 국왕을 보필하였다. 백제의 제1관등인 좌평(佐平)을 역임한 것으로 보아, 사비의 중앙 부서에서 책임자를 맡아 정무의 핵심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성충은 656년(의자왕 16) 국왕이 궁인(宮人)들과 사치와 향락에 빠져 술 마시기를 그치지 않자 적극 간언을 하다가, 의...
-
조선 전기 부여 출신의 문신. 순한량(荀漢良)[?~?]의 본관은 홍산(鴻山)이다....
-
조선 후기 부여 지역에서 발생한 이몽학의 난 진압에 공을 세운 문신. 신경행(辛景行)[1547~1623]의 본관은 영산(靈山)이며, 자는 백도(伯道), 호는 조은(釣隱)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신자전(辛自全)이고, 할아버지는 신세주(辛世胄)이다. 아버지는 신질(辛垤)이고, 어머니는 영동 김씨(永同 金氏)이다. 부인은 최명강(崔命江)의 딸이다....
-
조선 후기 부여 지역에 은거하였던 문신. 심상정(沈尙鼎)[1680~1721]의 본관은 청송(靑松)이며, 자는 성응(聖凝), 호는 몽오재(夢悟齋)이다. 처음 이름은 심상엽(沈尙燁)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심준(沈僔)이고, 할아버지는 심지치(沈之治)이다. 아버지는 심집(沈楫)이고, 어머니는 유심(柳淰)의 딸로 본관은 전주 유씨(全州 柳氏)이다. 부인은 권지(權持)의 딸 안동 권씨(安東 權...
-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문신. 안응로(安應魯)[1586~1628]의 본관은 광주(廣州)이며, 자는 몽여(夢與), 호는 취치(醉癡)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안자흠(安子欽)이고, 할아버지는 안사영(安士英)이다. 아버지는 형조정랑을 지낸 안묵지(安默智)이다....
-
충청남도 부여 지역을 수도로 한 백제 사비 시기의 관리. 연문진(燕文進)[?~?]은 백제 대성팔족(大姓八族)의 하나인 연씨(燕氏) 가문이다. 연씨는 웅진 천도 이후에 등장한 신진 세력이었으나, 478년(삼근왕 2) 연신이 해구의 반란에 연루되어 중앙 정치에서 배제되었다. 이후 497년(동성왕 19) 연돌이 병관좌평에 임명되면서 유력한 귀족 세력으로 성장하였다. 연씨 세력의 재지 기...
-
충청남도 부여를 수도로 한 백제 사비 시기의 무신. 연회(燕會)[?~?]는 백제 대성팔족(大姓八族)의 하나인 연씨(燕氏) 가문 출신이다. 연씨는 웅진 천도 이후에 등장한 신진 세력이다. 478년(삼근왕 2) 연신이 해구의 반란에 연루되어 중앙 정치에서 배제되었다가 497년(동성왕 19) 연돌이 병관좌평에 임명되면서 유력한 귀족 세력으로 성장하였다. 529년(성왕 7) 고구려 안장왕...
-
충청남도 부여 지역을 수도로 한 백제 사비 시기의 관리. 예군(禰軍)[613~678]의 성은 예씨(禰氏)이고, 자는 온(溫)이다. 웅진(熊津) 우이(嵎夷) 출신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예복(禰福), 할아버지는 예예(禰譽)이며, 아버지는 예선(禰善)이다. 모두 백제의 제1품 좌평(佐平)을 지냈다. 『삼국사기(三國史記)』 백제본기에는 이름이 전혀 보이지 않고, 다만 신라본기 문무왕 10년...
-
충청남도 부여 지역을 수도로 한 백제 사비 시기의 관리. 왕변나(王辯那)[?~?]의 성은 왕씨(王氏)로 추정된다....
-
충청남도 부여 지역을 수도로 한 백제 사비 시기의 관리. 왕효린(王孝隣)[?~?]의 성은 왕씨(王氏)이며, 중국계 백제 관료로 추정된다....
-
조선 후기 부여 지역에 거주하였던 문신. 유계(兪棨)[1607~1664]의 본관은 기계(杞溪)이며, 자는 무중(武仲), 호는 시남(市南)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유함(兪涵)이고, 할아버지는 수안군수 유대경(兪大敬)이다. 아버지는 예빈시참봉 유양증(兪養曾)이고, 어머니는 남이신(南以信)의 딸 의령 남씨(宜寧 南氏)이다. 부인은 이산악(李山岳)의 딸 광주 이씨(廣州 李氏)이고, 아들은 유...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군사리 임천 유태사 묘에 위패가 봉안된 고려 전기 무신. 유금필(庾黔弼)[?~941]의 본관은 평산(平山)이다. 평산 유씨(平山 庾氏)와 무송 유씨(茂松 庾氏)의 시조이다. 아들은 유긍(庾兢)·유관(庾官)·유유(庾儒)·유경(庾慶)이며, 딸은 태조 왕건의 제9비인 동양원부인(東陽院夫人)이다....
-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문신. 유대칭(兪大偁)[1565~1634]의 본관은 기계(杞溪)이며, 자는 경선(景宣)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유여림(兪汝霖)이고, 할아버지는 유진(兪縝)이다. 아버지는 유함(兪涵)이고, 어머니는 이희현(李希賢)의 딸 평창 이씨(平昌 李氏)이다. 형은 유대숙(兪大俶)·유대수(兪大脩)·유대경(兪大儆)·유대엄(兪大儼)이고, 동생은 유대우(兪大佑)이다. 부인은 한의(...
-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무신. 유동발(柳東發)[1609~?]의 본관은 문화(文化)이며, 자는 진백(震伯)이다. 아버지는 유계춘(柳繼春)이고, 형은 유동수(柳東秀)이다. 부인은 이숙(李潚)의 딸이다....
-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문신. 유명윤(兪命胤)[1629~1669]의 본관은 기계(杞溪)이며, 자는 윤보(胤甫)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수안군수 유대경(兪大儆)이고, 할아버지는 예빈시참봉 유양증(兪養曾)이다. 아버지는 이조참판 유계(兪棨)이고, 어머니는 이산악(李山岳)의 딸 광주 이씨(廣州 李氏)이다. 부인은 진주목사 윤형성(尹衡聖)의 딸 남원 윤씨(南原 尹氏)이고, 아들은 유상기(兪相...
-
조선 후기 부여 지역에 거주하였던 문신. 윤문거(尹文擧)[1606~1672]의 본관은 파평(坡平)이며, 자는 여망(汝望), 호는 석호(石湖)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윤돈(尹暾)이고, 할아버지는 윤창세(尹昌世)이다. 아버지는 대사간 윤황(尹煌)이고, 어머니는 성혼(成渾)의 딸 창녕 성씨(昌寧 成氏)이다. 부인은 선교랑 이전(李瑑)의 딸 평창 이씨(平昌 李氏)이고, 아들은 윤단(尹搏)·윤...
-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무신. 윤익(尹翊)[1615~1637]의 본관은 칠원(漆原)이며, 자는 경량(景亮)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윤기(尹祺)이고, 할아버지는 윤사영(尹仕榮)이다. 아버지는 윤인(尹璘)이고, 어머니는 박원당(朴元璫)의 딸 밀양 박씨(密陽 朴氏)이다. 부인은 김덕유(金德裕)의 딸 김해 김씨(金海 金氏)이고, 아들은 윤광은(尹光殷)이다....
-
충청남도 부여 지역을 수도로 한 백제 사비 시기의 장군. 윤충(允忠)[?~?]은 장군의 직책으로 부여에서 활동하였으나 성씨에 관하여는 자세히 알 수 없다....
-
조선 후기 부여 지역에 거주하였던 문신. 윤형성(尹衡聖)[1608~1676]의 본관은 남원(南原)이며, 자는 경임(景任), 호는 기기재(棄棄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내자시판관 윤청(尹淸)이고, 할아버지는 사옹원참봉 윤민신(尹民新)이다. 아버지는 승지 윤길(尹日+吉)이고, 어머니는 이세량(李世良)의 딸 전주 이씨(全州 李氏)이다. 부인은 이사민(李師閔)의 딸 전주 이씨(全州 李氏)이...
-
충청남도 부여 지역을 수도로 한 백제 사비 시기의 고위 관료이자 장군. 은상(殷相)[?~?]은 649년 백제의 좌장(左將)으로서 신라를 공격하였다가 도살성(道薩城) 전투에서 전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
충청남도 부여 지역을 수도로 한 백제 사비 시기의 관료이자 장군. 의직(義直)[?~?]은 백제 사비 도읍기에 중앙군의 장군으로 활동하였으나 성씨에 대하여는 자세히 알 수 없다....
-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문신. 이경여(李敬輿)[1585~1657]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자는 직부(直夫), 호는 백강(白江)·봉암(鳳巖)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구수(李耉壽)이고, 할아버지는 이극강(李克綱)이다. 아버지는 이유록(李綏祿)이고, 어머니는 송제신(宋濟臣)의 딸 진천 송씨(鎭川 宋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윤승훈(尹承勳)의 딸 해평 윤씨(海平 尹氏)이고, 두 번째 부...
-
조선 후기 부여 지역에서 민란을 일으킨 반란군 수장. 이몽학(李夢鶴)[?~1596]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가계에 대해서는 자세히 전하지 않으며, 왕족의 서얼 출신으로 서울에 살았으나 품행이 좋지 않아 아버지에게 쫓겨나 충청도와 전라도 등지를 전전하였다고 전한다. 또한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 조경남(趙慶男)이 쓴 『난중잡록(亂中雜錄)』에는 “이몽학이 본래 흉하고 교활한 무리로서...
-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문신. 이봉명(李鳳鳴)[1682~1746]의 본관은 서천(舒川)이며, 자는 방서(邦瑞), 호는 구포(九苞)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익형(李益亨)이고, 할아버지는 이석빈(李碩賓)이다. 아버지는 이현(李玹)이고, 어머니는 최송수(崔松秀)의 딸 탐진 최씨(耽津 崔氏)이다. 부인은 심량(沈樑)의 딸 청송 심씨(靑松 沈氏)이다....
-
조선 후기 부여 지역에서 발생한 이몽학의 난 진압에 공을 세운 무신. 1596년(선조 29) 7월 홍산(鴻山)[현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에서 이몽학(李夢鶴)이 반란을 일으켜 홍산과 임천에서 군수와 현감을 사로잡은 후 청양과 예산까지 함락하고 8월 3일 홍주성[현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을 포위하였다. 이수담(李壽聃)[?~?]은 복병장(伏兵將)으로 참전하여 이몽학과 함께 반란을 주...
-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문신. 이용만(李容萬)[1736~1787]의 본관은 전의(全義)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우춘(李宇春)이고, 할아버지는 이진성(李晉聖)이다. 아버지는 이규문(李揆文)이고, 어머니는 안동 김씨(安東 金氏)이다. 부인은 변종운(邊宗運)의 딸 황주 변씨(黃州 邊氏)이다....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옥곡리에 묘소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이이명(李頥命)[1658~1722]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자는 지인(智仁) 또는 양숙(養叔), 호는 소재(疎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유록(李綏祿)이고, 할아버지는 영의정 이경여(李敬輿)이다. 아버지는 대사헌 이민적(李敏迪)이고, 어머니는 황일호(黃一皓)의 딸 창원 황씨(昌原 黃氏)이다. 부인은 판서 김만중(金萬...
-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문신. 이일삼(李日三)[1626~1700]의 본관은 서천(舒川)이며, 자는 진여(晉汝), 호는 시서(市西) 또는 성오(省吾)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대의(李大義)이고, 할아버지는 이돈임(李敦臨)이다. 아버지는 이복형(李復亨)이고, 어머니는 백광원(白光遠)의 딸 수원 백씨(水原 白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이충민(李忠民)의 딸 연안 이씨(延安 李氏)이고, 두 번...
-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무신. 이중신(李重信)[1611~?]의 본관은 한산(韓山)이다. 아버지는 선전관을 지낸 이조성(李朝晟)이고, 어머니는 이구한(李久漢)의 딸 전주 이씨(全州 李氏)이다. 아들은 이장협(李長莢)·이장명(李長蓂)이다....
-
고려 후기 부여 출신의 문신. 이존오(李存吾)[1341~1371]의 본관은 경주(慶州)이며, 자는 순경(順卿), 호는 석탄(石灘)·고산(孤山)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내시흥위위장사(內侍興威衛長史) 이예(李芮)이고, 할아버지는 봉상대부감찰사장령(奉常大夫監察司掌令) 이손보(李孫寶)이고, 아버지는 승봉랑사재시승(承奉郞司宰寺丞) 이길상(李吉祥)이다. 아들은 좌명공신이자 태종 묘정배향공신인 이...
-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무신. 이지례(李之禮)[1545~1592]의 본관은 단양이며, 자(字)는 만혜(漫兮)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사헌부집의 이맹지(李孟智)이고, 할아버지는 사헌부장령 이겸(李謙)이다. 아버지는 이문호(李文虎)이고, 어머니는 태원 선우씨(太原 鮮于氏)이다....
-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문신. 이함림(李咸臨)[1564~1596]의 본관은 연안(延安)이며, 자는 응오(應五)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세헌(李世獻)이고, 할아버지는 이훈(李勳)이다. 아버지는 이대인(李大仁)이다....
-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문신. 이현조(李玄祚)[1654~1710]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자는 계상(啓商), 호는 경연당(景淵堂)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조판서 이수광(李睟光)이고, 할아버지는 영의정 이성구(李聖求)이다. 아버지는 이석규(李碩揆)이고, 어머니는 민성복(閔聖復)의 딸 여흥 민씨(驪興閔氏)이다. 부인은 김귀만(金龜萬)의 딸 안동 김씨(安東 金氏)이다....
-
조선 전기 부여 지역에 은거한 문신. 이흥의(李興儀)[1409~?]의 본관은 서천(舒川)이며, 서천 이씨 부여 입향조이다. 부인은 홍윤성(洪允成)의 누이 회인 홍씨(懷仁 洪氏)이다....
-
조선 후기 부여 지역에서 발생한 이몽학의 난 진압에 공을 세운 무신. 임득의(林得義)[1558~1612]의 본관은 평택(平澤)이며, 자는 자방(子房)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북병사 임준(林畯)이고, 할아버지는 좌랑 임정수(林貞秀)이다. 아버지는 강계부사 임식(林植)이고, 어머니는 최제운(崔霽雲)의 딸 해주 최씨(海州 崔氏)이다. 부인은 민서남(閔恕男)의 딸 여흥 민씨(驪興 閔氏)이다....
-
조선 전기 부여 출신의 문신. 전득우(田得雨)[?~?]의 본관은 남양(南陽)이며, 아버지는 전주(田柱)이다. 부인은 정씨(鄭氏)이고, 아들은 판중추원사 전흥(田興)이다....
-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문신. 전윤량(田允良)[?~1597]의 본관은 담양(潭陽)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전흡(田洽)이고, 할아버지는 전만복(田萬福), 아버지는 전학령(田鶴齡)이다. 부인은 부여 임씨(扶餘 林氏)이다....
-
조선 전기 부여 출신의 문신. 전흥(田興)[1376~1457]의 본관은 남양(南陽)이다. 할아버지는 전주(田柱)이고, 아버지는 형조참의 전득우(田得雨)이다. 어머니는 정씨(鄭氏)이다. 아들은 전가생(田稼生), 전조생(田稠生), 전수생(田穗生), 전동생(田秱生) 등이다....
-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무신. 정득열(鄭得說)[1565~1592]의 본관은 하동(河東)이며, 자는 군석(君錫)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승염(鄭承廉)이고, 할아버지는 정인국(鄭仁國)이다. 아버지는 정희영(鄭希永)이고, 어머니는 전주 이씨(全州 李氏)이다. 부인은 강종경(姜宗慶)의 딸 진주 강씨(晉州 姜氏)이고, 아들은 정택뢰(鄭澤雷)이다....
-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문신. 정시형(鄭時亨)[1619~1699]의 본관은 광주(光州)이며, 자는 숙하(叔夏), 호는 반주(盤州)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연(鄭演)이고, 할아버지는 정보문(鄭保門)이다. 아버지는 군수 정유(鄭維)이고, 어머니는 박한(朴澣)의 딸 함양 박씨(咸陽 朴氏)이다. 부인은 유동발(柳東發)의 딸 문화 유씨(文化 柳氏)이다. 형은 정시원(鄭時元)이고, 동생은 정시...
-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문신. 정언욱(鄭彦郁)[1713~1787]의 본관은 동래(東萊)이며, 자는 사문(士文), 호는 퇴어(退漁)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유석(鄭有錫)이고, 할아버지는 정관주(鄭觀周)이다. 아버지는 정용서(鄭龍瑞)이고, 어머니는 권이정(權以廷)의 딸 안동 권씨(安東權氏)이다. 부인은 심우적(沈禹績)의 딸 청송 심씨(靑松沈氏)이다....
-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문신. 정인(鄭仁)[1741~1794]의 본관은 동래(東萊)이며, 자는 도심(道心), 호는 석헌(石軒)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진주(鄭震周)이고, 할아버지는 정창서(鄭昌瑞)이다. 아버지는 정언운(鄭彦運)이고, 어머니는 홍중량(洪重亮)의 딸 풍산 홍씨(豊山 洪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김응징(金應徵)의 딸 안동 김씨(安東 金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권상흠(權尙...
-
조선 전기 부여 출신의 문신. 정인지(鄭麟趾)[1396~1478]의 본관은 하동(河東)이며, 자는 백저(伯雎), 호는 학역재(學易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익(鄭翊)이고, 할아버지는 정을귀(鄭乙貴)이다. 아버지는 정흥인(鄭興仁)이고, 어머니는 진천의(陳千義)의 딸이다. 첫 번째 부인은 조후(趙侯)의 딸 한양 조씨(漢陽 趙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이휴(李携)의 딸 경주 이씨(慶州...
-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지사. 정택뢰(鄭澤雷)[1585~1619]의 본관은 하동(河東)이며, 자는 휴길(休吉), 호는 화강(花岡)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인국(鄭仁國)이고, 할아버지는 정희영(鄭希永)이다. 아버지는 사천현감 정득열(鄭得說)이고, 어머니는 강종경(姜宗慶)의 딸 진주 강씨(晉州 姜氏)이다. 부인은 정사경(鄭思敬)의 딸 동래 정씨(東萊 鄭氏)이고, 아들은 정천세(鄭千世)·...
-
조선 전기 부여 지역에 거주한 문신. 정흥인(鄭興仁)[1363~1436]의 본관은 하동(河東)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지연(鄭芝衍)이고, 할아버지는 정익(鄭翊)이다. 아버지는 정을귀(鄭乙貴)이고, 어머니는 민계창(閔季昌)의 딸 여흥 민씨(驪興閔氏)이다. 부인은 진천의(陳千義)의 딸 흥덕 진씨(興德 陳氏)이다. 아들은 정인지(鄭麟趾), 정인종(鄭麟踵), 정인각(鄭麟角)이다....
-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문신. 조견소(趙見素)[1610~1677]의 본관은 풍양(豊壤)이며, 자는 자장(子章), 호는 성강(星江)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조경(趙硬)이고, 할아버지는 조희윤(趙希尹)이다. 아버지는 목사 조박(趙璞)이고, 어머니는 홍준(洪遵)의 딸 남양 홍씨(南陽 洪氏)이다. 부인은 황집(黃潗)의 딸 창원 황씨(昌原 黃氏)이고, 아들은 조시채(趙始采)이다. 형은 조전소(...
-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문신. 조박(趙璞)[1577~1650]의 본관은 풍양(豊壤)이며, 자는 숙온(叔薀), 호는 석곡(石谷)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조세찬(趙世贊)이고, 할아버지는 조경(趙硬)이다. 아버지는 조희윤(趙希尹)이고, 어머니는 성순원(成順元)의 딸이다. 부인은 홍준(洪遵)의 딸 남양 홍씨(南陽 洪氏)이다. 아들은 조전소(趙全素)·조중소(趙重素)·조견소(趙見素)이다....
-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문신. 조방직(趙邦直)[1574~1637]의 본관은 풍양(豐壤)이며, 자는 숙청(叔淸), 호는 수죽(脩竹)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조세헌(趙世獻)이고, 할아버지는 조덕기(趙德期)이다. 아버지는 풍덕군수 조응록(趙應祿)이고, 어머니는 조극근(趙克勤)의 딸 광주 조씨(廣州 趙氏)이다. 부인은 박준현(朴峻賢)의 딸 밀양 박씨(密陽 朴氏)이다....
-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문신. 조성복(趙聖復)[1681~1723]의 본관은 풍양(豊壤)이며, 자는 사극(士克), 호는 퇴수재(退修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목사 조박(趙璞)이고, 할아버지는 금구현령 조견소(趙見素)이다. 아버지는 조시채(趙始采)이고, 어머니는 최득일(崔得一)의 딸이다. 부인은 변세구(邊世耉)의 딸 황창 변씨(黃昌 邊氏)이다....
-
조선 전기 부여 출신의 문신. 조세철(趙世哲)[1477~?]의 본관은 풍양(豐壤)이며, 자는 국언(國彦)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조개평(趙開平)이고, 할아버지는 조후지(趙厚之)이다. 아버지는 충청도병마우후를 지낸 조익희(趙益禧)이고, 어머니는 정득훤(鄭得萱)의 딸이다. 부인은 허규(許揆)의 딸이다....
-
고려 후기 부여 지역에 은거한 문신. 조신(趙愼)[?~?]의 본관은 풍양(豐壤)이며, 초명은 조사렴(趙思廉)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조정(趙晶)이고, 할아버지는 조계령(趙季鴒)이다. 아버지는 조염휘(趙炎暉)이고, 어머니는 손원계(孫元桂)의 딸 밀양 손씨(密陽 孫氏)이다. 부인은 이암(李嵒)의 딸 고성이씨(固城李氏)이고, 아들은 조안평(趙安平)·조개평(趙開平)이다. 형은 조사충(趙思忠)...
-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문신. 조응록(趙應祿)[1538~1623]의 본관은 풍양(豊壤)이며, 자는 경수(景綏), 호는 죽계(竹溪)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조익희(趙益禧)이고, 할아버지는 조세헌(趙世獻)이다. 아버지는 조덕기(趙德期)이고, 어머니는 강지(姜漬)의 딸이다. 첫 번째 부인은 유윤종(柳胤宗)의 딸 문화 유씨(文化 柳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조극근(趙克勤)의 딸 광주 조씨(廣...
-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문신. 조전소(趙全素)[1601~1645]의 본관은 풍양(豐壤)이며, 자는 자현(子玄), 호는 후포(后浦)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조경(趙硬)이고, 할아버지는 조희윤(趙希尹)이다. 아버지는 목사 조박(趙璞)이고, 어머니는 홍준(洪遵)의 딸 남양 홍씨(南陽 洪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홍득일(洪得一)의 딸 남양 홍씨(南陽 洪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강위흥(姜渭興...
-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무신. 조중섬(趙重暹)[?~?]은 부여 출신으로 1769년(영조 45) 무과에 급제하였다. 1774년에 흥화문수문장(興化門守門將)에 제수되었고, 1775년 신문고(申聞鼓)를 통해서 민원이 접수되어 처벌을 받았다....
-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문신. 조중소(趙重素)[?~?]의 본관은 풍양(豊壤)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조경(趙硬)이고, 할아버지는 조희윤(趙希尹)이다. 아버지는 목사 조박(趙璞)이고, 어머니는 홍준(洪遵)의 딸 남양 홍씨(南陽 洪氏)이다. 부인은 경주 이씨(慶州 李氏)이고, 아들은 조시정(趙始鼎)·조시진(趙始晉)이다. 형은 조전소(趙全素)이고, 동생은 조견소(趙見素)이다....
-
조선 전기 부여 지역에 세거한 문신. 조지서(趙之瑞)[1454~1504]의 본관은 임천(林川)이며, 자는 백부(伯符), 호는 지족당(知足堂)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전중어사 조익(趙益)이고, 할아버지는 직장 조민원(趙敏原)이다. 아버지는 사헌부감찰 조찬(趙瓚)이고, 어머니는 정참(鄭參)의 딸이다. 부인은 정윤관(鄭允寬)의 딸 영일 정씨(迎日 鄭氏)이다....
-
충청남도 부여 지역을 수도로 한 백제 사비 시기의 무신. 『삼국사기(三國史記)』 권28 「백제본기」에 따르면, 660년(의자왕 20) 8월에 부여풍이 이끄는 백제부흥운동군은 왜국이 보낸 군사 2만 7000명과 함께 힘을 합친 뒤 백강(白江) 어귀에서 나당 연합군과 네 번 싸웠는데, 왜군의 배 400척이 불타고 많은 병사가 몰살하였으며 풍왕은 몇 사람과 함께 배를 타고 고구려로 도망...
-
고려 후기 부여 홍산 지역에서 왜구를 격퇴한 무신. 최영(崔瑩)[1316~1388]의 본관은 철원(鐵原)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최정소(崔貞紹), 할아버지는 최옹(崔雍)이고, 아버지는 최원직(崔元直)이다. 어머니는 지씨(智氏)이다....
-
조선 후기 부여 지역에서 발생한 이몽학의 난 진압에 공을 세운 무신. 최호(崔湖)[1536~1597]의 본관은 경주(慶州)이며, 자는 수부(秀夫) 또는 청중(淸仲)이다. 할아버지는 최천손(崔千孫)이고, 아버지는 벽동군수(碧潼郡守) 최한정(崔漢禎)이다. 어머니는 김계옥(金繼玉)의 딸 광주 김씨(光州 金氏)이다....
-
조선 후기 부여현감을 역임한 문신. 홍가신(洪可臣)[1541~1615]의 본관은 남양(南陽)이며, 자는 흥도(興道), 호는 만전당(晩全堂)·간옹(艮翁)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홍한(洪瀚)이고, 할아버지는 홍윤창(洪胤昌)이다. 아버지는 홍온(洪昷)이고, 어머니는 신윤필(申允弼)의 딸 흥양 신씨(興陽 申氏)이다. 부인은 이형(李衡)의 딸 재령 이씨(載寧 李氏)이고, 아들은 홍은(洪檃)·홍...
-
조선 전기 부여 출신의 문신. 홍윤성(洪允成)[1425~1475]의 본관은 회인(懷仁)이며, 자는 수옹(守翁), 호는 영해(領海)이다. 초명은 홍우성(洪禹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홍연보(洪延甫)이고, 할아버지는 홍용(洪容)이다. 아버지는 홍제년(洪齊年)이다. 첫 번째 부인은 남육(南陸)의 딸 남씨(南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김자모(金子謀)의 딸 고령 김씨(高靈 金氏)이다. 아들은...
-
조선 후기 부여 지역으로 이주한 문신. 황신(黃愼)[1562~1617]의 본관은 창원(昌原)이며, 자는 사숙(思叔), 호는 추포(秋浦)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공조판서 황형(黃衡)이고, 할아버지는 황원(黃瑗)이다. 아버지는 정랑 황대수(黃大受)이고, 어머니는 곽회영(郭懷英)의 딸 현풍 곽씨(玄風 郭氏)이다. 부인은 원천군(原川君) 이휘(李徽)의 딸 전주 이씨(全州 李氏)이다. 동생 황...
-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문신. 황일호(黃一皓)[1588~1641]의 본관은 창원(昌原)이며, 자는 익취(翼就), 호는 지소(芝所)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별제 황원(黃瑗)이고, 할아버지는 정랑 황대수(黃大受)이다. 아버지는 황척(黃惕)이며, 어머니는 강백룡(姜伯龍)의 딸 진주 강씨(晉州 姜氏)이다. 큰아버지 황신(黃愼)에게 입양되었으며, 양어머니는 원천군(原川君) 이휘(李徽)의 딸 전...
-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문신. 황재천(黃載天)[1732~1799]의 본관은 창원(昌原)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김제군수를 지낸 황하신(黃夏臣)이고, 할아버지는 세자시강원사서 황상로(黃尙老)이다. 아버지는 황택조(黃宅祚)이고, 어머니는 이규한(李奎漢)의 딸 성산 이씨(星山 李氏)이다. 부인은 서명정(徐命正)의 딸 달성 서씨(達城 徐氏)이고, 아들은 황경집(黃敬緝)이다. 동생은 황재곤(黃...
-
충청남도 부여 지역을 수도로 한 백제 사비 시기의 장군. 흑치상지(黑齒常之)[630~689]의 어릴 적 이름은 항원(恒元)이다. 선조의 성씨는 부여씨(扶餘氏)였는데, 흑치(黑齒) 지역에 봉해졌으므로 흑치로 바꾸었다. 증조할아버지는 흑치문대(黑齒文大), 할아버지는 흑치덕현(黑齒德顯)이며, 아버지는 흑치사차(黑齒沙次)이다....
-
충청남도 부여군 의열사와 삼충사에서 제향하고 있는 백제 말기의 충신. 흥수(興首)[?~?]는 백제 의자왕 때 제1품 좌평을 지낸 충신이다. 사비의 중앙 부서에서 중요 정책을 결정하는 역할을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흥수는 위기를 맞은 의자왕이 귀양지로 사람을 보내 의견을 구한 만큼, 의자왕 즉위 초 왕권 강화를 위하여 성충(成忠)과 함께 적극 노력한 인물로 보인다....
문인·학자
-
조선 전기 부여 지역에 은거하였던 문인. 김시습(金時習)[1435~1493]의 본관은 강릉(江陵)이다. 자는 열경(悅卿), 호는 매월당(梅月堂)·청한자(淸寒子)·동봉(東峰)·벽산청은(碧山淸隱)·췌세옹(贅世翁)이며, 법호는 설잠(雪岑)이다. 아버지는 김일성(金日省)이고, 어머니는 선산 장씨(仙槎 張氏)이다....
-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문인. 유면증(兪勉曾)[1571~?]의 본관은 기계(杞溪)이며, 자는 상로(尙魯)이다. 판서(判書) 경안공(景安公) 유여림(兪汝霖)의 후손이다. 아버지는 유대엄(兪大儼)이고, 어머니는 평창 이씨(平昌 李氏)이다. 부인은 군수 서집의 딸 이천 서씨(利川 徐氏)이다....
-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문인. 유명집(兪明集)[1665~1733]의 본관은 기계(杞溪)이며, 자는 여성(汝成), 호는 서주(西州)이다. 경안공(景安公) 유여림(兪汝霖)의 후손이다. 친아버지는 유담(兪橝)이고, 나중에 유권(兪權)의 양자로 들어갔다. 부인은 동래 정씨(東萊 鄭氏)이다. 시남(市南) 유계(兪棨)의 손자 유상기(兪相基)와 인척 관계이다. 기계 유씨(杞溪 兪氏)는 부여의...
-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문인. 윤개(尹揩)[1634~1663]의 본관은 파평(坡平)이며, 자는 원례(元禮), 호는 치암(痴菴)이다. 대사성(大司成) 윤탁(尹倬)의 후손이며, 증조할아버지는 효렴(孝廉) 윤창세(尹昌世)이고, 할아버지는 전부(典簿) 윤희(尹熺)이다. 아버지는 감역(監役) 오로정(五老亭) 윤봉거(尹鳳舉)이고, 어머니는 무안 박씨(務安 朴氏)이다. 부인은 귀천(歸川) 이정...
-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문인. 이경술(李景述)[1570~1640]의 본관은 함평(咸平)이며, 자는 비승(丕承), 호는 봉촌(鳳村)이다. 아버지는 선무랑 이돈(李惇)이다....
-
고려 후기 부여의 명승지를 유람하고 기행문을 남긴 성리학자이자 문신. 이곡(李穀)[1298~1351]의 본관은 한산(韓山)이며, 초명은 이운백(李芸白), 자는 중부(仲父), 호는 가정(稼亭), 시호는 문효(文孝)이다. 한산 이씨(韓山 李氏) 시조인 이윤경(李允卿)의 6대손이다. 할아버지는 증판도판서(贈版圖判書) 이창세(李昌世)이다. 아버지는 증도첨의찬성사(贈都僉議贊成事) 이자성(李...
-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문인. 이문상(李文祥)[1712~1789]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자는 정보(定甫)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민적(李敏迪)이고, 할아버지는 판서 이사명(李師命)이다. 아버지는 이의지(李毅之)이고, 어머니는 나정좌(羅廷佐)의 딸 나주 나씨(羅州 羅氏)이다. 큰아버지 이희지(李喜之)의 양자로 입적되었으며, 부인은 성재(成梓)의 딸 창녕 성씨(昌寧 成氏)이다....
-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문인. 이희지(李喜之)[1681~1722]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자는 사복(士復) 또는 양백(陽伯), 호는 응재(凝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경여(李敬輿)이고, 할아버지는 이민적(李敏迪)이다. 아버지는 판서 이사명(李師命)이고, 어머니는 조현기(趙顯期)의 딸 임천 조씨(林川 趙氏)이다. 부인은 윤헌경(尹憲卿)의 딸 파평 윤씨(坡平 尹氏)이다....
-
조선 후기 부여 지역에서 활동한 문인. 장응기(張應起)[?~?]의 호는 한계(寒溪)이다. 장응기는 부여 지역에 세거하면서 학문을 전수하는 일을 게을리하지 않았다. 장응기는 경전에 매우 밝고 학당을 열어 생도(生徒)들을 가르치는 일을 열심히 하여 문하에서 다수의 선비가 배출되었다. 또한 효도와 우애를 행실의 근본으로 삼아 여러 번 관직 추천장에 이름이 올랐다....
-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문인. 전석규(田錫圭)[1577~1669]의 본관은 남양(南陽)이며, 자는 사수(士受), 호는 한호(閒湖)이다. 아버지는 주부(主簿) 전탄(田坦)이다....
-
조선 후기 부여 지역에서 활동한 학자. 조광형(趙光亨)[1606~1682]의 본관은 풍양(豐壤)이며, 자는 군실(君實), 호는 낙수(樂叟)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조덕기(趙德期)이고, 할아버지는 조응록(趙應祿)이다. 아버지는 전주부윤 조방직(趙邦直)이고, 어머니는 박준현(朴峻賢)의 딸 밀양 박씨(密陽 朴氏)이다. 부인은 이장(李檣)의 딸이다....
-
조선 전기 부여 지역에 세거한 문인. 조익상(趙益祥)[?~?]의 본관은 풍양(豐壤)이며, 자는 서옹(瑞翁)이다. 조익상의 고조할아버지는 고려 시대에 우부대언(右副代言)을 지낸 조염휘(趙炎暉)이고, 증조할아버지는 회양도호부사(淮陽都護府使)를 지낸 조신(趙愼)이다. 할아버지는 공조좌랑(工曹佐郞)을 지낸 조안평(趙安平)이다. 아버지는 통사랑(通仕郎)을 지낸 조후지(趙厚之)이고, 어머니는...
-
조선 후기 부여 지역에서 활동한 문인. 홍수일(洪壽一)[1628~?]의 본관은 남양(南陽)이며, 자는 오선(五先)이다. 할아버지는 승지를 역임한 홍준(洪遵)이고, 아버지는 조지서별제(造紙署別提)를 역임한 홍여필(洪汝弼)이다....
승려
-
충청남도 부여 지역을 수도로 한 백제 사비 시기 백제부흥운동을 주도한 승려 출신의 장군. 도침(道琛)[?~661 또는 662]의 출신이나 가계는 분명하지 않다. 사망 시기는 661년 또는 662년으로 추정된다....
-
백제 시대 음악가이자 무용가. 미마지(味摩之)[?~?]는 중국 오나라에서 기악무(伎樂舞)를 배우고 돌아온 뒤 612년(무왕 13) 일본으로 건너가 기악무를 전수한 백제 무왕 때의 음악가이자 무용가이다. 미마지는 티베트어로 ‘고승(高僧)’ 또는 ‘예능인’를 의미하는데 백제에서 온 예능이 능하였던 승려를 ‘미마지’라고 칭하였던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
고려 후기 부여 보광사에서 활동한 승려. 원명국사(圓明國師)[1274~1338]의 속명은 김충감(金沖鑑)이고, 자는 절조(絶照), 법호는 설봉(雪峯)이다. 평양군(平陽君) 김영순(金永純)의 동생이다....